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노경태] “큐비즘의 영화라고도 하더라.”
2008-04-08
글 : 정재혁
사진 : 이혜정
완성된 지 2년 만에 프랑스에 이어 한국에서도 개봉하는 <마지막 밥상>의 노경태 감독

노경태 감독의 장편 데뷔작 <마지막 밥상>이 완성된 지 2년 만에 4월11일 인디스페이스에서 개봉한다. 이보다 조금 앞선 3월19일엔 프랑스 파리에서 먼저 정식 개봉했다. 국내 배급을 위해 이리저리 부딪히길 2년, 고생 뒤에 찾아온 결과다. 유령처럼 떠돌며 사는 가족들의 삶을 실험영화 방식으로 담은 <마지막 밥상>은 확실히 국내에서 쉽게 개봉할 수 있는 종류의 작품은 아니다. 캐릭터는 설명을 거부하고 파편적으로 이어지는 이미지는 불균질한 흐름 안에 녹아 있다. 변하지 않는 일상 속에서 답답함을 느끼던 가족들이 화성으로 이민을 가며 끝나는 영화의 결말까지 추상적이고 괴상하다. 영화의 개봉을 맞아 노경태 감독을 만났다. 현재 충남 청운대학교에서 영화를 가르치고 있는 노경태 감독은 이미 두 번째 영화 <허수아비들의 땅>을 찍어 칸영화제에 응모했다고 했다. 한손엔 <마지막 밥상>을, 다른 한손엔 <허수아비들의 땅>을 갖고 인터뷰 자리에 앉은 노경태 감독은 무척 행복해 보였다.

-2년 만의 개봉이다. 기분이 어떤가.
=영화제 상영과 정식 개봉은 무척 다른 것 같다. 로테르담이나 로카르노영화제에 영화를 상영하러 갔을 때는 두려움이 없었다. 영화제는 그냥 관계자들이 자신들 취향대로 영화를 골라 상영하는 거니까. 하지만 정식 개봉은 완전히 까발리는 느낌이 있다. 한국의 대다수 관객은 상업영화나 문학에서 시작된, 글로 풀어나가는 영화문법에 익숙해져 있지 않나. 좋기도 하지만 두렵기도 하다. 3년 전에 찍어 2년 전에 영화제를 돌며 상영했는데, 이제 개봉한다고 하니까 새삼스럽기도 하고 죽었던 아들이 돌아온 것 같기도 하다.

-프랑스 개봉은 어떻게 결정된 건가.
=영화제를 돌면서 배급사 명함을 많이 받았다. 그중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곳이 E. D. 디스트리뷰션이다. 로테르담영화제에서 만났는데 관객과의 대화가 매우 길었음에도 마지막까지 남아 있더라. 3개관에서 상영을 시작했고 지금은 2개관에서 하고 있다. 보통 2주 상영이라 <마지막 밥상>도 2주 상영할 예정이고. 유럽 사람들이 일 처리가 느려서 그렇지 하면 확실하게 한다. 리뷰도 모아서 보내주고. 첫날 관객이 130명이라고 하더라.

-<마지막 밥상>을 유령처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어떻게 구상했나.
=2003, 2004년 미국에서 시나리오를 구상했다. 나는 실험영화를 공부하고 있었고 이전에 단편 몇편을 찍었다. 그러다 장편영화가 찍고 싶더라. 브레송이나 타르코프스키 영화 보면서 감동을 많이 받았고, 나도 저런 예술영화를 찍고 싶다고 생각했다. 시나리오는 미국에서 한국을 바라보는 느낌으로 글로벌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물론 서울의 외딴곳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지만 가족간의 단절이란 주제는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거니까.

-미국에서의 유학 시절이 매우 외로웠다는 내용의 인터뷰를 봤다.
=한국에선 잘 얘기할 수 없는 부분이다. 예전에 스위스 제네바에서 술 마시며 인터뷰한 내용이 어느 날 보니 번역되어 있더라. (웃음) 왜 친구에게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있고 낯선 사람에게 하게 되는 이야기가 있지 않나. 미국에서 너무 힘들어서 백혈구 결핍으로 샤워하다 쓰러진 적이 있다. 앰뷸런스에 실려갔었고. 지금 살고 있는 건 덤으로 사는 것 같다. 음…. 이런 이야기 부모님이 보면 안 되니까. (웃음)

-<마지막 밥상>에서 가족이란 주제가 처음부터 중요했나.
=졸업 단편 제목이 <Father and Son>이다. 소쿠로프 영화 제목과 똑같다. 내가 소쿠로프 광팬이라. (웃음) 단편도 내가 왜 아버지를 싫어하는지에서 출발했다. 지금도 아버지와는 사이가 안 좋다. 이건 그냥 내 피부처럼 너무 당연하게 느껴진다. 평소엔 잘 생각하지 않지만 작품의 소재를 찾으면서 다시 아버지, 가족 이야기를 꺼내게 됐다. 내가 잘할 수 있는 건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내 감정을 잘 터치할 수 있는 게 좋을 거라 생각했다.

-영화에는 스토리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장면들도 들어가 있다. 영화를 어떤 식으로 구성했나.
=내 영화는 문학이 아니라 회화에서 왔다. 실험영화를 공부하면서 배운 게 그거다. 일단은 그냥 살면서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를 메모하고 수집한다. 아이러니하고 웃긴 장면들. 영화에서 이불 터는 장면도 집 앞에서 본 것 그대로다. 그런 다음엔 몬드리안이 색상과 라인을 조합하는 것처럼 이미지들을 뜨개질하듯 끼워넣는다. 개인적으로 추상회화, 구조주의를 좋아한다. 어떤 평론가는 <마지막 밥상>을 두고 큐비즘의 영화란 말을 썼더라

-카이스트를 졸업했고 삼성증권에서 일했다고 들었다. 공대에서 금융업으로 취직한 것도 신기하지만 이후에 영화를 하겠다고 결정하게 된 계기도 궁금하다.
=일단 카이스트는 눈에 보이지 않는 걸 공부한다는 게 싫었다. 삼성증권에 있다가 영화 유학을 하기로 결심한 건 삼촌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삼촌들이 증권에서 일하는 건 생명이 너무 짧다고, 평생 고객과 싸우면서 살 수 있겠냐고 하더라. 무얼 하든 밖에 나가서 세상을 보고 오라고. 주식은 가만히 있으면 제로가 되게 마련이니까. 그래서 미국으로 유학을 갔고, 처음엔 평생 미국에서 살려고 스시 배워서 아르바이트도 했다. 그렇게 1천만원 정도 벌었다. (웃음)

-두 번째 영화 <허수아비들의 땅>은 어떤 내용인가.
=<마지막 밥상>처럼 여러 가지가 복잡하게 섞여 있다. (웃음) 레즈비언의 슬픈 사랑 이야기가 메인인데 여기에 환경문제, 성정체성 이야기가 섞인다. 글로벌 카오스(chaos), 인간관계, 지구가 썩어가는 것에 대한 이야기다. 은행에서 5천만원 대출받았고 부모님에게 또 돈 빌려서 찍었다. (웃음) 근데 모니터 반응이 지루하고 복잡하다고 해서. (웃음) 이젠 내 돈으로 영화 못 찍겠더라.

-그럼 상업영화를 만들 생각도 있나.
=좋은 시스템에서 퀄리티 높게 찍고 싶은 생각은 있다. 그러려면 분명히 내 시나리오로는 안 되겠지. (웃음) 하지만 <밀양>이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처럼 대중을 감동시킬 수 있는 영화를 하고 싶다. 내 영화는 가슴은 점점 차가워지고 머리는 뜨거워지지 않나. 지금까진 내 마음대로 했다면 이젠 대중의 가슴을 뜨겁게 할 수 있는 걸 해보고 싶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