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비평]
<굿타임>, 어김없이 실패하는 ‘현실’과 그래도 모험을 하는 ‘영화적 순간’
2018-01-16
글 : 이용철 (영화평론가)
뉴욕, 모험과 우화의 방문

※영화의 결말에 대한 묘사가 있습니다.

한 남자는 부르주아 주부들로부터 사랑받으며 돈을 버는 제비족이 되고 싶었지만, 그가 함께 지내게 되는 사람은 사기를 치며 사는 홈리스다. 친구가 병에 걸리자 두 남자는 차가운 뉴욕을 떠나 따뜻한 플로리다로 떠나기로 한다. 그레이하운드 버스를 타고 가는 도중, 친구는 그의 품에서 죽고 남자는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앉았다. 뉴욕의 뒷골목을 전전하는 두 남자의 씁쓸한 이야기를 다뤄 X등급 영화로는 처음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미드나잇 카우보이>(1969)는 몇해 지나지 않아 낭만적인 작품으로 남았다. 마틴 스코시즈의 <비열한 거리>(1973)가 나왔기 때문이다. 이후 뉴욕의 제왕이 된 스코시즈의 후계자 자리를 놓고 수많은 감독들이 명멸했다. 지난해 칸국제영화제 경쟁부문에 <굿타임>으로 초대된 조시와 베니 사프디 형제가 요즘 스코시즈의 후계자로 뜨겁게 거론되는 중이다. <굿타임>이 스코시즈의 <특근>(1985)과 시드니 루멧의 <뜨거운 오후>(1975)를 연상시킨다는 평을 들었고, 스코시즈가 그들의 신작을 제작한다고 발표했을 정도다. 사프디 형제의 2014년 작품 <헤븐 노우즈 왓>의 결말은 <미드나잇 카우보이>를 변주한다. 아리엘 홈스의 미출간 자전적 이야기를 영화화했으며, 그녀가 직접 주연을 맡은 <헤븐 노우즈 왓>은 뉴욕 홈리스들의 이야기다. 여러 사건을 겪다 재결합한 홈리스 커플은 플로리다로 떠나기로 결정한다. 마지막 그레이하운드를 떠나보내고 다른 버스에 올라탄 그들은 잠을 자며 남쪽을 꿈꾼다. 그러나 거리를 전전하던 홈리스에게 영원한 사랑은 어울리지 않는 것일까? 여자가 자는 동안 버스를 세워 내린 남자는 북쪽으로 향하던 중 빈집에서 자다 불타 죽는다(실제 벌어진 일이다). 얼마 후, 혼자 남은 여자는 마찬가지로 버스를 세워 내리고 뉴욕으로 향한다. 뉴욕의 홈리스 친구들 사이에서 그녀가 짓는 표정은 오래전 <미드나잇 카우보이>의 남자를 떠올리게 한다. <헤븐 노우즈 왓>은 서늘하고 건조한 도시 뉴욕을 처절하게 묘사해 <비열한 거리>마저 순진하게 보이도록 만든다. 사프디 형제는 인간끼리 나눌 법한 온정 따위에 시간을 허비하지 않는다. 그들이 나고 자란 뉴욕이 어떤 곳인지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사프디 형제 영화의 한 부분일지도 모른다.

<굿타임>은 질주하는 영화인가

얼핏 보기에 <굿타임>의 태도도 비슷해 보인다. 사프디 형제의 영화에는 덜컹거리는 인생을 사는 주인공들이 등장한다. 표준적인 삶을 사는 아시아인을 종종 비추며 밑바닥을 전전하는 삶을 대비시키고, 유대인을 향한 농담을 삽입하는 걸 잊지 않는다. <헤븐 노우즈 왓>에서 마약을 사라고 돈을 주는 유대인이 나왔다면 <굿타임>에서는 보석금을 놓고 주인공을 괴롭히는 유대인이 등장한다. 오프닝 크레딧이 채 끝나기 전에 사건이 일단락되는 방식도 전작과 비슷하다. 코니(로버트 패틴슨)와 닉(베니 사프디)형제가 은행을 털다 경찰에 쫓긴다. 경찰에 잡혀 수감된 닉이 난동을 피우다 병원으로 이송되자 코니는 동생을 구하기 위해 병원에 잠입한다. <굿타임>은 코니가 이후 보내는 하룻밤의 이야기다. <씨네21> 이주현 기자는 20자평에 ‘브레이크가 고장난 1t 트럭의 폭주에 동참한 기분’이라고 썼다. 글쎄다, 1t 트럭은 생각보다 작은 차이거니와 영국의 그룹 ‘더 스미스’가 ‘10t 트럭에 받혀 죽는 사랑’을 노래한 게 벌써 30여년 전이니 1t 트럭은 야박한 표현이다. 어쨌든 <굿타임>은 질주하는 이야기로 평가받는 편이며 처음엔 나도 그렇게 생각했다. 두 번째 본 <굿타임>은 많이 다른 영화였다. 일렉트로닉 뮤직에 실려 냅다 달리는 영화 같았던 <굿타임>은 기실 달릴 때보다 멈춰 설 때가 더 많은 영화다. 코니는 여러 시도를 하지만 제대로 되는 건 하나도 없어서 스스로 자기 발에 걸려 넘어지는 인물이다. 당연히 영화도 뒤뚱거리는 형국이며, 코니가 때때로 접하는 유색인종들도 차갑기보다 따뜻한 쪽에 가까운 인물이어서 그를 인간으로 대해준다. 더욱이 일렉트로닉 음악도 클라우스 슐체풍이기에 예스럽다. 그래서 <굿타임>이 <헤븐 노우즈 왓>처럼 처절한 뉴욕 스토리라는 판단을 철회하기로 했다. 오히려 베니와 공동 연출하기 전, 조시 사프디가 초기에 연출한 뉴욕의 우화 <도난당하는 것의 즐거움>(2008)의 스타일과 태도가 사라지지 않았음을 확인시키는 작품이었다.

이건 영화거든요?

영화가 현실을 꼭 집어서 정확하게 반영할 필요는 없다. <헤븐 노우즈 왓>의 뉴욕이 한 예다. 실제 삶에서 건져낸 이야기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했을지 모르지만, 영화의 매력이 그만큼 상승하는 건 아니다. 관객은 주인공 여성을 좋아할 수도 싫어할 수도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도난당하는 것의 즐거움>의 스타일은 다르다. 유머러스할 뿐만 아니라 사프디풍의 우화를 삽입하는 방식에서 그러하다. 엘레노어는 습관적으로 물건을 훔친다. 운전도 못하면서 훔친 차에 친구를 태워 뉴욕과 보스턴을 왕복하는 인물이 그녀의 캐릭터다. 마침내 경찰에 잡힌 그녀는 ‘센트럴파크 동물원’을 보게 해달라고 애원해 시간을 얻어낸다. 수갑을 찬 채로 북극곰을 바라보던 그녀는 엉뚱한 상상을 한다. 자유의 몸이 된 그녀는 계곡을 건너가 북극곰을 맞이한다. 그녀는 흰 곰의 털을 쓰다듬는데 우습게도 그 곰은 엉성한 인형이다. 리얼리즘영화에서 이게 무슨 일인가. 그게 사프디의 방식이다. 냉랭한 현실에서 거짓 우화를 보여주려면 차라리 그것이 허구임을 드러내겠다는 태도. “이건 영화거든요”라고 말하는 듯하다. 단편영화 <검은 풍선>(2012)에서도 비슷한 장면이 나온다. 혼자 떠돌던 ‘검은색 풍선’은 밴에 갇힌 풍선들을 발견하고 창을 두드리다 급기야 부숴버리고, 알록달록한 풍선들이 하늘로 날아오른다. <키다리 아저씨>(2009)의 악몽 시퀀스에 등장하는 거대한 모기는 또 어떤가. 그렇다고 해서 사프디 형제가 미셸 공드리로 바뀌진 않는다. 사프디 형제는 자기들이 만드는 것이 영화임을 밝히며 쑥스러운 표정을 짓는, 딱 그만큼만 나간다.

모험은 실패했지만…

뉴욕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의 필수 코스인 ‘병원, 감옥, 다리’ 등을 떠도는 <굿타임>에서 사프디의 성향을 대변하는 공간은 ‘어드벤처랜드’라는 이름의 놀이공원이다. 도시 속에서 순진한 우화를 조성하기에 어울릴 공간. 소풍이라도 가는 것처럼, 코니의 곁에는 나비 머리띠를 한 흑인 소녀가 뚱한 표정으로 앉았고, 뒷좌석에는 실수로 동반하게 된 얼치기 범죄자가 하소연을 늘어놓는다. 그들이 숨겨둔 돈과 마약을 찾는 곳은 그야말로 영화적이다. 귀신 마네킹, 잘려나간 팔, 드라큘라 묘비 등은 영화의 소품에 다름 아니며, 괴성이 흘러나오는 고문 장치는 영화 같은 효과를 만들어낸다. 경찰이 들이닥치자, 코니는 경비원의 옷으로 갈아입고 직업인 흉내를 그럴싸하게 낸다. 알록달록한 불빛이 사방에 펼쳐진 어드벤처랜드에서 코니가 모험의 주인공이 되는 순간이다. <굿타임>은 실패한 모험의 이야기다. 지적장애인인 동생과 숲에서 살기 위해 은행을 털었던 코니의 계획은 실패한다. 사프디 형제가 보여주려는 게 ‘어김없이 실패하는’ 현실에 있는지, 아니면 ‘어설프나마 모험하는’ 영화적 순간에 있는지 선택하는 건 관객의 몫이다. 다만 전자의 영화를 뉴욕의 범죄 스릴러에서 흔히 보아왔음을 기억한다면, 사프디 영화에서 구해야 하는 건 ‘모험과 우화의 방문’이다. 그들은 알록달록한 불빛으로 ‘네온 바이블’을 써 코니의 형제애를 칭송한다. 곧 쓰라린 현실로 돌려보낼지라도 그에게 짧은 위안을 선사하고자 한다. 이어 위안에 취하기 전에 현실로 돌아가라고 등을 두드린다. 유명 건축가의 자손인 사프디 형제가 영화를 축조하는 방식은 그러하다. 사실 영화란 게 그런 것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