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객잔]
[전영객잔] 순진과 냉소사이 [2]
2010-07-01
글 : 남다은 (영화평론가)

계층간의 대립구도에는 관심없어

몽룡이 귀향한 뒤, 변학도를 이용해서 춘향과 미담을 공모한다는 이 영화의 설정이 실은 전면적으로 새롭지는 않다. <춘향전>에서도 암행어사 출두를 알리기 전, 귀향한 몽룡은 거지꼴을 하고 나타나 신분을 속이고 이야기를 꾸몄다. 혹은 그 자체로 미담인 암행어사 출두의 성공을 위해 그는 잠시 선의의 거짓을 빌렸다. 말하자면 <방자전>이나 <춘향전>이나 몽룡이 상황을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무언가 세팅했다는 점에서는 공통된다. 다만 그것이 어떤 목적을 향해 있는지에 차이가 있다. <춘향전>에서는 변학도의 부패를 고발하기 위한, 간단히 말해 정의의 실현이 목적이었다. 하지만 <방자전>에서는 몽룡 자신의 출세, 즉 신분상승의 욕망을 위한 것이다. 이야기 뒤의 진실이 문제가 아니라, 무엇이 이야깃거리(요즘 식으로 말하면, 대중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만한 기삿거리가 되느냐)가 되느냐의 문제가 중요해진다. 진실은 이야기가 아닌 인간에게 있고, 그 진실된 인간의 이야기가 역으로 이야기의 진실을 보증해주었다면, 이제 이야기가 인간의 위치를 만들고 진실을 결정한다. 이와 관련해 또 다른 차이는 춘향이 그것이 꾸며진 이야기인지를 아는지 모르는지의 여부에 있다. 원작에서 춘향은 모른다. 여기서 강조되는 것은 변학도의 요구에 대항해서 춘향이 수절한다는 사실이며, 이때 춘향은 단지 정조를 지키는 여성을 넘어서 권력에 저항하는 민중의 저항으로 줄곧 읽혔다. 요컨대 임권택의 <춘향뎐>에 대해 정성일은 “춘향이 조선시대의 삼강오륜을 벗어나 자기 스스로의 자아를 획득하고 그 자신의 의지에 따라 살고자 하는 모습을 받아들이려는 선택의 태도가 있다”며 그것을 “임권택의 인본주의”라고 표현했다(<임권택이 임권택을 말하다2>). 춘향의 고통을 신파조로 보여주는 것보다 관의 횡포를 극대화해서 결국 민중의 의지를 끌어안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판단일 것이다. 하지만 <방자전>의 춘향은 몽룡의 미담을 미리 알고 이에 공모한다. 춘향은 무슨 게임을 하듯, “내가 놓은 덫이니까 걸렸나 봐야죠”라고 말하지만, 속뜻은 결국 신분상승의 욕망이다. 그렇다면 수절을 ‘연기’할 줄 아는 춘향에 대해 계층상승의 욕망을 실현하는 적극적인 여성상으로의 변화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런 질문을 수용하기에 춘향의 캐릭터에 납득할 수 없는 지점들이 많다는 지적과는 별개로, 이 영화가 그녀를 어떤 결말에 이르게 하는지를 잊으면 안된다. 몽룡에 의해 절벽에서 떨어져 물에 빠진 춘향은 앞서 말한 대로 그 영악함이 아무런 기능도 할 수 없는 아이의 상태가 되고 방자는 실패한 춘향의 꿈을 ‘춘향전’이라는 소설 안에서 이루어주려고 한다. 말하자면 영화는 춘향을 계층상승의 욕망을 환상할 수밖에 없는 상태로 퇴행시킨다. 영화의 이러한 선택은 아무리 사랑을 부각하기 위한 것이라고 영화적 방점이 찍혔어도, 그 선택의 이면을 들여다보지 않을 수 없다. <방자전>의 춘향은 결국, 신분상승의 욕망도, 성적 욕망도 모두 사라진, 원작의 춘향과 비교해도, 그 자체로도 아무것도 아닌 존재로 남는다. 더욱이 문제는 몽룡의 미담 성공, 춘향의 미담 실패가 춘향의 좌절된 욕망을 감싸는 환상으로서의 ‘춘향전’으로 향하고, 이러한 결말이 <춘향전>을 민중의 저항서사가 아니라, 하층민의 계층상승 욕망의 궁극적인 실패를 증거 하는 이야기로 바꿔버린다는 점이다. 그 패배주의도 달갑지 않지만, 영화가 때때로 계층상승 욕망과 권력에 대한 저항을 구분하지 못하거나 구분할 생각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도 지적해야 할 것이다. 또한 방자가 ‘춘향전’의 구술자라는, 즉 원작의 주변인이 실은 원작의 숨겨진 중심인물이라는 것이 나름의 반전이라 해도, 그 반전에서 어떤 정치적 야심도 볼 수 없다는 건 아쉬운 일이다. <방자전>은 <춘향전>의 중심구조인 인물들간의, 실은 계층간의 대립구도에 관심을 두지 않는 영화다. 그래서 인물들은 모두 신분상승에 대한 욕망은 있지만, 자신이 서 있는 토대에 대한 문제의식은 없다. 이렇게 말할 수도 있겠다. 이 영화에서 모든 욕망(의 이야기들)은 평등하게 교차한다. 그러나 그 욕망(의 이야기가 놓인 자리)의 조건은 결코 평등하지 않다는 사실을 영화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진함의 힘을 믿겠다

행여 누군가가 사랑으로 완성된 <방자전>의 결말을 순진하다고 비판한다면 그건 잘못된 판단이다. 우리는 (앞서 인용했듯) 감독이 원작의 “순진”한 결말을 비틀어보고 싶었다는 말을 기억해야 한다. 민중의 저항이 순진하다는 건지, 서로 다른 계층간의 사랑이 순진하다는 건지, 그걸 상상하는 서민의 욕망이 순진하다는 건지 모르겠다. 어쨌든 김대우의 말에 따라, 권력에 끝까지 맞선 춘향과 몽룡이 맺어지는 결말이 순진한 이야기라면, <방자전>의 사랑은 그 순진함을 실은 냉소적으로 변주하는 이야기다. 하지만 지적 능력을 상실한 채 방자의 등에 업혀 있는 춘향과 환상 속에서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몽룡의 신분에 무릎 꿇는 방자의 결단을 택할 바에야 나는 차라리 순진함의 힘을 믿는 쪽을 택하겠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