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일러가 있지만, 영화 감상에 방해되기보다는 오히려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영화가 시작되면 관객은 주인공이 자신의 차에 바이닐(LP)을 ‘한가득’ 싣고 어디엔가 도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렇다. ‘한가득’이다. 마치 주인공의 컬렉션처럼 리처드 링클레이터가 감독한 영화 <에브리바디 원츠 썸!!>에는 음악이 한가득 담겨 있다. 1960년 7월30일생. 영화 속 시간적 배경은 1980년. 과연, <스쿨 오브 락>(2003)의 감독답게 그는 음악이라는 프리즘을 경유해 자신의 20대를 향한 헌사를 바친다. 따라서 절대 방심하지 말 것. 이 영화에서 짧든 길든 흘러나오는 음악만 30곡이 훌쩍 넘는다. 그것도 모조리 역사에 흔적을 남긴 히트곡이니 음악광들에게 이보다 더 좋은 선택은 없을 것이다.
놀고 놀고 또 놀고
대략의 줄거리를 먼저 살펴본다. 주인공 제이크는 대학 신입생이자 야구 선수다. 대학 생활의 부푼 꿈을 안고 이제 막 기숙사 건물에 도착한 그는 생전 처음 보는 동료들과 금세 친해진 뒤, 곧장 한잔하러 인근 바로 차를 몰고 출발한다. 그런데 이걸 어쩌나. 무작정 계속 놀고 싶지만 새 학기 시작까지 남은 시간은 고작해야 3일뿐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그대여. 혹시 “어떻게 하면 잘 놀았다고 칭찬받을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 빠져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주저 없이 이 영화를 선택하고 볼 일이다. 장담컨대 3일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이 영화의 야구부 친구들보다 더 무뇌아처럼 놀 수는 없을 테니까. 무엇보다 내년에 대학에 입학할 신입생들을 위한 교보재로 이 영화를 강추하고 싶다.
<에브리바디 원츠 썸!!>은 몇 가지 측면에서 그의 전작인 <보이후드>(2014)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먼저 우리는 <보이후드>의 마지막 장면을 떠올려볼 필요가 있다. 이 장면에서 주인공 메이슨은 드디어 엄마로부터 독립해 대학 생활을 위해 자동차를 몰고 떠난다. 즉 감독이 직접 언급한 것처럼, 제이크가 차를 몰고 기숙사 건물에 막 도착하는 <에브리바디 원츠 썸!!>의 오프닝은 <보이후드>의 엔딩과 조응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두 영화의 톤 앤드 매너는 극과 극이라 할 정도로 다르다. <보이후드>가 아트하우스‘적’이라면, <에브리바디 원츠 썸!!>은 ‘파티’와 ‘알코올’, ‘섹스’를 주재료로 삼곤 하는, 미국식 코미디에 훨씬 가까운 작품이니까. 다른 점은 또 있다. 50분 정도 차이나는 러닝타임에 반해 영화 속 시간을 의미하는 디제시스적 시간은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하긴 극한의 파티를 12년간 계속할 수는 없는 법이고 보면, 3일하고 15시간은 참으로 적절한 선택이 아니었나 싶다. 3일하고 15시간 동안 영화 속 인물들은 놀고 놀고 또 놀면서 술과 여자에 취해 돌고 돌고 또 돈다.
리처드 링클레이터는 레드 제플린의 곡에서 제목을 따온 1993년작 <멍하고 혼돈스러운>(Dazed and Confused)에서 이미 비슷한 유의 시도를 했던 바 있다. 다만 고등학교가 대학교로 대체되었고, 하루가 3일로 늘었다는 점만 바뀌었을 뿐이다. 그러니까, <에브리바디 원츠 썸!!>은 <멍하고 혼돈스러운>의 확장팩인 셈이다. 확장팩답게 노는 물의 규모(?)는 더욱 커졌지만 가볍고 유쾌하며, 때로는 지저분하기까지 한 주인공들의 정서는 거의 변함없이 그대로다. 10대 후반부터 20대 초반의 남자‘놈’들에게 정신적인 성장을 ‘기대하지 않는’ 건, 아무래도 동서고금의 진리였나보다.
물신을 강조한 1980년대 음악들
음악적인 측면에서 나는 영화 속 1980년이라는 좌표가 참 절묘한 우연이라고 느꼈다. 간단하게, 1980년대는 당대의 물신(物神)이 과거의 정신(精神)을 압도한 시대였다. 영화의 파티 장면들에서도 표현되듯이 컬러풀하기 그지없는 1980년대식 패션은 더 크고, 더 높고, 더 많은 것을 지향하는 당대 이념의 구체적 형상화에 다름 아니었다. 패션과 동행했던 음악도 마찬가지다. 건반 하나로 오케스트라적인 스케일을 구현할 수 있는 신시사이저가 본격 도입되면서 뉴웨이브(혹은 신스 팝)라는 장르가 1970년대 말부터 이미 탄생했고, 이를 통해 음악은 더욱 화려하고 번쩍거리는 사운드로의 변신을 거듭했다. 비평가 솔 아우스터리츠가 말한 것처럼 1980년대는 “모든 것의 과잉”으로서 저 자신의 의미를 획득했던, 그런 시대였다.
따라서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가히 혼자 멱살 잡고 1980년대를 하드캐리했다고도 할 수 있을 그분(?)의 곡을 영화에서 찾아볼 수 없다는 게 영 이상했다. 해답은 역시 감독의 인터뷰에 있었다. 리처드 링클레이터는 이 영화의 영감을 그분의 그 곡으로부터 떠올렸다고 하는데, 여러 난관으로 인해 쓸 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바로 마이클 잭슨의 <Rock with You>가 이 안타까운 사연의 주인공이다.
<Rock with You>는 1979년 발표되어 엄청난 히트를 기록한 마이클 잭슨의 음반 《Off the Wall》의 수록곡이다. 즉 불과 1년 뒤인 1980년에 대학에 입학한 학생이라면 이 곡을 애정하지 않을 리가 만무한 셈이다. <Rock with You> 외에 리처드 링클레이터가 아깝게 쓰지 못한 노래는 또 있다. 다름 아닌 마이클 잭슨의 최강 라이벌이자 동료였던 프린스의 다. 역시나 1979년에 발표된 이 곡 역시 그의 학창 시절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대신 관객은 낵의 <My Sharona>(1979)를 시작으로 블론디의 <Heart of Glass>(1979)와 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밴 헤일런의 <Everybody Wants Some>(1980)을 거쳐 데보의 <Whip It>(1980)에 이르기까지, 1980년대의 정서를 예고했던 또 다른 명곡들을 만날 수 있다. 어디 이뿐인가. 뉴웨이브와 디스코 리듬을 절묘하게 결합한 퀸의
이와는 반대급부로 회자되는 곡이나 음반이 없지 않다. 대마초를 피우면서 정신수양하듯 듣는 핑크 플로이드의 <Fearless>, 주인공이 똘끼 다분한 친구에게 억지로 빌려주는 닐 영의 베스트 앨범 《Decade》가 이를 대표하는 경우들이다. 둘 모두 영화의 주제를 상대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동하고 있는데, 글쎄, 영화에 나오지는 않지만 그 친구가 닐 영을 듣는다니, 차라리 내가 정우성이랑 친구 먹었다고 하는 게 훨씬 설득력 있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생각한다. 아무리 파티에 취해 과잉으로 치닫는다고 해도, 이 영화의 결말처럼 결국에 우리는 일상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는 것. 3일 정도는 뇌가 순결한 상태로 지내도, 그게 도리어 좋은 추억으로 남을 수 있다는 것. 그저 낭만적으로 과거를 미화하기보다는 멍청하고 대책 없던 그 시절을 꽤나 솔직하게 담아낸 이 영화를 보면서 이제는 웃으며 얘기할 수 있는 학창 시절의 유흥을 떠올리는 건 비단 나뿐만이 아닐 거라고 확신한다. 부탁건대 오늘 하루 열심히 일한 당신의 뇌의 스위치를 잠시 끄고 보기 바란다. 그래도 117분 뒤에는 어차피 일상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을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