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리뷰]
세월의 서글픔마저 포용하는 음악과 사랑의 힘 <치코와 리타>
2012-01-04
글 : 김효선 (영화평론가)

1948년 하바나의 한 클럽, 천재 피아니스트 치코(에마르 조 오나)는 가수 리타(리마라 메네세스)의 고혹적인 목소리에 매료된다. 두 사람은 곧 사랑에 빠지고 함께 경연대회에 나가 우승하지만 서로에 대한 오해와 실망 끝에 결국 이별하고 만다. 이후 리타는 뉴욕에서 인기 가수가 되어 자리를 잡고, 치코 역시 성공을 꿈꾸며 뉴욕에 도착한다. 영화는 노인이 된 치코가 우연히 경연대회 참가곡을 들으며 회상에 잠기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오래된 신문기사와 사진들, 낡은 악보를 따라서 하바나와 뉴욕을 오가는 러브 스토리가 수채화 톤의 그림 속에 펼쳐진다. <아름다운 시절>의 페르난도 트루에바 감독은 다큐멘터리 <칼레 54>를 만들며 맺은 인연으로, 유명 일러스트레이터 하비에르 마리스칼과 의기투합해 이 애니메이션을 만들어냈다. <부에나비스타 소셜 클럽>의 정서를 떠올릴 수도 있겠지만 이번에는 좀더 관능적이고 로맨틱하다.

<치코와 리타>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요소는 역시 음악이다. 영화 전편에 라틴 재즈가 흐르는 것은 물론, 마치 뮤지컬의 막이 오르내리듯 장면이 전환될 때마다 브라스 합주가 고조된다. 영화의 음악은 쿠바의 전설적인 뮤지션 베보 발데스가 담당했다. 주인공 치코의 삶은, 쿠바 혁명 이후 사람들에게 잊혔다가 30여년 만에 재발견된 발데스의 이력과도 닮아 있다. 감독은 <치코와 리타>를 그에게 헌정했고, 영화는 발데스뿐만 아니라 1940, 50년대에 활약했던 쿠바 뮤지션들에 대한 애정과 존경을 담고 있다. 음악과 함께 사랑에 빠지고, 음악으로 슬픔을 느끼며, 또한 음악을 통해 오랜 아픔도 넘어서는 치코의 모습은 남루한 세월마저 리듬 속에 유유히 흘려보내는 이들의 예술혼을 연상시킨다. 영화는 꿈의 도시 뉴욕에서 치코와 리타가 유색인 예술가로서 경험하는 불평등한 상황과 한계를 보여주지만 이들의 음악은 비극적 현실을 결코 좌절과 비애감 속으로 침잠시키지 않는다. 상반된 두 도시, 활기 넘치는 원색의 하바나와 모노톤의 뉴욕도 재즈 선율을 통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치코가 리타를 그리며 만든 노래는 그들의 애처로운 운명을 되돌리고 싶은 간절한 마음을 담고 있다. 오해와 질투로 인해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하는 안타까운 사랑 이야기. 어찌 보면 <치코와 리타>는 다소 진부한 러브 스토리라 할 수 있다. 갈등은 전형적이며, 이야기의 속도도 더딘 편이다. 그러나 그 긴 시간과 수많은 장소를 경유해 마침내 과거의 사연과 기억들이 현재로 이어지는 마지막 장면에 이르면, 찰나의 열정도 오랜 기다림도 그저 변화무쌍한 리듬을 타고 흐르는 삶의 일부임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세월의 서글픔마저 포용하는 음악과 사랑의 힘에 가슴 한편이 뭉클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올여름, 제천국제음악영화제 경쟁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