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진의 점프 컷]
[김영진의 점프 컷] 희미하게 열린 탐색
2010-01-01
글 : 김영진 (영화평론가)
이서 감독의 데뷔작 <사람을 찾습니다>에 대한 생각의 오류를 정정한다

이서의 장편 데뷔작 <사람을 찾습니다>는 이전에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상영된 적이 있다고 하지만 내가 이 영화의 존재를 처음 알게 된 것은 전주국제영화제에서였다. 전주영화제 한국장편경쟁부문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던 장률 감독이 내게 이 영화를 유심히 보라며 적극 추천했기 때문이다. <사람을 찾습니다>는 한국장편경쟁부문 최우수상을 받았으나 막상 직접 본 이 영화는 그 표현의 직접적 강도에 비해 다소 상투적으로 보였다. 이 영화에는 어느 정도 먹고살 만한 것으로 보이는 부동산 중개업자 원영과 그가 거의 사육한다고 말해도 좋을 지적 장애인 규남이 나오는데 주인과 노예의 관계를 넘어서서 원영이 규남을 거의 짐승 수준으로 학대하고 착취하는 장면들이 꽤 있다. 특히 규남 역을 연기하는 배우가 스크린에 물리적으로 현존한다는 느낌은 언어가 당도할 수 없는 굉장한 압도감을 주었다.

도식처럼 보였던 인물의 폭력 관계

그런데도 이 영화가 상투적이라고 느낀 것은 폭력 관계의 도식성 때문이다. 규남은 전단지를 붙이며 살아가는 장애인이다. 몰래 붙잡아온 개들과 자신을 동일시하며 개에게 주는 먹이를 함께 핥으며 먹는 이 남자는 앞서 말했듯이 부동산 중개업자 원영에게 사육당하는 존재다. 그를 폭력적으로 부리며 방종하게 사는 원영은 나름 꽤 치부한 자로서 가정을 꾸리고 있는데도 같은 동네에서 애가 딸린 미혼모 인영과 내연의 관계를 유지한다. 이 영화에서 모든 관계는 이용하고 착취하는 관계의 도식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것이 이 사회의 인간관계의 환유라고 해도 강도가 더해지는 건 아니다. 원영은 규남을 이용하고 인영을 이용한다. 거꾸로라고 해도 마찬가지다. 규남 입장에서 보면 원영은 자기를 먹여살려주는 존재다. 인영에게도 원영은 남들에게 인정받을 수 없지만 실질적인 가장이다. 인영이 자신의 어린 딸을 학대에 가깝게 방치하는 것도 그런 그녀의 인간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영화 속 인물들은 모두 이용하고 이용당하는 관계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것 자체가 강력한 인화성을 가진 잠복요인이 된다. 탱탱한 긴장으로 지탱되지만 이용하고 이용당하는 관계의 긴장이 잠시라도 무너질 때 상당한 폭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강도를 높여가며 이 관계의 본질이 폭로되면서 파국이 닥쳐오지만 처음 봤을 때 그 모든 것이 추상적인 도식처럼 보여 인상적이지 않았던 것이다.

계간 <독립영화>라는 잡지에 최근 독립영화들을 일별하면서 <사람을 찾습니다>를 언급하는 가운데 꺼냈던 공격은 어쩔 수 없이 이 영화가 상투적이라는 것이었다. 예전에 이 지면에서도 언급했지만 타자의 괴물성을 묘사할 때 이 영화에서도 피해가지 못하는 함정은 사회 속에서 타자화된 그들을 이중으로 타자화해버리는 아이러니가 있다는 혐의이다. 타자화된 그들을 그릴 때 그들의 욕망, 모순을 건져내지 못하면 그들 역시 박제화된 인물이며, 선악의 공식으로 밀어붙이는 상업영화의 경직성과 근본적으로 다른 게 무엇인가 의문이 드는 것이다. 타자화된 루저들을 그릴 때 그들의 괴물성을 전면에 부각시키고 그 괴물성을 이물감이 느껴질 만큼 극단으로 밀어붙이는데도 혐오가 아니라 오히려 일정한 매혹을 느끼게 되는 그런 압도적인 쾌감이 필요하지 않은가, 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여기에는 인물의 캐릭터의 층위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겹이 있어야 한다는 단서가 붙는다. 나아가 타자의 괴물성을 우리 내부에서도 볼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이중의 겹침이 있으면 좋지 않을까, 라는 아쉬움도 생긴다. <사람을 찾습니다>에서 등장인물들은 모두 괴물이다. 그 괴물들에게서 피해자와 가해자의 극단적인 양면만을 끄집어내는 것도 역시 폭력적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나는 그것이 수직적인 창작자의 시선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탓이 아닐까 의심했다.

다른 변화의 징후를 읽어낸 유운성의 비평

이런 내 생각에 오류가 있다는 걸 깨닫게 해준 것은 계간 <독립영화>의 다른 지면에 실린 유운성의 비평이었다. 그는 신중하게 <사람을 찾습니다>를 폭력을 다룬 일련의 다른 한국영화와 비교하면서 새로운 세대의 징후적 탐색의 전조로서 파악하는데 그 파악지점이 흥미로웠다. 거칠게 요약하는 무리를 무릅쓰고 여기 인용하자면, 유운성은 이서와 원신연의 영화가 추상적이고 원초적인 폭력의 도식에 기초하는 것에 비해 김곡, 양익준, 신동일의 영화는 폭력의 도식 자체를 끊임없이 당대 한국사회, 나아가 자본주의의 은유로 환기시키고자 한다고 본다. 그러면서 “이 영화들은 하나같이 각각의 폭력의 도식이 불완전한 것임을 은연중에 내비치게 되며 그러한 실패의 충격을 만회하기 위한 노력의 과정이 도식 자체보다 언제나 더 흥미롭다”고 보고 분석을 상술하고 있다.

유운성은 <사람을 찾습니다>가 박찬욱, 김기덕, 이창동 그리고 봉준호 ‘이후’ 세대가 폭력을 구조화하는 특정한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보았다. “폭력의 도식을 추상화하는 작업과 사회화하는 작업 사이에서(박찬욱과 봉준호 사이에서) 망설이지만, 폭력의 도식은 어떻게든 ‘극복’될 수 있다는 인간적 믿음을 상실한(김기덕과 이창동에 대한 의심) 세대의 영화”라는 것이다. <사람을 찾습니다>에서 규남은 원영이 키우던 개와 원영의 애인 인영과 원영의 경쟁자인 부동산 중개업자를 납치해 죽이는데 이는 원영이 그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규남을 학대한 직후에 벌인 일들이다. 규남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폭력을 당하는 자에서 폭력을 행사하는 자로 변한다. 나중에는 주인인 원영에게도 거꾸로 폭력을 행사하는 자로 돌변한다.

유운성은 이를 두고 폭력을 통해 유지되는 인간관계라는 도식을 생물학적 수준으로 환원시키는 시도를 물리치지 못하고 있으나 그보다 주목해야 할 지점이 있다는 것을 밝힌다. 이 영화에는 “피지배자간의 연대라고 하는 근대적 이상에 대한 의심이 있다. 억압받는 이들의 교활함을 여하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서를 비롯한 이들 세대의 영화가 ‘망설임’, ‘믿음의 상실’에 사로잡혀 있으며, 홍상수 영화에서처럼 인물들이 산책에 나서지도 못한다고 썼다. 산책에 나설 경우 이 영화의 경우에서처럼 현실은 공포영화의 그것처럼 돌변하기 때문이다.

나는 유운성의 글에서 내가 상투적인 것으로 지적한 요소들에 대해 거꾸로 다른 변화의 징후를 읽어내는 것에 부끄러움을 느꼈다. 그는 또한 이 영화에서 이상하게 내러티브의 주조와 별개로 진행되는 관계, 원영과 원조교제를 맺는 여고생의 순정에 대해 주목하는데 그녀는 자신을 귀찮아하는 원영에게 어느 날 불쑥 나타나서는 그간 받았던 돈뭉치를 돌려주고 그와의 관계에서 좋았던 느낌을 알려주고 떠난다. 지극히 건조한 폭력의 순환관계에 난폭하게 끼어든 이 소녀의 존재는 영화에 희미하게 열린 다른 존재를 향한, 다른 관계를 향한 탐색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