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
<로켓맨> 배우 태런 에저턴, “엘튼 존이 느끼는 걸 느낄 수 있었다”
2019-06-06
글 : 이주현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2014)로 태런 에저턴은 스타가 됐다. 하지만 <킹스맨> 시리즈만으로는 태런 에저턴의 넘치는 재능을 다 설명할 수 없다. 이 진지하고 재능 많은 배우는 <로켓맨>에서 제대로 폭발한다. 엘튼 존의 삶을 영화화한 뮤지컬 영화 <로켓맨>에서 태런 에저턴은 엘튼 존이 되어 유유히 비상한다. <독수리 에디>(2015)를 함께한 덱스터 플레처 감독과 제작자로 참여한 엘튼 존은 태런 에저턴의 숨겨진 음악적 재능을 끌어내 배우로서의 또 다른 도약과 비상을 이끌었다. 지난 5월 23일, 한국을 찾은 태런 에저턴을 만났다.

-애니메이션 <씽>(2016)에서 엘튼 존의 <I’m Still Standing>을 불렀고, <킹스맨: 골든 서클>(2017)에선 엘튼 존과 함께 연기했고, <로켓맨>에선 엘튼 존을 연기한다. 신기하게도 엘튼 존과의 인연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아직도 실감나지 않는다. 엘튼 존은 세계적인 대스타고 나는 영국 웨일스 출신의 비교적 신인 배우인데, 이렇게 인연이 닿는 게 정말 신기하다. 심지어 <로켓맨>에선 내가 그를 연기까지 하게 됐으니, 우주가 우리를 하나로 엮어준 게 아닌가 싶다. <로켓맨>에서의 엘튼 존 캐릭터는 그 어떤 역할보다 욕심이 났다. 나와 엘튼 존 사이에 공통점도 있는 것 같고, 무엇보다 그의 음악을 사랑한다. 엘튼 존 역할을 맡은 것 자체가 큰 영광이고 특권이다. 그는 유명하고 재능 있는 인물이지 않나. 내가 엘튼 존을 연기할 수 있다고 믿고 역할을 맡겼다는 점에서 영광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캐스팅 제안을 받았을 때, 엘튼 존을 연기할 수 있겠다는 자신이 있었나.

=네, 라고 대답할 수 있을 것 같다. 자신이 없었다면 이 작품에 출연하지 않았을 것이다. 물론 ‘망칠 수도 있어’라는 생각을 한 날도 있었다. 그럴 때 엘튼 존이 지지와 격려를 보내줬다. 엘튼 존에게 “연기하는 게 정말 어렵다”고 얘기한 적 있는데, 그는 “괜찮아, 넌 잘할 거야”라고 말해주었다. 그런 이야기를 엘튼 존에게 직접 듣는다고 생각해보라. ‘다른 사람도 아니고 엘튼 존이 할 수 있다는데, 그렇다면 나는 잘할 수 있을 거야’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덱스터 플레처 감독, 제작자인 매튜 본도 모두 내가 적임자라며 믿음을 보여주었고, 그런 것들이 큰 힘이 됐다.

-있는 그대로의 재현을 넘어 나만의 엘튼 존을 창조하고 싶은 욕심이 있었을 텐데, 엘튼 존이 너무 유명한 인물이라 이 인물을 재해석하고 재창조할 여지가 많지 않았을 것 같다.

=균형을 맞춰야 했다. 모두가 엘튼 존을 안다. 그의 음악 또한 너무 유명하다. 일정 부분 우리가 아는 엘튼 존에 충실해야 했다. 모두가 알고 있는 엘튼 존에서 너무 멀리 나가면 엘튼 존이라 보기 어려우니까. 그런데 동시에 뭔가 다른 걸 보여주고 싶었다. 나만이 창조할 수 있는 것, 새로운 것을 제시하는 게 필요했다. 있는 그대로 카피하는 건 지루하다. 우리 모두 창조적인 영화를 원했고, 그래야 사람들이 영화를 더 열광적으로 즐길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엘튼 존에게 경의를 표하는 동시에 우리만의 엘튼 존을 만드는 것, 그것이 나의 목표였다.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우정과 음악적 여정은 실재하는 거지만, 우리는 그 이야기를 그대로 전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새로운 시도를 하려 했다. 공연 중에 공중으로 몸이 떠오른다든지, 영화에 판타지적인 요소가 들어 있다. 이런 것들이 영화를 다른 차원으로 만든다고 생각한다.

-엘튼 존이 되기 위해선 그와 유사한 외형을 구축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젊은 시절엔 머리를 길렀다가 차츰 머리카락이 빠지는데, 머리숱이 적은 걸 표현하기 위해 머리를 일부 밀었고 오렌지색으로 염색도 했다. 눈썹 모양도 바꿨고, 치아 사이가 벌어져 있는 부분까지 묘사했다. 헤어, 메이크업, 의상 모두 스탭의 도움을 받았다. 거울을 보면 내가 다르게 느껴졌고, 그건 배우로서 기분 좋은 일이었다.

-거울을 봤을 때 엘튼 존 같다고 느꼈나.

=내 버전의 엘튼 존이 된 것 같다는 느낌. 엘튼과 태런의 중간 정도.(웃음) 연기가 참 신기한 게, 어떨 땐 쉽게 연기되고 어떨 땐 정말 힘겹다. 눈물을 흘려야 하는 감정 신을 자연스럽게 찍는 날도 있고 힘든 날도 있다. 그런데 <로켓맨>에선 어려운 순간이 하나도 없었다. 연기하면서 항상 엘튼 존이 느끼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이 역할과 연결된 느낌, 연대감을 느꼈다. 물론 외형을 바꾸는 게 연기하는 과정에도 도움이 됐다.

-모든 노래를 직접 소화했다. 엘튼 존의 창법도 연구했을 테고, 피아노 연습도 열심히 한 것으로 안다.

=1년 동안 매일 엘튼 존의 노래를 들었다. 들으면서 그가 어떻게 노래하는지 방법을 포착하려 했다. 엘튼 존과 똑같이 부르는 건 아니고, 나만의 목소리, 나만의 사운드를 만들려 했다. 엘튼 존처럼 들리게 하려고 특별히 노력한 경우도 있는데 <Your Song>에서 특히 그랬다. 감히 얘길 한다면, 적어도 그 곡에선 엘튼 존 같지 않았나 싶다. 그외 많은 경우 나만의 해석을 더했다. <로켓맨>에는 뮤지컬 요소가 있기 때문에 노래의 사용법이나 톤이 다르다. 어떤 땐 기본에 충실하려 했고 어떤 땐 조금씩 다른 스타일을 보여준다. 피아노는 굉장히 어려웠다. 3개월 정도 연습했는데, 내가 모든 연주를 한 건 아니다. 피아노 연주는 몇 개월 연습한다고 되는 게 아니니까.

-심지어 엘튼 존은 가만히 앉아서 피아노를 치지 않는다.

=엘튼 존의 연주 모습뿐만 아니라 엘튼 존이 영향 받은 뮤지션들도 함께 연구했다. 제리 리 루이스나 리틀 리처드 같은 이들은 단지 피아노만 연주하는 게 아니라 관객과 호흡하며 연주한다. 이들의 영상도 도움이 됐다.

-좋은 목소리, 훌륭한 노래 실력을 갖췄는데 뮤지컬 배우가 될 생각은 한 적 없나.

=드라마스쿨에서 공부할 때 주변에서 노래를 권한 적 있다. 뮤지컬 수업도 들었지만 나와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진지한 배우가 되고싶었다. 그런 점에서 <로켓맨>이 과거와 현재를 잘 연결해주는 작품같다. 과거에 배웠던 것들을 지금의 내가 활용할 수 있으니까. 배우가 된 지 6~7년쯤 됐는데, 그동안 작품에서 노래를 한 건 애니메이션 <씽>이 유일하다. <로켓맨>이란 뮤지컬영화에 도전할 수 있어서 좋다. 새로운 도전은 언제나 설렌다.

-영화에 등장하는 엘튼 존의 노래 중 좋아하거나 기억에 남는 노래가 있다면.

=우선 <Your Song>은 현장에서 라이브로 불러서 더 기억에 남고,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은 관객이 내가 연기하는 젊은 엔튼 존을 처음 만나는 순간에 등장하는 곡이고, 트루바도어 클럽에서 부르는 <Crocodile Rock>도 신나고, <Bennie and the Jets>도 좋아한다. 워낙 잘 알려진 노래들이지만 그걸 재해석해서 다른 느낌으로 선보이는 게 흥미로웠다. 그외에도 최근 발매된 영화 <로켓맨>의 사운드트랙 앨범 《RocketMan: Music from the Motion Picture》에 여러 노래가 담겨 있으니 다른 곡들도 들어주면 좋겠다.

-<킹스맨> 시리즈로 큰 인기를 얻었다. <킹스맨> 이후 변한 게 있다면 무엇인가.

=나는 지금 내가 원하는 연기를 하며 바른길을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일을 하는 나는 상상하기 힘들다. 그게 바로 <킹스맨> 이후 달라진 점이다. <킹스맨> 이후 내가 원하는 커리어를 가지게 되었다. 살면서 이런 기회는 제한적으로 온다. 앞으로 90살까지 산다고 한다면, 그 시간을 좋은 배우가 되는 데 쓰고 싶다. 내 삶이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이 기쁘다.

사진 롯데컬처웍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