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우리 지금 만나> 김서윤·강이관·부지영 감독 - 우리 시대의 통일에 대한 고민을 담았다
2019-05-30
글 : 이화정
사진 : 최성열
부지영·강이관·김서윤 감독(왼쪽부터).

두 남북 정상이 손을 잡고 휴전선을 왔다 갔다 하는 장면. 그 믿기지 않는 장면을 SNS에 공유했던 지난해의 흥분이 떠오른다. 분단, 이념 같은 ‘골치 아픈’ 개념이 아니다. 분단 70년. ‘통일’은 이제 거창한 담론이 아닌, 어쩌면 내일 당장이라도 일어날 현실이고, 그 현실은 과연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킬까를 생각할 때다. 통일부 제작지원의 옴니버스 프로젝트 <우리 지금 만나>는 ‘통일’이라는 제시어에 대한 김서윤·강이관·부지영 세 감독의 현실적인 답안이다. 김서윤 감독의 <기사선생>(멜로), 강이관 감독의 <우리 잘 살 수 있을까?>(댄스), 부지영 감독의 <여보세요>(드라마). 세편 모두 ‘통일’을 가운데 두지만, 관객은 그걸 떼어놓고 접근해도 무방하다. 소재와 장르가 주는 세 영화의 재미에 온전히 빠져들어 보는 동안 그들의 관계가 가진 아이러니, 소통의 문제가 남북의 관계성으로 확장되는 경험까지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강이관·부지영 두 감독이 프로젝트 제안을 받고 먼저 착수했다.

=부지영_ 급변하는 남북 정세가 마음을 움직였다. 변화된 지금의 상황에 맞춘 영화를 한번 다뤄보자는 마음이 들었다. 지난 정권에선 통일이나 남북관계에 대해 전혀 생각지 못했다면, 현 상황에서는 기존보다 더 발전된 이야기를 할 수 있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강이관_ 나 역시 그 부분에 가장 마음이 움직였다. 갑자기 북미정상회담,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지면서 이러다 금방 통일이 될 것 같고, 기차도 다니게 되면 그다음 우리의 생활이 어떻게 바뀔까, 상상이 잘 안 가더라. 그런 차에 제안을 받게 됐다. 개인적으로는 아버지가 황해도 분이어서 늘 고향이야기를 들으며 자란 터라 관심이 있었다. <시선 너머>(2010)의 에피소드 중 하나인 <이빨 두 개>도 탈북민 아이 이야기가 소재였고, 언젠가는 1세대 이산가족 이야기를 장편으로 만들 생각이다.

-두분은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제작한 옴니버스영화 <시선 너머>에 이은 두 번째 협업인데, 정부기관 작품 베테랑팀이 되는 건가. (웃음)

부지영_ 농담으로 “우리 이러다 여성가족부, 농림수산식품부 영화 다 하겠다”고…. (웃음) 통일부에서 통일을 주제로 음악회, 전시회 등 여러 분야의 지원사업을 한다. 영화가 가진 대중적 파급력이 주제를 전달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본다. 연출자로서는 기관에서 의뢰했다고 계몽영화를 만들 생각은 없다. 시절이 엄혹하면 모를까, 지금은 창작자에게 충분한 자유가 주어진다.

강이관_ 통일부에서 인터넷 방송(UniTV)을 운영하는데 시청률이 높지 않다는 말을 들었다. 메시지 중심이 되면 관심이 떨어진다. 기획하신 분들도 그래서 너무 메시지에 얽매이지 말고 만들어 달라고 하셨다. 강요하면 직원들도 안 본다고. (웃음) 말씀하신 대로, 정권이 창작을 억압하는 때라면 관제영화를 찍는 게 수치스러운 일이겠지만 지금은 대기업 자본의 작품을 하는 창작자들이 느끼는 제재에 비해 이런 공적 기관에서 지원하는 프로젝트가 오히려 창작자에게는 더 자유로운 환경을 제공한다. <메기>(감독 이옥섭, 2018)가 국가인권위원회의 마지막 지원작이 되었는데, 그런 지원이 없었다면 그 좋은 작품이 나올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김서윤_ 나는 제작지원작으로 선정돼서 두 감독님보다 뒤늦게 이번 프로젝트에 합류했는데, 만들면서 말씀하신 창작에 대한 자유를 느낄 수 있었다. 제작지원 심사 때 제출한 건 분량도 지금보다 작고 달랐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도 별다른 규제가 없었다. 두분이 상업영화 시스템 안에서 영화를 만들 때와 비교해주셨다면 나는 현재 대학원(중앙대학교)에서 영화를 전공하고 있어 학교에서 만드는 작품과 비교가 되더라. 멜로는 상업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하지 말라는 무언의 압박이 있다. 그런데 지원을 받아 하다보니 그런 데서 점수를 얻지 못하는 멜로 장르도 마음껏 전개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

-<기사선생>은 2016년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이라는 주제의 무거움을 덜어내고, 남과 북 두 남녀의 설렘과 안타까움을 멜로로 풀어내며 신선함을 보여준다. 관객 호응이 좋은데, 체감이 되던가.

김서윤_ 관객이 설레는 감정을 느꼈다며, 잘 봤다고 해서 기분이 너무 좋더라. 어려운 이야기가 아니라도 소통할 수 있구나, 힘을 많이 얻었다.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결정이 남한 기사 성민(배유람)과 북한 식자재 관리 담당 숙희(윤혜리) 두 인물의 관계의 단절로 이어지는 큰 사건으로 작용한다. 그 긴장을 잘 담았다.

김서윤_ 서적, 인터넷 자료를 찾았는데 감정적으로 크게 와 닿지는 않더라. 탈북자분들을 직접 만나 개성공단에서는 어떤 분들이 일하셨는지, 북한 사람들의 시각을 구했다. 그렇게 개성공단에서 일한 분들을 수소문해서 만났다.

-막 사랑을 시작하는 남녀의 관계라는 설렘 한편으로, 현실적 배경은 단절을 내포하고 있어서 긴장이 더한다.

김서윤_ 하루아침에 남북관계 정세의 변화로 상황이 바뀐 걸 영화적으로 보여주고 싶었다. 그런데 그 상황을 자세히 묘사하려니 성민의 감정으로 온전히 들어가기 힘들었고, 지금 방식의 시나리오를 썼다. 좋아하는 멜로에서 영향을 받은 부분들이 많은데, <첨밀밀>(1996)을 워낙 좋아해서 그 영화의 장면이 연상되는 장면도 연출했다.

-강이관 감독의 <우리 잘 살 수 있을까?>는 결혼을 앞둔 커플이 겪는 불화와 소통으로 나아가는 관계의 변화를, 분단국가의 상황에 빗대어 상징적으로 구현했다.

강이관_ 김서윤·부지영 감독의 작품은 정서적인 공감대가 크다. 내 영화는 상징이 많아서 처음에는 ‘어, 이게 무슨 내용이지?’ 싶을 수도 있다.

-다른 두 작품이 남과 북 사람들의 ‘관계’를 소재로 한다면, <우리 잘 살 수 있을까?>는 남한의 커플 이야기다. 남북관계에 관한 힌트는 남북철도 개통 소식을 전하는 라디오와 TV사운드, 영상으로만 유추할 수 있다. 통일부 기획영화에 북한 사람이 출연하지 않는 것은 일종의 결단처럼 보인다.

강이관_ 대부분의 사람들이 통일을 반대하지는 않겠지만 막상 통일을 하더라도 우리 모두에게 노력이 필요한 거 같다. 촌스럽게 들릴 수 있지만, 사랑이 필요한 거 같다. 경제적이든, 사회적이든 간에 뭐든 서로 양보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결국은 감정의 바탕에 사랑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래서 남북관계에 어떤 변수가 생겨도 변하지 않는 소재와 주제로 접근해보고 싶었다. 그래서 국가간의 관계를 ‘개인’으로 치환해보자. 남과 북을 결혼을 앞둔 연인의 관계로 만들었다. 누구나 연애하다가 헤어질 수 있고, 또다시 사랑할 수도 있다. 둘을 대등한, 사랑의 관계로 풀어보자고 생각했다. 막상 만들어보니 쉽지 않아서, 내가 왜 이런 생각을 했나 싶었다. (웃음)

-춤을 매개로 그 상징성을 전개하는 파격적 해결책을 찾았다.

강이관_ 둘의 관계를 어떻게 표현할까. 내러티브를 가진 신들로 가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보이더라. 게다가 북한 사람 없이 남한 사람 둘만 나오는 이야기라 이걸 어떻게 ‘통일’과 접목시킬까 고민했고 그래서 좀더 추상적인 생각을 전개했다.

-서로 다른 춤을 추는 남녀 댄서를 한 화면에 담아내야 하는 과제가 있었다.

강이관_ 음악과 안무를 맞추느라 계속 두개를 번갈아 왔다 갔다 하느라 고생했다. 배우들이 정말 큰 역할을 했다. 가수 청하, 이효리의 춤 담당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안무가 최남미씨와 비보이계의 톱 안무가 하휘동씨를 어렵게 캐스팅했다. 연기도 해야 하고, 춤 안무도 해야 하고, 퍼포먼스도 해야 해서 고생을 많이 했다.

-<여보세요>는 소재가 주는 흥미가 상당하다. 북한에서 잘못 걸려온 전화를 받는다는 설정은 ‘보이스피싱 아니냐’는 남한 여성 정은(이정은)의 반응처럼 뜨악하다. 상상이 가미된 설정 같았는데, 사실 지금 남북 민간인들 사이에는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부지영_ 자료 조사하는 과정에서 탈북민을 만났는데, 그분 말씀이 북한과 중국의 접경지역이라면 중국 핸드폰을 가지고 있는 북한 주민과 연락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통화 내용을 한번 들어봤는데, 굉장히 평이한 톤으로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더라. 가상의 설정이 아니라 지금 남북간에 그런 소통이 어딘가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산가족은 우리에게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다. 탈북민들이 계속 생기면서 지금도 새로운 이산가족이 생기고 있는데, 그들간의 소통에 대해 더이상 국가가 외면할 수 없다. 이 상황에서 우리의 통일은 어떻게 가야 할까. 이 아이러니한 상황이 이야기의 출발이 됐다.

-남한 남자와 북한 남자의 소통을 다룬 장르영화들은 많았다. <여보세요>는 그 관계를 남한 여자와 북한여자로 치환하면서 신선함을 안겨준다.

부지영_ 여-여가 나한텐 더 쉬운 이야기다. 여성주인공의 작품들을 꾸준히 해왔으니 성별을 선택하는 것이 나한테 어려운 문제가 아니었다. 그전까지 국정원 직원이나 군대 등을 배경으로 한 영화들이 많았고 그 분야가 워낙 남성 위주라 그런 작품들이 많았지만, 여성을 넣으면 스토리에 변화도 생기고 새로운 상상력도 전개할 수 있을 것 같다.

-치매 걸린 어머니를 간병하며, 식당과 청소 노동을 병행하는 정은 역은 전작 <카트>(2014)의 여성 노동자와도 연장선상에서 읽힌다.

부지영_ 노동을 하면서 자기 실존을 찾아가는 여성은 내 영화에서 계속 등장할 것 같다.

-정은은 장르영화 안에서 익히 보았던 배우 이정은의 모습과 사뭇 달랐다. 배우의 가장 현실적인 모습을 끌어낸 작품으로도 기록되어야 할 것 같다.

부지영_ <카트>를 함께하면서, 이 배우가 타입화된 연기 말고도 갈증이 있을 거다, 그게 뭘까 자주 생각했다. 딱 배우의 나이에 맞는, 본인에 맞춤인 역할을 안 해보지 않았을까. 그런 역할로 만나자, 그러자면 주인공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사실 그 기회가 언제 올지 몰랐는데 이번 프로젝트로 빨리 당겨진 셈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고민하고 실행하면서 세분 모두 통일에 관한 생각도 더 깊어졌을 것 같다.

강이관_ 유럽은 지금 난민 이야기를 많이 하고, 국가와 개인의 문제라고 보는데, 우리에겐 통일, 분단의 문제가 그만큼 심각하다고 본다. 사실 통일, 한민족, 애국,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거부감이 먼저 온다. 70, 80년대 반공이라는 이데올로기로 너무 이용당했고. 그런데 개인으로 보면, 지방마다 친척, 사돈의 팔촌쪽으로만 가도 이 문제를 안고 계신 분들이 있고, 우리에게는 가까운 이야기다. 영화를 만드는 창작자로서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거기서 더 업데이트가 안 된 것들도 짚어봐야 한다. 너무 거대한 담론이 아닌 지금의 관점에서 어떻게 나아갈지 피부에 닿는 이야기로.

부지영_ 더이상 질문하지 않고, 무관한 일상이라 생각하지만, 휴전선, 이산가족은 현재진행형의 문제다. 겪지 않은 세대에게도 지금의 진행을 알려줘야 할 책임이 있다. 영화도 스파이물 장르 안에서 보면 나 아니면 타자. 적이 되어버리니 과거의 대결 구도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김서윤_ 두 감독님 영화가 너무 재밌다. (웃음) 자칫 우리 영화도 ‘통일’이라는 제시어 때문에 놓치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 든다. 기획의도는 있지만, 프로젝트가 앞서기보다 그냥 한편의 재밌는 영화로 봐주면 좋을 것 같다. 나 역시 이 작품에 참여하면서 창작자로서 할 수 있는 것들을 구현하게 해준 것에 감사한다. 관객과의 만남으로 힘을 받고, 영화를 만드는 창작자로서 내 미래까지 영향을 많이 받을 것 같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