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제 소식]
돌아오라! 피리 부는 소년이여
2010-10-13
곽지균 추모전: 청춘 멜로의 초상

지난 7월의 일이다. 故 곽지균 감독의 49제를 맞아 서울아트시네마에서 그의 모교였던 서울예술대학 영화과 동문회 주최로 ‘곽지균 감독 추모 영화제’가 열렸다. ‘초여름에 먼 길을 떠난 겨울 나그네’라는 제목의 행사였다. ‘가야할 먼 길’이라는 말을 남기고 그가 초여름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평소 곽지균 감독과 친분을 맺었던 배창호, 이명세, 허진호, 김국형 감독을 비롯해 그의 영화에 출연한 안성기, 강석우, 배종옥, 정보석, 지현우, 김혜선 등의 배우들이 참여했다. 현 서울예대 부총장인 정중헌씨의 첫 말을 인상적으로 기억한다. 곽지균 감독하면 언제나 아스라함, 아련함 같은 단어와 어딘가 젊은 날의 열정과 가슴앓이,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청춘의 정서, 눈물과 회환이 떠오른다는 것이다. 젊은 날의 방황과 불안한 정체성 찾기는 곽지균 감독이 평생 다뤘던 문제다.

도처에 외상이 있다. 현재의 불안에 선행해 사랑했던 사람이나 결코 돌아올 수 없는 시절의 상실이 있다. 인물의 우울증은 나르시스의 숨겨진 얼굴로, 그 연약한 자아 위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겨울 나그네>(1986)의 ‘피리 부는 소년’ 민우(강석우)는 그의 페르소나였다. 민우는 텅 빈 절망에 짓눌려 있는데 고통은 정신만이 아니라 그의 몸을 지배한다. <젊은 날의 초상>(1990)이나 <그 후로도 오랫동안>(1989), 그리고 <청춘>(2000)과 같은 작품에는 정신적 고통 이상의 물리적으로 가혹한 장면이 등장하곤 한다. 가령, <청춘>에서의 성적 장면들이 그러하다. 인물의 영혼이 카메라 앞에 가혹하게 드러나는 순간들로, 엘리아 카잔이 <에덴의 동쪽>이나 <초원의 빛>에서 시도했던 것들이다. <겨울 나그네>에서 민우가 카바레를 운영하는 여인을 만나는 장면의 풍부한 표현은 잊기 힘들다. 카잔의 영화에서처럼 남성적 주인공들은 성적으로 쉽게 상처받기 쉬운 인물들이다. 성장하지 못한 소년들은 현실세계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고 여전히 아름다운 꿈을 꾸려 한다. 꿈의 현실화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그들은 수치와 영광의 결합으로서 몸을 뒤늦게 발견한다. <그 후로도 오랫동안>이나 <청춘>에서의 남녀의 벌거벗은 미숙한 정신성을 비웃지만 동시에 정신을 매혹시킨다.

그리하여 곽지균의 영화에서 인물들은 그 시작이 그러했던 것처럼 영원히 겨울 나그네로 되돌아간다. 그 겨울은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우울한 계절이지만 지나간 시절을 되돌아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뛰는 시절, 즉 청춘의 시기이다. <청춘>에서 보였던 것처럼 인물들은 자신에 대한 혐오감을 넘어서 위로 받고자 하고 모든 걸 다시 시작하고 싶어 한다. 배우 강석우는 곽지균 감독의 따듯한 정서가 있었기에 힘들어 하던 자신의 소년적 감성을 위로 받고 이해 받을 수 있었다고 말한 바 있는데, 정작 위로 받아야 할 것은 바로 자신이었다. <겨울 나그네>의 마지막에서 현태(안성기)가 민우의 무덤가에서 꺼내는 말들은 결국 고스란히 곽지균 감독에게 바치는 송가처럼 보인다. 그는 어디로 갔는가? 이제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우리들의 젊은 날. 그 젊은 날은 어디로 사라졌나? 우리들의 피리 부는 소년, 곽지균 감독. 그러나 그는 죽은 것이 아니다. 그의 영화 속에서 그는 계속 살아나고 있다.

글 김성욱/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