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이는 박수 소리>(2015)에서 청각장애를 가진 부모와 자신의 일상을 담아낸 이길보라 감독이 이번엔 베트남전쟁의 역사로 시선을 돌렸다. 고엽제 후유증으로 힘겨운 암투병을 하면서도 스스로를 ‘참전 용사’라 불렀던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출발점이었다. 유년기에 할아버지 방에 놓인 훈장을 보면서 자연스레 베트남전쟁을 자랑스러운 일로만 알았다는 감독은 역사를 알아가면서 한국군에 의한 베트남 민간인 학살과 진상규명 과정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내가 가족 내부에서 얻은 한축의 기억과 다른 한축에 있는 역사적 기억은 왜 맞물리지 않을까?” 약 4년간 베트남과 한국을 오가며 전쟁 속 여성, 소수자의 기억에 집중한 이길보라 감독은 “내 바깥에 있다고 생각했던 일이 점점 나의 세계로 일치되는” 경험을 찾아나간다. 성실하고 집요한 응시, 그리고 생존자들과의 연대를 통해 건져올린 <기억의 전쟁>은 그래서 전쟁을 바라보는 작가의 고유한 태도와 절제된 표현이라는 어려운 미덕을 성취했다.
-<반짝이는 박수소리> 이후 5년 만의 신작 개봉이다. 그동안 어떻게 지냈나.
=<기억의 전쟁>을 완성한 후 네덜란드 필름아카데미에서 석사과정을 시작했고 이번 여름에 마쳤다. 이후에도 쭉 암스테르담에 살다가 최근 들어 다시 한국에 들어올 준비를 천천히 하고 있다. 새 프로젝트인 <우리의 몸>은 한국과 미국, 그리고 스웨덴을 오가며 작업하게 될 것 같다.
-개봉을 위한 크라우드펀딩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모금액 일부로 촬영지의 베트남전쟁 희생자를 위한 조화 보내기 운동을 기획했다.
=지난 50년간 매해 기일이 되면 마을 사람들이 어렵게 돈을 모아서 제사를 지내왔다. 집집마다 따로 지내고, 마을 차원에서 다 같이 모금을 해서 지내는 위령제도 있다. 그 위령제에 보낼 조화를 보내는 기획이다. 그들 입장에선 어느 날 한국군이 들이닥쳐 마을 사람 전체를 죽인 셈이다. 한국 이름이 적힌 조화가 있는 것이 마을 사람들에게 굉장히 큰 위안이 된다고 들었다. 지난 몇년간 이맘때쯤엔 꼭 베트남을 찾아서 같이 제삿밥도 먹고 향도 올리고 했는데 올해는 개봉 준비 때문에 직접 방문하지 못했다. 한국에선 영화를 배급하는 것으로 추모의 의미를 다한다면 현지엔 조화를 보내서 의미있는 일을 하고 싶었다.
-제목 <기억의 전쟁>은 김현아 작가의 <전쟁의 기억 기억의 전쟁>으로부터 영감받았다고.
=10대 시절 김현아 작가에게 글을 배웠다. 10대 후반부터 20대 중반까지 <전쟁과 여성> <전쟁의 기억 기억의 전쟁>이 내게는 가장 중요한 참고도서였다.
-생존자들의 증언을 중심으로 다큐멘터리가 펼쳐진다. 응우옌 티 탄과 응우옌 럽, 딘 껌. 세 인물을 중심으로 참전군인보다는 평범한 사람들의 시선에 집중했다.
=전쟁으로부터 소외되는, 혹은 비주류로 취급받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담았다. 나 역시 <기억의 전쟁>을 만들 때 ‘네가 전쟁에 대해 뭘 알아. 군대는 가봤어?’ 같은 시선을 받았다. 과연 여자라는 이유로 전쟁에 대해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것일까, 답답했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이후 할머니에게 베트남전쟁에 대해 물어봤는데, “전쟁 그런건 난 잘 몰라. 돌아가신 네 할아버지나 남자들이 잘 알지”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할머니에게 여성으로서 자신은 절대 아무런 이야기도 할 수 없다는 뉘앙스의 이야기를 듣고 기분이 이상했다. 할아버지가 베트남에 가 있는 동안 가족과 생계를 책임진 건 할머니다. 할머니도 할머니 시점의 전쟁을 이야기할 권리가 있는데, 참전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목소리를 빼앗기는 건 부당하다.
-자극적인 이미지를 배제하고 전쟁의 기억과 감정을 관객으로 하여금 천천히 체감시키려는 의도가 느껴진다. 긴 호흡 속에서 설명을 최소화했다.
=<기억의 전쟁>은 베트남전쟁의 진실을 파헤치는 영화가 아니다. 민간인 학살에 관해 내가 만들 수 있는 최선의 접근은 이번 영화 속의 여성, 장애인과 같이 공적언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의 언어로 전쟁을 기록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최대한 전쟁의 참혹한 이미지는 다루지 않으려고 노력했고, 사실과 정보 그 자체보다는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하는 태도의 문제에 집중했다.
-생존자들로부터 학살의 기억을 건져올리는 무거운 작업이었다. 대상과의 관계맺음에 있어 조심스러웠겠다.
=껌 아저씨를 처음 만났을 때 나는 왠지 그와 쉽게 친해질 것 같은 예감이 들었다. 껌 아저씨는 농인이라 수어로 대화하는데 나의 부모님도 농인이라 껌 아저씨와 훨씬 쉽게 소통할 수 있었다. 그분은 베트남어수어를 가르치는 공식 기관에서 배운 적이 없어서, 가족과 이웃들만 잘 아는 자기만의 언어 체계를 갖고 있다. 손짓, 발짓 다 동원해서 이야기를 나누면서 다른 사람보다는 내가 훨씬 수월하게 소통할 수 있었다.
-주요 스탭이 모두 여성이다.
=<반짝이는 박수 소리> 당시에도 여성 중심적인 분위기였다. 이번 영화는 특히 여성 스탭과 함께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서새롬·조소나 프로듀서, 곽소진 촬영감독과는 탈학교를 결정한 이후 센터에서 만난 친구들로 10대 시절부터 서로 잘 아는 사이다.
-최근 눈여겨본 젊은 감독의 작업이 있나.
=김보라 감독의 <벌새>. 작고 하찮은 것으로 치부되었던 캐릭터와 그의 세계를 가지고 중대한 장면을, 삶을 만들어냈다. 정말 훌륭한 시도라고 생각했고 그래서 <벌새>의 성공이 내 일처럼 기쁘다. 앞으로 그런 이야기들을 더 많이 보고 싶다.
-올해 베를린국제영화제의 개발 지원 프로그램인 ‘베를리날레 탤런트랩’ 다큐멘터리 부문에 작업 중인 <우리의 몸>이 초청됐다.
=베를린국제영화제에는 경쟁부문 외에도 각종 프로젝트와 마켓 프로그램이 매우 활성화되어 있다. 내가 다닌 학교 역시 결과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분위기였는데, 이번 베를린 프로그램도 새 프로젝트를 만드는 다양한 창작자들끼리 서로 교류를 주고받을 수 있어서 고무적이다.
-<우리의 몸>은 어떤 작품이 될까.
=나와 엄마, 그리고 할머니까지 3세대의 임신 중지 경험이 담긴다. 작품의 첫 출발은 ‘나도, 엄마도, 그리고 할머니도 모두 낙태를 했는데 왜 우리는 이것에 대해 함께 이야기해볼 수 없을까?’였다. 지금까지 16분 정도의 분량을 만들었는데 우리 세 사람이 각자 생각하는 여성의 몸에 대해, 그리고 임신 중지 경험에 대해 인터뷰 중심으로 엮었다. 같은 임신 중지 경험이지만 시대나 환경에 따라 그 안의 맥락이 달라서 재밌는 부분들이 많다. 할머니는 인구 조절 정책으로 인해 낙태가 허용되고 그것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무렇지 않던 때를 사셨다. 반면 어머니는 청각장애인이라는 이유를 포함해 여러 가지 요인으로 낙태 사실을 자유롭게 말하기 힘들었다. 소수자가 금기시되는 것을 했을 때 더 낭떠러지로 떨어지는 상황에 처하는 것이다. 나는 페미니즘 붐이라고 말할 수 있는 시대에 운동의 일환으로 임신 중지 경험을 말할 수 있었다. 개인의 경험이지만 그 기원을 찾아 올라가면 정치적·사회적 맥락이 연결되어 있고, 그 가지를 찾아나가는 과정이 내게는 무척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