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리뷰]
‘조폭’ 고딩 파바로티 <파파로티>
2013-03-13
글 : 우혜경 (영화평론가)

이야기는 이렇다. 좌절된 꿈에 상처받고 그 어떤 일에도 그저 시큰둥하기만 한 김천예고 음악 교사 상진(한석규) 앞에 어느 날 ‘조폭’ 고등학생 장호(이제훈)가 전학온다. 조폭 동생들의 호위를 받으며 노랗게 염색한 머리와 검정 양복 차림으로 세단을 타고 등교하는 장호가 못마땅하기 짝이 없지만, 교장(오달수)의 특별 부탁에 상진은 장호를 자신의 수업에 마지못해 받아들인다. 하지만 낮에는 고등학생으로 노래를 배우기 위해 학교에 다니고, 밤에는 조폭 ‘형님’으로 업소를 관리해야 하는 장호의 이중생활이 순조로울 리 없다. 영화의 전반부가 두개의 분리된 삶을 오가는 장호가 벌이는 에피소드로 관객의 웃음을 끌어냈다면, 후반부에서는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장호와 헌신적인 주변 인물들의 감동적인 이야기가 웃음기를 거두고 준비되어 있다.

잘 알려진 것처럼 이 영화는 한 TV프로그램에서 ‘고딩 파바로티’라는 이름으로 소개됐던 고등학생의 실제 이야기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많은 극영화들의 공통적인 두 가지 고민이 있다. 하나는 어떻게 실제 이야기를 ‘극적’(혹은 영화적)으로 만들 것인가이고, 또 다른 하나는 ‘꾸며진 이야기’(시나리오)를 어떻게 ‘진짜’처럼 감동적이고 생생하게 살려낼 것인가이다.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은 이 두 질문이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균형’의 문제라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파파로티>는 개봉 시기도 같고, 음악이라는 소재도 같은 대만영화 <터치 오브 라이트>와 함께 살펴보면 한층 흥미롭다.

시각장애인 피아니스트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터치 오브 라이트>의 경우, 이 이야기의 실제 주인공 피아니스트 황유시앙이 직접 출연해 자신의 이야기를 ‘연기’한다. 때문에 그가 피아노를 연주하는 장면이 주는 실제의 감동은 다큐멘터리 못지않다. 그런데 전문적인 연기자 대신 실화의 주인공을 캐스팅하면서 후자의 질문에 먼저 대답한 장영치 감독은 둘간의 균형을 잡기 위해 황유시앙의 대척점에 무용수를 꿈꾸는 여주인공의 ‘극적’ 이야기를 배치해놓았다. 문제는 황유시앙의 실제 모습과 여주인공의 꾸며진 이야기 사이의 간격이 때로 너무 넓어 어떤 장면들은 마치 다큐멘터리와 극영화를 날것 그대로 거칠게 엮어놓은 듯 보인다는 점이다. 이에 반해 <파파로티>는 <터치 오브 라이트>와 정반대의 고민을 가진 영화라 할 수 있다.

아마도 많은 관객이 이 영화에서 가장 궁금해하는 지점은 ‘성악 신동 장호를 연기하는 배우 이제훈이 과연 어떻게 노래를 할 것인가’가 아닐까? 아니 더 정확한 질문은 ‘그가 얼마나 진짜 성악가처럼 노래하는 연기를 해낼 것인가’일 것이다. 그런데 성악가가 아닌 그가 어떻게 성악가처럼 노래를 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고 이제훈만큼 연기를 할 수 있는 성악가를 찾는 것도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이 딜레마 앞에서 <파파로티>는 과감하게 이제훈을 선택한다. 그리고 그 대신, 어떻게 하면 철저하게 영화를 ‘극적’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인가라는 질문에만 답해나가기 시작한다. 말하자면 <파파로티>의 미덕은 실화의 소재가 주는 (어쩔 수 없는) 한계를 인정하고, 이것을 드라마틱하게 짜넣은 이야기들로 어떻게든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데 있다. 그래서 진지한 표정으로 노래하는 이제훈의 모습에서 더빙된 성악가의 목소리가 흘러나올 때, 그 낯선 순간을 관객이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차곡차곡 이야기를 쌓아나간다.

하지만 윤종찬이라는 감독의 이름 앞에서, 십년도 더 지난 지금도 가슴 서늘한 아파트 복도의 이미지가 머릿속에 생생하게 남아 있는, 그의 첫 번째 영화 <소름>을 떠올린 관객이라면 <파파로티>에는 거의 남아 있지 않은 그의 ‘흔적’을 무척이나 그리워할지도 모르겠다. 나도 그렇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