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장이독자에게]
[주성철 편집장] 대기업 상업영화의 하한선은 어디까지
2017-07-28
글 : 주성철

<내부자들>과 <검사외전>을 보며 소재의 선택과 서사의 개연성, 그리고 캐릭터를 다루는 방식 면에서 나 스스로 감당할 수 있는 한국 상업영화의 마지노선이 위태롭다고 느낀 적이 있다. 고리타분하다 지적할 사람도 있겠지만,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최소한의 인식을 비롯해 인물들을 대하는 태도, 그리고 영화적 얼개에 있어 담보해야 할 최소한의 윤리에 대한 기준선이라고나 할까. 지난 몇년간 그 기준선이 무너지는 경험을 수도 없이 했던 것 같다. 영화를 보며 본능적으로 웃고 있지만 지능적으로 소화할 수 없는 찝찝함이 종종 동반되었다. 탁월한 한국영화를 만나고픈 욕망보다 나를 시험에 들게 하는 영화들을 어떻게든 피해가고 싶다는 수세적인 바람만 더해갔다. 하지만 여전히 대기업에서 만들어지는 한국 상업영화의 하한선이 보다 더 내려가고 있음을 느낀다. 그것은 재미를 위해 손쉽게 희생되는 영화적 윤리에 관한 얘기다. 최근에는 <청년경찰>을 보며 그렇게 느꼈다.

가장 먼저 불쾌했던 것은, 영화에서 범죄의 온상으로 지칭되는 ‘대림동’과 조선족을 묘사하는 방식이었다. 구체적으로 대림동을 지칭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택시 기사가 ‘밤에 함부로 돌아다니다 칼 맞을 수도 있는 곳’이라는 말까지 건넨다. 백번 양보해 코믹하거나 장르적으로 묘사되는 것도 아니고 그냥 ‘거기는 원래 그렇다’는 식이다. 그런데 서울시 25개구를 대상으로 한 범죄율(폭행과 강간, 기타 폭력) 조사를 보면, 해마다 편차는 있겠지만 범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보통 중구 1위, 종로구 2위, 서대문구 3위, 강남구 4위 순이다. 대림동이 있는 영등포구는 그에 미치지 못한다. 게다가 연구 결과를 분석해보면, 어떤 사람들이 사느냐가 아니라(대림동이 있는 영등포구는 인구 1천명당 외국인 수가 100명 정도로, 그 수가 가장 많은 지역구다), 그냥 술집이 많은 동네에서 범죄도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여성에 대한 묘사다. 맨 처음 두 주인공이 한 여자에게 ‘작업’을 걸기 위해 몰래 접근할 때 그들을 담는 카메라는 대놓고 CCTV 구도의 숏이다. 우리는 그런 공포스러운 구도의 장면을 뉴스에서 익히 보아왔다. 하지만 영화는 그를 개의치 않는다. 어쨌거나 그들이 이후 사라진 그녀를 구하기 위해 나름의 정의를 행하려고 할 때, 그녀의 인적사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주지 않는 이들을 그저 장난스럽게 서사의 걸림돌로 만들어버린다. 게다가 여성들의 상처 입은 신체를 반복해서 보여줄 때는 그저 눈을 감고만 싶었다.

동시에 떠오른 영화는 올해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개막작이었던 <7호실>이다(이번호 특집 이용승 감독 인터뷰 참조). 망해가는 DVD방 7호실이 배경으로, 사장 두식(신하균)과 학자금 대출 상환을 위해 DVD방에서 일하는 휴학생 태정(도경수)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월세도 못 내는 자영업자와 임금이 체불된 노동자, 그 임금마저도 최저임금으로 보장받지 못하는 조선족 노동자가 있고, 그들 위에는 월세를 올리는 건물주가 있다. 영화 속 조선족 한욱(김동영)은 DVD방에 활기를 불어넣는 정감 넘치는 인물로, 그간 보아왔던 관습적 묘사를 깨끗이 씻어줬다. 그 쾌감이 굉장히 컸다. 이쯤에서 뭘 그렇게까지 따지고 비교하냐고 물을지도 모르겠지만, 웃자고 만든 영화에 죽자고 덤빈다는 말로 무마하려 할 때, 그러다 진짜 다 죽게 될지도 모른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