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장이독자에게]
[에디토리얼] 영화는 왜 영화를 추억할까
2012-02-20
글 : 문석

영화는 100년이 조금 넘는 역사 속에서 엄청난 변화를 겪은 듯 보인다. 19세기 말 토머스 에디슨과 이스트먼 코닥, 그리고 뤼미에르 형제의 공적으로 탄생한 영화는 무성에서 유성으로, 흑백에서 컬러로, 2D에서 3D로, 필름에서 디지털로 바뀌어왔다. 그리고 또 다른 기술의 혁신이 찾아올 것이다. 그런데 이같은 변화를 ‘발전’이라고 일컬을 수 있을까. 이 질문은 새로운 기술 도입으로 인한 표현양식의 변화가 영화의 본질까지 바꾸어놓았느냐는 물음과 다르지 않다.

최근 개봉한 <아티스트>를 보고 있노라면 ‘그렇다’고 대답하기 망설여진다.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로 넘어가는 시대의 할리우드를 그린 이 영화는 흑백화면에 무성영화 기법(이 영화의 95%는 무성이지만 중요한 순간 소리가 튀어나온다)으로 만들어졌지만 현대의 관객이 보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번주 ‘전영객잔’에서 장병원 평론가는 <아티스트>가 무성영화와 유성영화의 “변증법적 진화론의 역사로 영화사의 한순간을 풀이한다”고 했는데 어느 정도 맞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영화사의 중요한 한순간을 기발한 아이디어로 엮어낸 이 영화는 대사와 사운드가 영화의 일부일 뿐이라는 사실을 새삼 일깨운다.

마틴 스코시즈의 신작 <휴고> 또한 비슷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형식적으로는 CG가 듬뿍 가미됐고 3D효과까지 두드러지지만 <휴고>의 이야기는 1900년대 초반의 영화사를 통해 현대 극영화의 ‘시조’ 격으로 평가되는 <달나라 여행>(1902)의 감독 조르주 멜리에스의 꿈과 삶을 보여준다. 전설적인 할리우드 프로듀서 데이비드 O. 셀즈닉의 친척 브라이언 셀즈닉이 쓴 원작 <위고 카브레>를 그대로 옮긴 것이긴 하지만, <휴고>는 대단한 영화광이자 최근 들어 필름 복원에 열을 올리고 있는 스코시즈의 관심사가 반영된 영화이기도 하다. 이 영화에는 흥미로운 장면이 하나 있다. 그건 최초의 영화로 기록되는 <기차의 도착>(1895)에 관한 것이다. 여러 영화사 책은 살롱에 모여 이 영화를 보던 관객이 실제로 기차가 스크린 밖으로 나오는 줄 알았다고 전하는데, <휴고>는 기차가 뛰쳐나오자 관객이 놀라는 모습을 3D로 생생하게 묘사한다. 이는 관객에게 모든 영화는 결국 3D로 인식된다는 뜻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솔직히 말하자면 개인적으로 두 영화 모두 아이디어에 비해 알맹이는 다소 헐빈하다는 느낌을 받긴 했다. 최첨단 기술과 대자본을 이용해 초기 영화사를 되돌아보는 스코시즈의 <휴고>가 너무 호사스럽게 보여(화려한 프로덕션 디자인만큼은 정말 끝내준다!) 소박한 <아티스트>쪽의 손을 들어주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그 시도만큼은 매우 흥미롭다. 두편 모두 영화(사)에 관한 영화라는 점뿐 아니라 기술의 변화와 영화의 관계를 조망하려 한다는 점에서도 신선하다. 영화가 궁극적으로 관객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라면 기술이란 이를 받쳐주는 수단일 뿐이니까.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