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읽기]
[영화읽기] 文의 품에 안겨 사라지는 武
2008-04-17
<삼국지: 용의 부활>을 보고 중국다운 무(武)의 본질을 생각해보다

<삼국지>만큼 동북아 한·중·일 세 나라에서 오랫동안 성가를 누려온 콘텐츠가 따로 없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다. AD 3세기 무렵 위·촉·오 세 나라가 다툼을 벌인 그 사단이 진수라는 사가의 손에 의해 <삼국지>라는 역사의 기록으로 남겨진 이래 명나라 초엽인 14, 15세기에 나관중에 의해 이른바 장회체 소설로 자리잡기까지 장장 한 밀레니엄의 세월을 중국의 ‘라오바이싱’(老百姓)의 입을 통해 구전되어온 이야기가 아니던가. 그동안 고사니 설서니 강창이니 소설이니 경극이니 하는 서사의 전 장르와 양식을 통튼 변천사가 바로 이 <삼국지> 이야기에 오롯이 담겨져 있다.

입에 오르내려 대중의 귀를 사로잡거나 그림으로 백성의 눈을 즐겁게 한 사정은 중국이라는 나라에 그치지 않는다. <삼국지> 가운데 압권으로 정평이 있는 적벽대전을 우리네 판소리 마당에서도 결코 외면하지 않았으며, 제법 오래전의 월탄 박종화본으로부터 근자의 이문열본, 황석영본, 김홍신본 등은 물론 하려니와, 거기에 만화니 아동물이니 하여 이 유아무개의 졸필도 가세하고 있으니 미상불 알조라면 알조다. <삼국지>야말로 동북아 일대의 가장 인지도 높은 최상급 콘텐츠인 것이다.

바야흐로 조자룡이 승천할 때

기실 <삼국지> ‘판본’의 역사는 그야말로 동시대의 요청에 따른 재해석의 역사이다. 이를테면 <중국의 과학과 기술의 문명사>를 쓴 조셉 니덤은 <삼국지>를 경제전으로 그린다면 멋들어질 텐데 하는 제안을 남긴 바 있고, 루쉰과 더불어 현대문학의 쌍벽으로 최근 추숭된 바 있는 무협소설의 대가 김용은 유비 대신 오나라 손권을 중심으로 <삼국지>를 전면 재구성하는 야심을 품은 적이 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바로 이 대목에서 떠올림직한 질문, 왜 조자룡인가. 이런 시절에 하필이면 조자룡이어야 하는가 하는 질문은 피해갈 수 없는 물음이 된다.

영화 첫 장면,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오른다. 그것은 필시 조운의 운(雲)이라는 이름을 떠올리라고 피워 올린 구름 혹은 이른바 봉명산 일대에 감도는 전운이겠다. 조조군의 공격이 임박했을 무렵, 봉명산을 찾아온 제갈량은 조조의 군사가 1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정보를 준다. 기세에 질린 조자룡 등 촉의 군사에 제갈량은 조조의 군사가 쳐들어오기 전에 먼저 선제공격을 지시하는데, 제갈량이 노리는 것은 빗속의 싸움, 곧 우중전이다. 일천의 군사를 세패로 나누어 좌로는 청룡이 우로는 백호가 양면 협공을 취하고 정면에서는 조자룡과 나평안이라는, 조자룡이 ‘다거’(큰형)라고 부르는 동향 출신 장수가 쳐들어가는 삼면 돌파 작전이다. 용의 배치가 이루어진 것이다. 그것은 제갈량의 아호가 와룡이라는 점, 조운이 자룡이라는 점에서 청룡과 이어지며, 조운이 다섯 호랑이 장군(五虎將軍)의 한 사람으로 명패를 내걸게 된다는 점들이 진세 혹은 전장터의 포국(布局)을 이루는 식이다. 구름을 타고 용이 승천하여 마침내 조자룡의 촉나라 군사는 조조를 대패시킨다. 조운, 조자룡이 머리를 내미는 장면의 설계가 그럴듯한 것이다. 하지만 여기까지가 조운이라는 운과 자룡이 용을 돋보기로 잡은 이름풀이다.

영화에 나오는 지도를 자세히 들여다보자. 거기에 조운이라는 이름에 앞서 따라다니는 상산이라는 지명이 나온다. 상산 바로 코앞에 붙어 있는 지명은 예주(豫州), 예주의 예는 지금도 중국 산시 지방에 가면 자동차 넘버판에 붙은 지역 명칭이다. 산시의 옛 이름 예는 옛적 춘추전국시대에는 조나라였다. 상산이라는 조운의 출신지명은 조나라를 가리키는 것이며, 조운의 성이기도 하다. 조나라는 말로 유명한 산지이며, <삼국지>에 등장하는 적노마의 산지이다. 적노마는 유비의 목숨을 살린 유명한 말로 관우가 타고 다니던 적토마와 <삼국지>의 스토리를 이끌고 가는 말이기도 하다. 조자룡이 유비의 아들인 아두를 등에 업고 조조의 공격을 피해 절벽을 뛰어넘는 말이 바로 조나라의 말, 그 적노마로 보면 틀리지 않다. 원전과 역사에 충실한 장면이지만, <삼국지>의 내막을 잘 모르는 관객은 그 말의 도약이 무엇을 말하는지 과연 알 수 있을까.

여기서 떠오르는 일화 하나. 만해 선사를 두고 수주 변영로의 장형인 변영만이 일컫기를 만해는 “몸 전체가 담으로 된 인물”(全身都是膽也)이라고 한 이야기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런 문구는 원전이 있으니 바로 <삼국지>의 작가 나관중이 조자룡의 캐릭터를 형용하면서 쓴 문구이다. 한학 마지막 세대에 속하는 변영만은 필시 나관중의 <삼국지>를 원전으로 읽었던 모양이다. 몸 전체가 담인 조자룡은 인체의 오행 구조상 두려움을 모르는 장수이어야 하고, 그래서 조조의 개떼 같은 군사들 가운데로 쳐들어가 단신으로 베고 찌르는 것이다. 시쳇말로 ‘겁이라고는 아예 없는’ 유전 형질이 바로 이런 캐릭터다.

‘무력을 행사함’은 ‘창을 멈추는 것’에 있으니

하지만 원전을 뒤엎고 새로 짠 각색도 있으니 바로 조조의 손녀로 나오는 조영이다. 조영은 <삼국지> 원전과는 달리 여자 장수로 나온다. 제작진은 왜 사내를 여인네로 성전환수술을 했는가. 살벌한 전쟁터에서 미모의 여자 장수를 내세운 이유가 없지 않다. 남자끼리의 대결이 아니라 남녀 대결로 클라이맥스를 삼은 것은 음양 대립으로 설정한 것으로 보면 어긋나지 않다. 그 음양 대립은 동방의 유서 깊은 구도이므로. 그런데 그 음양 대립을 받쳐주는 것이 바로 조자룡의 칼과 조영의 비파 연주다. 칼과 악기의 대립구도는 이미 그리 낯설지 않다. <영웅>에서 이미 장이모가 무명과 장천의 결투장면에서 칼과 창으로 겨루는 동안 장님 악사가 반주를 하도록 설정한 장면을 떠올리면 그렇다는 말이다. 그리고 여기에 최근 무협영화가 새로 낸 길이 있다.

그것은 굳이 이야기하자면 무(武)는 무이되 무 아닌 무, 예전 <씨네21>에 중국영화에 관한 설을 연재하면서 (아마 <패왕별희>에 나오는 장국영을 가리킨 것으로 기억하지만) 써먹은 그 ‘사양이비양’(似陽而非陽)처럼 ‘사무이비무’이다. 이른바 “사이비”라는 말에 양과 무를 대입한 것인데, 그 무가 실은 사이비가 지닌 나쁜 뜻의 그것이 결코 아니다. 무라는 글자에는 중국의 본색이 음각되어 숨은 그림으로 감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武=止+戈로 푸는 전통을 보존해온 나라이다. 곧 무력을 행사함에 그 궁극적인 목표는 창(戈)이 내세우는 무공을 멈추거나 그침(止)이 있게 설계가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이 바로 문화국 중국이 무를 대접하는 DNA 지도 가운데 본원적인 원형질 가운데 하나다. 이를테면 홍문연에서 하듯이 칼춤을 추고, 칼등으로 사람을 치고 하는 그런 식의 컨셉이 서방에 과연 있을까. 중국의 무는 글로벌 무대에서는 기괴한 코드다. 중국의 문화 코드 안에서 무는 무이기만을 부득부득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문의 품에 안기기 위해 스스로를 소실시킬 비극적 운명에 있는 것이므로.

이건 이를테면 <라스트 사무라이>에서 신식 대포로 무장한 메이지유신의 서양식 병사와 벌이는 전통 무사의 칼싸움의 배경으로 벚꽃을 낙화로 어울리게 하여 예(藝), 곧 무예(武藝)로서 칼로 시연하는 예술로서 연출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리고 바로 동방의 문화에서 이 점에 매료되어 제작에 나선 것이 톰 크루즈라고 보면 그리 빗나간 진단은 아니다. 물론 일본의 사무라이들의 무는 예의 수준에 그쳤을 뿐 중국처럼 문(文)이라는 높은 수준의 이데올로기로까지 진도를 나아가지는 못했다. 그 점에서 한국은 중국과 훨씬 거리가 가까울지 모른다. 예컨대 충무공은 무장인가 문인인가. 그의 칼에서 문기가 짙게 배어나고 있는 것은 어인 까닭인가. 무는 운명적으로 문에 의해 거두어지거나 환수되었던 점이 바로, 무를 놓치지 않고 가꾸어나간 일본한테 근조선과 중국이 근대에 이르면서 치도곤을 당한 근본적인 이유가 된다고 풀 수도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서방이 주도하던 근대 코드이다. 21세기 문이 주도하는 코드가 되려면- 그렇게 되지 않으면 3차대전으로 이어지고, 한반도 인근에서도 또다시 전운이 감도는 절체절명의 불운이 도래할 것이니까- 무협도 예전의 무협이 아니어야 하고, 거기에 바로 무의 자기부정으로의 방향 전환이 요구된다. 백전불패의 조자룡이 끝판에 무에 대한 회의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가운데 봉명산 사당에 앉혀진 부처님 얼굴을 클로즈업하는 원전 파괴도 바로 이런 대세를 놓치지 않은 배치에서 기인한다. 영화가 전쟁영화가 아니라 이른바 철리(哲理)로 끝을 장식하는 것, 게다가 영화에서 내레이션을 담당하는 화자인 홍금보의 이름자 나평안(전쟁이 아니라 평안한 세상이라는 염원을 이름에 새긴 것)이 약간 어중간한 인물로 등장하여 김을 빼게 만든 것도 모두 이런 책략에 말미암고 있는 것은 새삼 거론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도 아쉬움은 늘 그렇듯이 남는다.

이름을 밝히면 누구든지 알 만한 소설가의 발언을 빌리자면, 소싯적부터 남의 소설을 나 같으면 이렇게 쓰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읽어왔노라고 하듯이, 그런 식으로 영화를 보자면, 조자룡의 여인으로 고향 마을 이름 모를 여인네를 설정했다가 중동무이하지 말고, 기왕에 원전에서 벗어나는 김에 아예 조영을 조자룡의 좋은 짝으로 삼았더라면…. 음양론의 근본 취지인 “상반상생”에도 맞고, 문무의 대립구도도 살아나서 끝판 조자룡의 전쟁 회의론도 그럴듯해졌을 텐데, 그리고 뜬금없이 출연한 홍금보의 출연료도 아꼈을 터인데 하는 것이 언뜻 든 생각이다.

영화가 시작되기 전 안내 멘트를 들은즉 내용이 대강 이렇다. “중국 소재지만 실은 한국 자본이 90% 이상이니 한국영화라는 것”이다. 이름하여 컨소시엄의 수준이랄까 단계를 그대로 반영한 안내인 것이, 아직 동아시아 판도를 화학반응으로까지 육화하지 못한 단계의, 다시 말하자면 한국이라는 나라와 중국이라는 나라를 물리적 결합하여 판을 짠 모양새이다. 그럼에도 이런 행보는 계속되어야 하리라. THE SHOW MUST GO ON이라는 말이 있듯이, 합작은 계속되어야 한다. 그러다 보면 두 나라가 화학작용을 빚게 될 날이 오리니. 너와 내가 잘 분간이 안 되는 그런 화학작용으로 빚어질 날이 21세기 초반 어느 시점이 될쏜가.

류중하/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