쫓는 자가 쫓기는 자가 되었다. <악의 연대기>에서, 배우 손현주는 드라마 <추적자: THE CHASER>(이하 <추적자>)의 백홍석과 정확히 반대 지점에 서 있는 형사를 연기한다. <추적자>에서 백홍석의 딸을 죽인 ‘높은 분’은 “큰 마차가 먼 길을 가다보면 깔려죽는 벌레도 있기 마련”이라고 말했지만, <악의 연대기>에서 최 반장을 연기하는 손현주의 운명은 ‘깔려죽는 벌레’가 아니라 ‘먼 길을 가야 하는 큰 마차’에 가깝기 때문이다. 더이상 잃을 게 없었던 아버지의 퀭한 눈은, 잃으면 안 될 것이 너무 많아 악행의 역사를 새로 쓰는 ‘가진 자’의 눈빛으로 바뀌었다. 그렇게 배우 손현주는 어느 시점부터 누군가의 연인, 친구, 남편이었던 평범한 소시민의 궤도에서 조금씩 벗어나고 있는 중이다. 이 배우의 현재를 좀더 깊이 들여다보고 싶었다.
기
참 묘한 기분이 든다. <악의 연대기>에서 ‘쫓기는’ 손현주의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지금으로부터 3년 전 5월, 드라마 <추적자>에서 그는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딸을 죽인 ‘그놈’을 쫓는 아버지였다. 용서는 힘 있는 사람이 하는 것이기에, 당신이 지금 할 수 있는 건 용서가 아니라 포기라고 말하는 ‘높은 분’을 끌어내렸던 건, 그저 딸에게 좋은 아버지이고 싶었던 한 남자의 절절한 분노와 정의를 향한 의지였다. 그 남자, 백홍석을 연기한 배우 손현주의 깊은 눈매가, <악의 연대기>에서는 지켜야 할 것과 감춰야 할 것이 많아 늘 불안하게 흔들리는 ‘가진 자’의 눈빛으로 변해버린 것이다. “외로웠다. 드라마 <추적자>에서처럼 진실을 드러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인물을 연기하는 것도 외로웠지만, 자신의 잘못을 덮기 위해 끊임없이 거짓말을 하고 무언가를 감추려는 인물을 연기하는 건 더 외롭고 긴 싸움이었던 것 같다. 스트레스 지수로만 보면 아마 <악의 연대기>의 최창식 반장쪽이 더 높지 않았을까. 등장인물들은 알지 못하고, 나와 관객만이 알고 있는 최창식의 악행에 대한 미묘한 심리를 표현하는 과정은 그야말로 외롭고 지친 싸움이었다.” 자신이 우발적으로 저지른 살인사건을 수사하게 된, 특급 승진을 앞둔 형사. <악의 연대기>의 최창식 반장을 연기하는 배우 손현주의 마음을 가장 강하게 사로잡았던 건 ‘외로움’이라는 감정이었다. 언젠가 그는 “드라마 <추적자>를 끝낸 뒤에는 강동윤 같은 남자(배우 김상중이 연기한, 백홍석의 딸을 죽인 그 ‘높은 분’이다)를 연기하고 싶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악의 연대기>에 이르러서야 손현주는 비로소 백홍석의 반대편에 서 있던 악한, 강동윤의 마음을 이해한 것일지도 모른다.
승
“대사와 지문 사이에 있는 여백을 메워주는 것이 배우의 사명이 아닐까 생각한다”라고 손현주는 말한 적 있다. 그런 그에게, <악의 연대기>의 시나리오는 “배우가 어디까지 나아갈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좋은 도전 과제가 되어줬다. “최 반장만이 알고 있는 고통을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 그 질문이 촬영장에 갈 때마다 내 가슴을 무겁게 짓눌렀다. 과하지 않게, 하지만 그의 감정이 전달될 수 있을 정도로 적절히 표현하는 방법이 어떤 것일까 늘 고민이 되더라.” 매 장면에서 배우가 허투루 담기는 일이 없길 원했던 백운학 감독의 꼼꼼한 디렉션도 이 베테랑 배우의 고민을 더 깊게 만들었다. 하지만 <추적자>의 백홍석이 그랬고 <숨바꼭질>의 성수가 그랬듯, 배우 손현주의 진정한 승부수는 마치 지금 현실 어디에선가 존재할 것만 같은 보통 사람의 당위성을 인물에 덧입혔을 때 발휘된다. 그가 최 반장의 과거 모습을 담은 에필로그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백운학 감독에게 힘주어 말했던 까닭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다. “최 반장에게도 의욕 넘치고 열정 넘치고 패기 넘치는 시절이 있었다. 그렇게 살면 아무 문제가 없었을 텐데, 결국 어느 시점에서 그에게도 세상과 타협하는 순간이 온 거다. 악행을 저지르는 인물에게도 한때는 정의로운 시절이 있었다는 걸 보여줬으면 했다. 그것이 관객이 최창식이라는 인물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했다.”
전
최근 몇년 새, 더 정확히 말하면 드라마 <추적자> 이후, 배우 손현주의 필모그래피는 점점 더 흥미로워지고 있다.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에서 누군가의 남편, 친구, 연인과 다를 바 없는 일상의 모습으로 다가왔던 그가, 언제부턴가 일상적이지 않은 캐릭터와 사건 속으로 걸어들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살인병기로 키워낸 제자들이 명을 거부하자 제 손으로 그들을 거두려 하는 북한 특수공작부대의 피도 눈물도 없는 교관(<은밀하게 위대하게>), 그룹의 후계자 자리를 두고 치열한 전쟁을 벌이는 드라마 <황금의 제국>의 최민재, 휴가지에서 실종되어 온 나라를 발칵 뒤집어놓는 드라마 <쓰리데이즈>의 대통령 이동휘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정체불명의 괴한에게 시달리는 <숨바꼭질>의 가장 성수나 우발적인 살인을 저지르는 <악의 연대기>의 최 반장 또한 지금까지 배우 손현주의 이미지로 각인되어왔던 푸근하고 서민적인 정서와는 거리가 있는 인물이다. 이러한 그의 선택은 같은 자리에서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야 한다고 생각하는 배우로서의 원칙과도 맞닿아 있다. “지금까지 편안한 작품을 한번도 맡아본 적이 없다고 생각한다. 원빈 같은 외모를 지녀서, 그저 서 있어도 그림이 되는 역할을 맡아보면 얼마나 좋겠나. (웃음) 하지만 나처럼 평범한 얼굴을 가진 사람에게 그건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다보니 지금까지 땀을 흘려야 구현할 수 있는 역할들로 화면을 채웠던 것 같다. 앞으로도 아마 쉬운 배역은 안 올 거다. 쉬운 역할을 맡게 되면 나 스스로 용서가 안 될 것 같기도 하고. 지금처럼 어렵지만 끝내고 나면 보람이 있는 작품들을 앞으로도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결
전작의 잔상을 잊기 위해 다음 작품을 서둘러 고르고, 그로부터 새로운 과제와 활력을 발견하는 과정은 지금까지 쉬지 않고 달려온 배우 손현주에게 드문 일이 아니다. 그런 그에게 지난 2014년은 예기치 못했던 쉼표의 한해였다. 갑상선암 진단을 받았고, 서둘러 수술을 했다. “조그마한 조직을 하나 떼어냈다. 그것 때문에 <악의 연대기> 스탭들이 예정했던 기한보다 한달을 더 기다려줬다. 조급했다. 이건 남의 돈인데, 모든 스탭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는데, 빨리 현장으로 돌아가고 싶은 생각뿐이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다가온 휴식은 앞만 보고 달려왔던 그에게 지나온 날들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해주기도 했다고 손현주는 말한다. “내가 이 일을 언제까지 할지 모르겠지만…. 더 겸손하게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늘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최선을 다해 준비할 때의 긴장감이 있을 거다. 그 긴장감이란 준비에 대한 피곤함이라기보다 새로운 역할에 대한 기대감에 가깝다. 어떤 장르가 됐든, 어떤 작품이 됐든, 나에게 주어지는 선 안에서 최선을 다할 뿐이다. 그 말밖에는 드릴 말씀이 없다.” 손현주의 이 말이 가볍게 들리지 않는 건, 그가 ‘공수표’를 던지는 배우가 아님을 수십년 동안 온몸으로 증명해왔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그의 차기작은 김봉주 감독의 입봉작 <더 폰>(가제)이다. 1년 전에 죽은 아내로부터 걸려온 전화에 인생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남자의 이야기란다. 배우 손현주의 연대기는, 그렇게 새로 쓰여지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