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자. 알다시피 얘네들은 나쁜 놈을 대상으로 나쁜 놈질을 벌이는 특수 나쁜 놈으로서, 나쁜 놈질의 등가교환을 통해 나쁜 놈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독특한 생태학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얘들은 종종 복수 타깃뿐 아니라, 걔네들에게 안락한 서식 환경을 제공하는 사회에도 경종을 울리려는 공익광고협의회스러운 행태를 보임으로써 나쁜 놈과 착한 놈의 경계를 박쥐마냥 넘나드는 바, 이러한 범용성이야말로 복수무비 양산의 가장 큰 밑거름이라는 것이 본 칼럼의 판단이다. 아무튼.
나영이 사건과 맞물리는 시의적절성을 보였음에도, 한창 힘주다 말고 대충 끊어버리는, 복수자로서는 결코 저질러서는 안되는 치명적 과오를 저지름으로써 관객에게 차갑게 버림받고 말았던 <모범시민>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복수자의 성패는 어느 정도까지 밀어붙이는가에 따라 일차적으로 좌우된다 하겠다. 그리고 그러한 관점에서 <용서는 없다>의 나쁜 놈 ‘이성호(류승범)’는 나름 발군의 나쁜 놈性을 보여준다. 즉, 복수 실현을 위해 물불 안 가린다는 점에서 얘는 나쁜 놈의 기본 함량을 충분히 만족시킨다는 것이다. 물론 얘는 타깃의 기분을 심대하게 훼손한 점 외에는 이렇다 할 복수 성과를 내놓지 못해 아쉬움을 남긴다만, 뭐, 복수자 본인이 그걸로 됐다는 데 뭘 더 바라겠어. 더구나 얘의 끗발을 떨어뜨리는 결정적 요인은 따로 있음에야.
‘이성호’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최대의 문제점은 비스무리性이다. 사리살살 착한 놈 약 올리는 <올드보이> 유지태스런 언행 등의 디테일부터 타깃 스스로가 자신의 손으로 자신을 응징하도록 덫을 치는 자급형 복수 메소드, 거의 제 발로 걸어 들어가다시피 경찰에게 체포되고-그 안에서 경찰 내부의 핵심 인물을 조종하고-범행에 힌트를 스리살살 흘려주고-그러면서도 경찰에게서 석방되기까지 하고-결국 그 모든 게 복수의 일환이었더라 하는 복수 프로세스까지, ‘이성호’가 제시하는 나쁜 놈상은 멀리는 <쎄븐>과 <올드보이>에서부터 가까이는 <세븐데이즈> <모범시민> <시크릿>까지 수많은 복수무비들에서 익히 보아온 것들이다.
우연? 필연? 표절? 모방? 인용? 참고? 참조? 오마주? 재해석? 글쎄. 본 칼럼은 그딴 분류학적 명칭엔 별 관심없다. 중요한 건 ‘이성호’의 이러한 비스무리性이, 나름의 탄탄한 짜임새에도 불구하고 <용서는 없다>를 별 감흥없는 영화로 머물게 하는 데 결과적으로 핵심적인 공헌을 했다는 점이니까. 그리고 그러한 면에서 ‘이성호’는 영화 내적으로뿐만 아니라 영화 외적으로도 나쁜 놈의 道를 실현한, 은근 강력한 나쁜 놈으로 본의 아니게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
하긴 그렇다. ‘이성호’ 비스무리性 따위는 애교 축에도 끼지 못할지 모른다. 동서와 고금을 아우르는 거대 스케일을 자랑하는 <아바타>의 비스무리性 앞에서라면. 그 앞에선, 웬만하면, 용서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