[알고봅시다]
[알고 봅시다] 찬송가 부르며 노예해방운동 나서다
2008-03-20
글 : 문석
18세기 영국 정치가 윌리엄 윌버포스의 삶을 그린 영화 <어메이징 그레이스>

<어메이징 그레이스>는 18세기 영국의 노예해방운동에 앞장섰던 정치가 윌리엄 윌버포스와 동료들의 삶을 정직하게 보여주는 영화다.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기독교 정신에 귀의하면서 노예해방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당시의 어지러운 사회상을 도덕적으로 극복하려 했던 윌버포스의 삶과 당시의 노예무역 실태, 찬송가 <어메이징 그레이스>에 관해 알아본다.

아프리카 노예무역, 그 끔찍한 현실

유럽 국가들이 세계의 항로를 개척하며 시작된 ‘대항해시대’는 다른 대륙에는 재앙을 의미했다. 스페인 등 유럽 국가들은 15세기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뒤 현지인들을 노예처럼 부리며 광산이나 사탕수수밭을 개발해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 하지만 지나친 혹사로 원주민들이 사망하면서 새로운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대두됐다. 당시 개척된 서아프리카 항로는 이들에게 힌트를 제공했다. 결국 스페인은 16세기부터 아프리카 주민을 강제로 붙잡아 아메리카 대륙과 서인도제도(카리브 해안 국가들)에 공급하기 시작했다. 아프리카 대륙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노예를 실어나르는 노예무역이 성행하자 해군력이 막강했던 영국도 개입했다. 엘리자베스 1세는 노예무역을 금지했으나 이후 1600년대가 되자 국왕의 칙허로 노예무역은 합법화됐고, 18세기 초반에는 스페인 왕위계승 전쟁의 결과물로 영국은 노예무역의 독점권인 아시엔토(Asiento)를 따기에 이른다. 당시 노예선은 군인들이 운영했는데, 노예들은 발과 다리에 족쇄를 찬 채 높이 75cm 정도의 공간에 화물처럼 실렸고, 그 밀도가 하도 빽빽해 정어리 통조림을 연상케 했다. 심지어 대서양에서 항로를 잃은 노예선 종(Zong)의 선원들은 식수가 바닥나자 132명의 노예를 산 채로 바다에 빠뜨렸는데, 영국 대법원장은 “말을 바다에 빠뜨린 것과 다름없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마디로 당시 노예는 인간이 아니었다.

노예해방의 선구자, 윌리엄 윌버포스

윌리엄 윌버포스(William Wilberforce)는 1759년 유복한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케임브리지대학을 나온 뒤 정치에 뜻을 품은 그는 21살이던 1780년 하원의원이 된다. 정치적 야심 외에 대단한 뜻을 품지 않았던 윌버포스는 당시 의원들이 그랬듯 클럽을 전전했고 도박과 춤에 빠져 지냈다. 하지만 1785년이 되면서 몇몇 사람의 영향으로 그는 참회를 했고 기독교의 정신을 현실에서 구현해야겠다는 생각을 품었다. 그와 비슷한 시기, 노예무역을 폐지하려 노력 중이던 퀘이쿼 교도들은 윌버포스에게 이 문제를 의회에서 제기해줄 것을 부탁한다. 윌버포스가 노예문제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데는 참회뿐 아니라 어린 시절의 기억도 영향을 끼쳤다. 그는 어린 날 노예선의 선장이었다가 회개한 뒤 목사가 된 존 뉴턴의 설교를 감명 깊게 들었기 때문이다. 그는 궁극적 목표인 노예해방에 앞서 노예무역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1787년부터 법안을 준비한다. 당시 의회는 노예상이나 서인도제도의 농장주들에게 상당 부분 장악당한 상황이었던 탓에 반발은 심했다. 윌버포스는 친구이자 총리인 윌리엄 피트의 강력한 후원 아래 수차례 노예무역 폐지법안을 제출했지만 번번이 근소한 표 차이로 패배했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고 매년 문제를 제기해 마침내 1807년 노예무역 폐지법안이 의회를 통과했다. 그리고 그는 1833년 7월 노예의 완전해방을 규정하는 법안이 상원을 통과됐다는 소식을 들은 지 사흘 뒤 세상을 떠났다.

참회의 노래이자 억압받은 자의 노래 <어메이징 그레이스>

<어메이징 그레이스>

우리에게도 <나 같은 죄인 살리신>이라는 찬송가로 알려져 있는 <어메이징 그레이스>(Amazing Grace)는 앞서 언급된 존 뉴턴 목사에 의해 쓰여졌다. 그는 1700년대 중반 그레이하운드라는 노예선의 선장으로 일하며 온갖 끔찍한 일을 목격했고, 얼마 뒤 자신의 죄악을 뉘우치며 신앙에 귀의했다. 그가 이 노래를 쓴 것은 1772년. 1773년 1월1일 예배 때 쓰려고 만든 이 노래는 구약성서 역대상 17장 16절과 17절, 다윗왕이 여호와가 그와 그의 집을 선택한 것을 찬미하는 내용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이 노래는 1779년 출판되면서 세상에 알려졌는데, 영국보다 미국에서 널리 불렸다. 남북전쟁 때는 남군과 북군 양쪽에서 많이 불렸고, 현대 미국에서는 기독교 단체가 운영하는 약물중독과 알코올중독 치료 때 많이 쓰인다. 이 노래는 또한 ‘인디언’이라 불렸던 미국 원주민 체로키족이 백인들에 의해 강제로 오클라호마로 쫓겨나는 과정에서도 널리 불렸다. ‘눈물의 행로’(Trail od Tears)라고 불리는 이 대이동은 1838년부터 그 이듬해까지 이뤄졌는데, 엄청난 강행군 속에서 수천명이 사망했지만 장례를 제대로 치를 수 없어 이 노래로 영혼을 위안했다고 한다. 이 노래는 1970년대 들어 주디 콜린스, 로드 스튜어트 등의 가수들이 부르면서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기도 했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