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리뷰]
감독만의 해석이 부족하다 <헝거 게임: 판엠의 불꽃>
2012-04-04
글 : 이후경 (영화평론가)

미국판 <배틀 로얄>. 혹자들은 수잔 콜린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헝거게임: 판엠의 불꽃>을 이렇게 요약한다. 9년에 한번 소년소녀들을 죽음의 미로로 보내 괴물 미노타우로스와 싸우도록 했다는 고대 그리스 신화 ‘테세우스’를 원형으로 한 ‘헝거게임’은 가상의 독재국가 판엠이 체제 유지를 위해 기획한 서바이벌 게임이다. 12개 구역에서 무작위 추첨을 통해 선발된 소년소녀 24명은 자신에게 주어진 무기를 이용해 1명만 살아남을 때까지 목숨을 건 사투를 벌여야 한다. 헝거게임의 규칙은 그러나 배틀 로얄의 그것보다 다소 복잡하다. 그 차이는 미디어의 개입에서 비롯된다. 일본과 달리 판엠에서는 텔레비전을 통해 24시간 동안 생중계되는 그 잔혹한 경기를 전 국민이 의무적으로 지켜봐야 한다는 규칙이 추가된다. 이에 <빅 브러더> <서바이버> 같은 영미권의 무수한 리얼리티쇼들이 떠오르는 것도 당연하다. 더불어 인터뷰 진행 방식은 <오프라 윈프리 쇼>를 연상시키며, 온 국민이 스크린 앞에 모여 자기 구역 대표 선수들을 응원하는 광경은 월드컵이나 올림픽 시즌을 상기시킨다. 그러다보니 영화가, 지금 우리가 미디어를 어떤 방식으로 향유하고 있는가에 관한 보고서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리고 이왕 그럴 작정이었다면 미디어의 양면성을 더 정교하게 드러냈더라면 좋았겠다. 디스토피아를 그리는 데 충실하려 한 의도가 지배계급이 피지배계급을 통제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미디어만 강조한 결과를 낳은 것 같아 아쉽다.

‘헝거게임’의 섬뜩함은 칼부림에 있지 않다. 폭력 묘사 수위만 두고 보면 비교적 얌전한 영화라 할 수 있을 정도다. 참가자들이 살상무기를 휘두르는 순간에도 자극적인 음향효과보다는 애잔한 음악을 사용하는 등 살육의 쾌락으로부터 거리두기를 하려고 한 노력이 엿보인다. 헝거게임이 진짜 무서운 이유는 아무리 발버둥쳐도 벗어날 수 없는 게임의 규칙 때문이다. 추첨 현장에 끌려가는 소년소녀들을 홀로코스트영화처럼 찍어낸 초반부 장면이 그 무거운 굴레를 체감케 한다. 비범할 정도의 활쏘기 능력을 지녔다 한들 주인공 캣니스 에버딘(제니퍼 로렌스)의 신세도 마찬가지다. ‘죽이거나 혹은 죽거나’라는 게임의 규칙에 복종해야 하는, 체스판의 말에 불과한 그녀는 판을 흔들어보려고 무진 애를 쓴다. 하지만 그녀가 게임메이커를 기만하는 데 성공했다 하더라도 잠시 동안만이다. 현실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게임이나 다름없는 세상, 배부른 자와 배고픈 자의 갈등이 최고의 오락거리로 활용되는 세상에서 그녀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최대한 오래 버티는 것뿐이다. 다만 이런 관점이 원작에서 빌려온 것이 아닌, 감독의 창조적 역량의 일부였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원작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주변인물이나 정치적 배경에 관한 설명을 과감히 생략한 감독의 결단력은 돋보이나, 감독만의 해석은 읽히지 않아 안타깝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