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전쟁고아 1500명이 폴란드로 보내졌다. 북한의 김일성이 전쟁을 계속 하기 위해 동유럽의 사회주의 동맹국가들에게 맡아달라고 부탁한 아이들 중 일부다. 아이들은 폴란드 남서부에 위치한 시골 마을인 프와코비체에 도착했고, 폴란드 선생님들은 “하나같이 외모가 비슷해 보이”는 아이들을 교육하고, 치료하며, 사랑을 아낌없이 쏟아붓는다. 아이들은 선생님들을 “마마”나 “파파”로 부르며 전쟁의 상처를 극복한다. 8년이 지난 뒤 천리마운동을 시작한 북한은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동유럽 곳곳의 전쟁고아들을 북송시킨다. 우연히 이들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보고 이들에게 관심이 생긴 배우 겸 감독 추상미는 탈북 소녀인 이송과 함께 이들의 흔적을 확인하기 위해 폴란드로 간다.
영화의 한축은 70년 전 폴란드 선생님들과 전쟁고아들 사이에 맺어진 끈끈한 유대감을 그려내는 것이고 또 다른 축은 추상미와 이송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 사실을 확인하고, 폴란드 선생님과 아이들 사이에 형성된 정서적 유대감의 정체가 무엇인지 찾는 것이다. 특히 이송은 이들의 사연을 하나씩 알아가면서 자신의 상처와 아픔을 마주하고, 굳게 닫힌 마음을 조금씩 열어나간다. 70년이 지난 지금, 백발이 된 폴란드 선생님들은 여전히 아이들을 기억하고 있다. 그들이 아이들의 상처를 헌신적으로 어루만질 수 있었던 건 아이들이 가진 아픔에 깊이 공감했기 때문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