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문예영화의 거목 떠나다
2011-04-04
글 : 김성훈
<삼포가는 길> 유동훈 시나리오작가 타계

“내 이름은 이점순이에요.” 고 이만희 감독의 유작 <삼포가는 길>의 기차역 이별 장면, 사랑하지만 헤어질 수밖에 없는 문숙이 마지막으로 백일섭에게 꺼내는 한마디다. 문숙과 백일섭 그리고 김진규의 연기도 좋았고 배경인 강원도 설원도 아름다웠지만 <삼포가는 길> 하면 이 마지막 장면이 먼저 떠오른다.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구원과 용서’를 짧고 평범한 이 한마디에 함축했다고나 할까. <삼포가는 길>의 유동훈 시나리오작가가 3월30일 세상을 떠났다. 향년 71살.

전남 고창 출신인 유동훈 작가는 서라벌예대(지금의 중앙대) 시절 전형적인 문학청년이었다고 한다. 연극영화과였음에도 그는 전공 수업보다 문예창작과 수업을 더 열심히 들었다. 데뷔작도 프랑스의 문호 알렉상드르 뒤마의 고전을 각색한 <춘희>(1967)였다. 이후 그는 1970년 한해에만 무려 14편의 작품(이중 한편만 각색이고 나머지는 전부 오리지널이었다!)을 극장에 올리는 등 놀라울 정도의 창작열을 발휘했다. 유동훈 작가가 주력했던 장르는 당대 최고의 액션배우 박노식과 장동휘 등이 단골로 나왔던 액션물이었다. 그런 그가 작가적인 기량을 만개했다고 평가되는 해는 1975년. 그가 작업한 <삼포가는 길>과 최하원 감독의 <마지막 포옹>은 후배 작가들로부터 “문예영화의 최고봉”이라 평가받는다. 또 그는 1982년 <야생마>로 직접 감독 데뷔해 이후 <가슴이 뛰네> 등 두 작품을 연출했고, 영상작가전문교육원과 시나리오뱅크를 설립해 후배 시나리오작가를 양성하고 시나리오작가의 지위 향상에 애써왔다. 그의 시나리오에 대한 열정만큼은 “한국의 프랭크 피어슨”이라는 심산 작가의 표현이 결코 과장된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