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리뷰]
과연 우리는 역사를 통해 무엇을 배워야 하나 <어폴로지>
2017-03-15
글 : 이주현

변영주 감독의 <낮은 목소리> 시리즈, 안해룡 감독의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2007), 권효 감독의 <그리고 싶은 것>(2013) 등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 목록에 추가해야 할 영화가 한편 더 생겼다. 캐나다 감독 티파니 슝이 연출한 <어폴로지>는 앞서 언급한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일상에 밀착해 그들의 목소리를 담아낸다. 2009년 아시아 학술여행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게 됐다는 티파니 슝 감독은 한국, 중국, 필리핀을 오가며 세 할머니들의 삶을 연결한다.

한국의 길원옥 할머니는 1992년부터 시작된 수요집회는 물론이고 일본, 중국, 스위스 등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해서라면 어디든 달려간다. 막말하는 일본의 정치인들에게 “사과는 못할망정 막말은 하지 말았으면 한다”며 소신 발언을 서슴지 않는 할머니의 의지는 여전히 꼿꼿하다. 가끔은 늙은 육신이 버거운 듯 긴 잠을 자지만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유엔 본부를 찾아가 국제사회의 관심을 요청하는 일도 마다하지 않는다. 역시나 몸이 성치 못한 중국의 차오 할머니는 긴 시간 침묵할 수밖에 없었던 과거의 이야기를 가족들에게 조금씩 털어놓기 시작한다. 위안소에서 생긴 아이를 낳자마자 목 졸라 죽였다는 얘기에 차오 할머니의 딸은 감히 말을 잇지 못한다. 필리핀의 아델라 할머니의 소원 역시 “자식들에게 과거의 이야기를 모두 털어놓는 것”이다. 죄책감과 수치심에 오랫동안 숨겨왔던 과거는 또 다른 아픔으로 가슴속에 응어리져 있다. 가장 가까운 이들에게조차 위로받지 못한 할머니들은 이제라도 그 응어리를 풀어보려 한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박제된 과거의 문제일 수 없다.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그래서 중요하다. 젊은 세대는 그들의 증언을 토대로 새로운 역사를 써야 한다. <어폴로지>는 6년이란 긴 세월에 걸쳐 세 할머니들의 용기 있는 발언에 귀기울인다. 그 자체로 의미 있는 기록물이다. 영화에는 2011년 12월14일 1천 번째 수요집회가 열린 날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진 장면이 나온다. 평화의 소녀상이 수난을 맞고 있는 요즘, 과연 우리는 역사를 통해 무엇을 배워야 하나 자문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