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창호의 신작 <여행>은 놀라운 영화이다. 의례적인 상찬이 아니다. 한두개의 의미의 층위로 환원되지 않는 이미지들이 ‘여행’이라는 평범한 제목과 조응하는 단순한 스토리에 스며들어 있다. 겉으로 젠체하지 않으면서, 힘을 주지 않으면서도 이 경지에 가닿을 수 있다는 것은 배창호의 재능의 축복이다. 그의 관념과 예술적 자아가 풀어헤쳐진 채 어떤 수식도 필요하지 않은 신선한 물과 같은 풍미를 지니게 되었음을 알려준다.
<여행>은 세개의 에피소드를 묶은 영화이며 개개의 에피소드는 느슨하게 묶여 있다고 볼 수도 있고 전혀 상관없는 별개의 단편들처럼 보이기도 한다. 첫 번째 에피소드는 사진전 준비를 위해 제주도를 여행하는 대학생 남녀 커플의 이야기인데 둘은 연인 사이는 아니다. 두 번째 에피소드는 집 나간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여중생 소녀의 이야기다. 세 번째 에피소드는 충동적으로 남편과 아이를 떠나 제주도로 여행 온 중년 주부의 이야기다. 처음 봤을 때 가장 인상적인 단락은 두 번째 에피소드이다. 다른 에피소드가 외지에서 제주도로 온 사람들을 다룬다면 여기서는 제주도에서 다른 곳으로 떠나보려 하는 소녀를 보여준다. 그녀를 키운 할머니는 고령에도 여전히 물질을 하는 해녀이며 그가 운영하는 횟집에는 손님이 없다. 가끔 버스 운전기사인 그녀의 삼촌이 이곳을 들르는 경우를 빼면 늘 반복적인 풍경, 반복적인 일상이 되풀이된다.
주인공들의 결핍을 메워주는 공간의 시간성
외지인들에게 신기하고 재충전할 공간으로 여겨지는 제주도 바닷가의 한 일상적 공간에 고정된 카메라가 잡는 소녀의 사연은 외지인들의 열망과 정반대다. 그들이 제주도를 들르고 싶어하는 것과 반대로 그녀는 떠나고 싶어한다. 삶의 터전으로서의 이곳은 활달한 소녀에게는 견딜 수 없이 지루한 곳이다. 어느 날 귀가한 그녀가 할머니에게 배고프다고 말하자 할머니가 피자를 시켜주는 장면은 자연스런 유머로 관광지와 생활터전의 어긋난 속내를 드러낸다. 여행 중인 어느 젊은 커플이 이곳을 들렀다가 손님이 하나도 없는 추레한 가게를 보고 떠나는 장면도 마찬가지 맥락이다. 이곳은 일시적인 도피공간이 아니라 누군가가 고된 노동을 반복하는 생활공간이다. 할머니는 매일 물질을 나가는 듯이 보이지만 그녀가 두둑하게 해산물을 건져올려 귀가하는 모습은 화면에 전혀 보이지 않는다.
어머니를 향한 소녀의 그리움은, 어머니를 찾아 어디론가 떠나고 싶은 소녀의 마음은 이곳에 뭔가 상투적인 추억거리라도 하나 건지려고 찾아오는 외지인들의 마음과 똑같다. 그런데 흥미로운 방식으로 사건이 전개된다. 외지로 나가려다 우연히 경찰에게 걸려 무산되는 소녀의 여행시도나 마침내 어떤 곡절을 겪은 끝에 어머니와 해후한 소녀의 그리움과 원망이 해소되는 과정은 현재의 결핍을 메우고 다른 것을 열망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배창호 감독의 재미있는 인간관을 추측하게 한다. 소녀의 트라우마는 격할 것 같았지만, 그리고 그만큼 소녀의 엄마의 트라우마도 해소되기 힘들 것 같았지만 뜻밖에도 두 모녀는 손쉽게 다시 관계를 복원한다. 그들이 그렇게 하는 것은 엄마가 한때 살았었고 지금은 소녀가 할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고향마을의 그 익숙한 풍경 안에서다.
엄마가 소녀와 멀리 떨어져 있는 동안, 소녀의 나이에 맞춰 늘 준비해왔던 선물꾸러기를 펼쳐놓았다고 해서 그렇게 두 사람이 쉽게 관계 복원을 했다고는 보이지 않는다. 마치 몇달 동안 출장을 다녀온 것처럼 심상하게 말하는 엄마의 일상적인 목소리에서 슬픔과 결핍의 기운이 감지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삶에 대한 책임과 개인의 성취나 욕망 사이에서 우왕좌왕하는 것은 어른이나 애나 똑같을 것이다. 이것을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주술적 기운으로 묶어주는 것은 그들이 함께 느끼는 공간의 시간성이다. 엄마가 살았었고 딸인 소녀가 살고 있는 그 공간에서 그들은 순식간에 결핍을 메울 에너지를 느끼는 듯이 보인다. 나는 이런 방식이 신기하고 경이적이었다.
이는 첫 번째 에피소드와 (어떤 이들은 가장 불만스럽다고 말하는) 세 번째 에피소드에 대해서도 비슷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대학생 커플은 늘 티격태격한다. 둘 다 내심 좋아하지만 좀더 적극적인 쪽은 남자다. 그는 소심한 성격이지만 감정을 숨기는 데 서툴러 대개는 여자에게 끌려간다. 여자는 이기적인 듯이 보이지만 실은 남자가 그런 것 이상으로 그를 좋아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사소한 티격태격 끝에 여행을 도중에 끝낼 듯이 구는 그들을 비추는 카메라는 익히 볼 수 있는 상황에서 뭔가 다른 느낌을 끌어낸다. 그들은 전시회에 낼 사진을 끊임없이 찍고 저장하는데 그들이 기록하는 대상과 대상이 이미 거기 존재하고 있는 것의 대비는 이 에피소드에서 시종일관 화면을 채운다. 그들이 길을 걷다가 오랜 시간 풍화된 돌을 바라볼 때 카메라는 이례적으로 그 돌을 향해 다가간다. 표정이 없는 듯이 보이면서도 다양한 표정을 머금은 듯이 보이는 돌의 이미지는 그 돌 앞에서 까불고 노는 젊은이들의 모습과 묘한 대비를 이룬다.
여기에 어떤 절대적인 우월관계를 깔았다고 말하는 게 아니다. 오래도록 견딘 것과 이제 새로 시작하는 연인의 인연은 물론 찰나와 영원의 일시적인 유비를 보여주지만 중요한 것은 그걸 본다는 것이고 부지불식간에 그걸 의식하고 있는 남녀 주인공의 모습이다. 비가 오는 어느 날 여느 때처럼 티격태격한 남녀는 잠깐 헤어져 남자는 바닷가의 절벽을 촬영하러 가고 여자는 테디 베어 곰인형 박물관에 간다. 그들은 각자 떨어져 다른 공간에서 뭔가를 보고 있다. 남자는 절벽 근처에서 사진을 찍다가 몇 차례 여행 도중 지나친 적이 있는 어떤 여인을 또 보게 된다. 그녀는 먼 곳을 응시하고 있다.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그리고 이 에피소드 뒤에 다시 등장하지도 않는다). 지금 이곳을 마음속으로 떠나 먼 곳을 응시하는 그 눈길은 근본적으로 자신이 경험할 수 없을 사연을 간직한 풍경과 대상을 찍는 젊은이들의 눈길과 같다. 테디 베어와 절벽을 각자 본 남녀는 그 직후에 은근슬쩍 화해한다. 을씨년스럽게 내리던 비는 이제 그쳐 있다.
초월적 공기를 화면에 불러온 배창호의 공력
결국 내가 이 영화에 감동받은 이유는 거대한 관념을 동원하지 않고도 초월적 공기를 화면에 불러온 배창호의 연출공력이었다. 우리의 사소하거나 심각한 결핍들과 그에 반비례해 낮아진 도피와 초월의 욕망의 에너지를 그는 관광지의 상투적 풍경과 일상적 공간에 은근슬쩍 새겨놓은 것이다. 세 번째 에피소드에서 가정의 일상적 짐을 벗어던지고 제주도에 여행왔다가 다시 돌아가는 가정주부(배창호의 아내 김유미가 연기한다)의 모습도 그런 차원에서 보면 진부하지 않았다. 그녀는 이곳에서 <긴 머리 소녀>를 기타 치며 부르는 주인이 있는 카페의 손님으로 과거를, 어쩌면 젊었을 적 자신을 회상하고 유명 학원을 운영하다 때려치우고 새 삶을 제주도에서 시작한 중년 여자를 만난다. 아마도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의 젊은이들이 나이를 먹으면 이 여인처럼 책임과 방기, 세속과 초월 사이에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연인 시절 티격태격하는 사랑의 에너지가 일상의 틀에서 마모돼가는 것은 대다수 사람들의 세속의 삶이다. 물론 여자는 지금까지의 그 삶을 버릴 수 없다. 다시 돌아가야 한다. 그렇지만 예민하게 의식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세속의 삶에서의 초월성, 시간의 풍화를 견딘 돌처럼 또는 어디론가 먼 곳을 응시하는 어떤 여인의 응시의 눈길처럼 우리는 그걸 받아들이며 살아야 한다.
<여행>은 삶에서 우리가 받아들여야 하는 책임과 초월의 문제를 거대한 관념에 의지하지 않고도 보여준다. 너도나도 행복해지고 싶다고, 사랑하고 싶다고, 사랑받고 싶다고 갈망하고 있지만 그것에 대해 연연해하지 않으며 성숙해질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를 배창호는 영화감독의 오랜 예술적 자아의 축적을 통해 우리에게 느끼하지 않은 방식으로 질문하고 체험하게 해준다. 종교적인 구원에 의지하지 않고도, 세속의 삶을 버리지 않고도, 거기 따르는 허다한 개인적 결핍을 감싸안으면서 이 영화는 행복하게 견딜 수 있는, 아니 행복하게 인생을 체험할 수 있는 작은 리트머스 시험지를 내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