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cine21.com/resize/cine21/person/2019/0830/14_54_00__5d68b9f8bca42[W578-].jpg)
스크린은 ‘레트로’를 어떻게 재연할까. 1994년부터 2005년까지 10년 동안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하는 미수(김고은)과 현우(정해인), <유열의 음악앨범>은 두 남녀가 10년 동안 만들어낸 감정의 블록버스터다. 배준수 미술감독은 두 남녀의 감정의 흐름 속 보이는 당시의 서울을 스크린에 창조해낸다. 이 작업을 두고 그는 “보이지 않는 미술”이라고 설명한다. “많은 시대극이 소품 하나로 시대 전체를 대변하려는데, 우리는 미술을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최대한 묻히도록 작업했다.” 자료조사도 많이 했는데, 그 자료 중에는 77년생으로 90년대를 자취를 하며 보낸 20대, 그 자신의 기억도 포함되어 있었다.
배준수 미술감독은 미술작업의 바탕이자 원칙으로, “좁은 미수의 방 세트까지, 촬영용이 아닌 일대일 비율 크기로 만들어 사실감을 놓치지 않으려 했”던 정지우 감독의 리얼함을 꼽는다. 그 원칙은 바로 “공간 하나 하에 히스토리를 쌓는 일”로 이어졌다. “미수의 제과점이 있는 오거리의 역사를 만들었다. 옆 분식집은 몇년에 개업했으니 이 정도 흔적이, 앞 세탁소의 세월의 흔적 등 시간의 흐름을 유추하고 그 흔적들을 표현하려 했다.” 이 정도면 공간 하나하나가 모두 영화의 캐릭터와 다를 바 없다. 정지우 감독의 세공술이 더해진, “요즘 접하기 힘든 정통 멜로드라마 작업”을 하면서 부쩍 보람을 더 느낀다는 배준수 미술감독은 2004년 <우리형>으로 처음 영화미술 작업을 하기까지, 조경학(현재의 환경디자인)을 전공하고 건축 시공일을 했었다. “우연히 무대미술을 하다가 영화미술을 접했는데 너무 재밌더라.” 이후 <태풍> 미술팀, <해운대> <국제시장>을 거쳐 <부라더> <사라진 밤>의 공동 미술감독으로 참여했다. <유열의 음악앨범>은 단독으로는 첫 작업이다. <국제시장>을 함께한 류성희 미술감독의 ‘칭찬’이 끊이지 않는 그는, 특히 ‘전공을 살린’ 오픈세트, 거리 전체, 도면 작업 등에서 자신만의 특별한 재능을 뽐낸다. “최근 ‘아트크루’라는 이름을 만들었다. 난 0호, 같이 작업하는 팀원들에게 넘버링을 주는 거다. 그렇게 100번까지 가고 싶다.” 지속적인 작업, 연대하는 영화미술 작업을 향한 꿈이다. 90년대 현우처럼 청춘을 보내고, 이제 한국영화계 깊숙이 자리하고 싶다는 그의 바람이다.
![](https://image.cine21.com/resize/cine21/movie/2019/0906/11_28_39__5d71c457f2933[W578-].jpg)
아이패드
천리안 통신과 모토로라 피처폰을 쓰던 레트로 90년대. 그 시절을 ‘재연’하는 배준수 미술감독의 손에는 아이러니하게도, 언제나 아이패드가 함께했다. “도면, 세팅 플랜이 ‘뷰어’라는 앱에 다 담겨 있다. 예전에는 감독님 모니터로 다 봤다면 이제 아이패드로 앵글을 확인하고, 팀원들과 소통도 할 수 있다.” 말 그대로 아이패드 안에 그 시대가 모두 담겨 있는 셈.
2019 <유열의 음악앨범> 미술감독 2018 <사라진 밤> 미술감독(공동) 2017 <부라더> 미술감독(공동) 2014 <국제시장> 세트감리 2010 <심야의 FM> 미술팀장 2009 <해운대> 아트디렉터 2007 <쏜다> 미술팀장 2005 <태풍> 미술팀 2004 <가족> 미술팀 2004 <우리형> 미술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