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토피아로부터]
[오혜진의 디스토피아로부터] 말을 지키는 마음
2020-10-07
글 : 오혜진 (문화연구자)

이기호는 간첩날조사건이 횡행하던 1980년대를 재현한 소설 <차남들의 세계사>에서 주인공 ‘나복만’을 고아이자 문맹으로 설정했다. 영화 <택시운전사>는 1980년 ‘그날’ 주인공 ‘만섭’이 광주에 간 이유를 “아빠가 손님을 두고 왔어”라고 간명하게 정리했다. 수많은 관객이 “내가 연희다!”라고 외칠 만큼 공감을 얻은 영화 <1987>의 등장인물 ‘연희’는 선배에게 품은 연정 때문에 1987년 ‘그날’ 광장에 나간다.

흥미롭게도, 역사적 폭력과 민주화 항쟁을 재현하는 최근 대중 서사에는 ‘이념’을 가진 주인공이 없다. ‘보통 사람’, ‘평범한 소시민’을 돌연 ‘피해자’이자 ‘투사’로 만들 만큼 당대 역사가 폭력적이었다는 점, 지배권력에 저항하며 싸우는 사람은 유별난 사람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선택일 것이다.

그래도 의문은 남는다. 1980년대는 ‘노동해방’, ‘민족민중해방’ 같은 가치들이 대중적으로 큰 호응을 얻은 유례없는 시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단체에 가입하고, 시위를 조직하고, 위장취업을 하고, 사회주의 서적을 몰래 탐독한 이들이 많았다. 이들의 신념이 얼마나 타당했는가를 따지기 전에, 그 많던 이념형 인물들은 왜 좀처럼 재현되지 않을까. 대중 서사에 재현된 역사적 인물들은 어째서 한사코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 ‘평범한 소시민일 뿐이다’라며, 자신을 ‘선량한 양민’으로 묘사해야만 할까.

이같은 경향은 사상을 가진 인물에 줄곧 따라붙었던 ‘빨갱이’, ‘종북’ 같은 낙인으로부터 대중적 상상력이 여전히 자유롭지 않음을 방증한다. 괜한 피해의식일까? 그렇지 않다. 이 ‘마음의 단속’은 실제 발생한 ‘행위’나 ‘사건’이 아니라, ‘적국’을 “찬양 고무”할 의도, “이적표현물 소지” 같은 조항을 들어 사람의 마음속까지 통제해온 ‘국가보안법’이라는 구체적인 제도와 관련된다. ‘인권변호사 출신 대통령이 두명이나 나온’이 나라에, 아직 그 법이 있다.

<말의 세계에 감금된 것들>(오월의봄 펴냄, 2020)은 국가보안법 피해여성 11명의 구술을 기록한 책이다.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감옥에 간 자식을 옥바라지하다가 그 자신이 국가보안법 폐지운동에 나선 어머니들,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이 ‘이적단체’로 규정되자 감옥에서 전향을 강요당한 여성들, 화교나 조선족처럼 ‘경계인’이기에 손쉽게 ‘불온한’ 존재로 내몰린 여성들의 이야기.

이들은 그저 자신들의 무고함을 인정받으려고만 하지는 않는다. “나는 학생으로서 정권이 잘못한 일들, 틀렸다고 생각하는 일들에 맞서다 감옥에 간 거”라고 말하는 여성, 전향서를 썼지만 “운동과 삶의 현장에서 결코 한번도 ‘탈퇴’하지 않”고 자신의 ‘말’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해온 여성들이 이 책에는 있다. 말의 세계에 감금될지언정 자신의 말과 신념을 함부로 철회하지 않고 지키려는 의지. 이 사회가 그 의지를 헌신짝 취급한 지 너무 오래되었다.

부디 많은 독자들이 이 책을 읽기를. 동명의 전시를 온라인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