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한국영화박물관 전시품 기증 릴레이 47] 분장도구와 <대폭군>에서 사용했던 소품
2008-07-28
글 : 최소원 (한국영상자료원 프로그램팀)

<씨네21>은 한국영상자료원과 함께 5월9일 영상자료원 내에 문을 연 한국영화박물관을 위한 영화인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며 전시품 기증 캠페인을 벌입니다. 47번째는 배우 최은희가 기증한 분장도구와 <대폭군>에서 사용했던 소품입니다.

문예봉과 한은진에서 이어지는 한국적 미인의 대명사가 바로 배우 최은희이다. 50년대와 60년대 최고의 배우이자 신필름의 중심이었던 최은희는 납북과 북한에서의 영화 출연, 탈출과 미국에서의 활동 등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삶의 궤적을 그려온 존재이다. 1926년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나 1943년 방공호에서 만난 배우 문정복의 권유로 극단 아랑에서 연기를 시작했다. 해방 뒤 영화 데뷔작 <새로운 맹서>(1947)로 연기력을 인정받아 <밤의 태양>(1948) 등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1954년 <코리아>로 시작된 신상옥-최은희 콤비는 1955년 <꿈>의 개봉 이후 인기몰이를 계속했다. <동심초>(1959), <열녀문>(1962)의 순종적이고 인고하는 한국적 여인상의 정점은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이다. 손님 김진규와 대화 한마디 없이 감정 흐름을 만들어야 했던 정적인 연기가 가장 힘들었다고 회상하는 이 작품으로 최은희는 많은 여성관객의 사랑을 받았고 아시아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지옥화>(1958)에서는 양공주로, <로맨스 그레이>(1963)에서는 ‘빠-걸’로 파격적인 연기 변신을 시도했지만 팬들로부터 많은 항의를 받기도 했다. <상록수>(1961)와 <쌀>(1963)에서는 근대화의 현장에서 투쟁하는 강한 여성의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1965년 최은희는 <민며느리>를 시작으로 <공주님의 짝사랑>(1967), <총각선생>(1972) 등 총 3편의 연출작을 남겼다. 한국영화박물관에서는 전통성과 근대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던 대표적인 한국적 여성상인 배우 최은희를 대표작, 피겨, 애장품과 함께 상설 전시 중이다. 또한 ‘한국영화의 시간여행’ 섹션에서는 천연색 시네마스코프 시대극 시대 서막이자 1961년 영화계 최대의 사건이었던 최은희-신상옥의 <성춘향>과 홍성기-김지미의 <춘향전>의 대결을 비교전시하고 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