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리뷰]
'그리고 우린 춤을 추었다' 조지아 최초의 LGBT 장편영화
2020-11-24
글 : 이지현 (영화평론가)

조지아 국립무용단 무용수들 사이에서 메라비(레반 겔바키아니)와 그의 마리(아나 자바히슈빌리)가 춤추고 있다. 민속춤을 추는 메라비의 모습은 경쾌하고 즐거워 보인다. 단장이 그런 그에게 “꼿꼿하고 힘 있게 춤춰”라고 조언한다. 단장에 따르면 조지아 춤은 람바다가 아니다. 따라서 위엄 있어 보이고 용기 있게 느껴져야 한다. 그의 설교가 마무리될 무렵, 문을 열고 새로운 무용수가 나타난다. 이라클리(바치 발리시빌리)는 성추문 사건으로 쫓겨난 어느 무용수의 대역으로 이곳을 찾았다. 얼핏 보아도 이라클리는 메라비와 상반되는 분위기를 지녔다. 섬세하기보다는 남성적이고, 유연하기보다는 자신 있어 보인다. 한눈에 메라비는 그가 자신의 라이벌이 될 것을 직감한다. 그리고 그 감정은 이후 다른 모든 것을 포괄하는 커다란 욕망으로 변한다.

신인배우 레반 겔바키아니의 얼굴을 따라 진행되는 <그리고 우린 춤을 추었다>의 내러티브는 다소 상투적인 성장 드라마의 톤을 따른다. 치기 어린 젊은 댄서가 꿈을 향해 나아가고, 그 과정에서 익숙한 감정에 빠져든다. 영화에서 그의 내면은 춤을 통해 표현된다. 간혹 감정이 흘러넘칠 때에도, ‘전통’이란 미명하에 개인적인 감정은 억압적인 방식으로 모두 차단당한다. 한마디로 보수적이고 남성적인 굴레, 전통 춤의 법칙 안에 모든 이가 묶여 있다.

감독은 모든 배우를 비전문 배우들로 구성했는데, 그 덕에 인물들의 실제 일상과 조지아의 사회적 현실이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인물들은 모두 과거의 유산과 싸우며, 특히 주인공이 그렇다. 메라비가 이곳에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어쩌면 그의 부모 때문일 수도 있다. 춤을 췄지만 실패한 아버지와 어머니는 마치 이 인물의 미래처럼 느껴진다. 큰 무대를 향한 기회를 노리지만, 그 역시 다른 가족들처럼 실패할지 모른다.

영화는 조지아의 억압된 젊은이들이 욕구를 분출하는 장소를 ‘클럽’으로 묘사한다. 우연한 첫사랑에 절망한 메라비가 들른 곳은 밤 시간의 클럽으로, 그곳에선 마치 폐물이 된 원칙론자들에 맞서듯 수많은 젊은이들이 모여 있다. 그들은 자신이 원하는 춤을 추며 연대의 시간을 보낸다. 조지아 최초의 LGBT 장편영화인 <그리고 우린 춤을 추었다>는 태생적으로 정치적인 작품이다. 조지아 출신의 부모를 둔, 스웨덴 영화감독 레반 아킨은 애정 어리고 객관적인 시선으로 이곳의 현실을 바라본다. 2013년에 트빌리시에서 열린 동성애자 퍼레이드에서 참가자들이 탄압받는 모습을 보며 그는 처음 영화를 구상했고, 촬영 과정에서도 많은 억압을 받았다. 수키슈빌리 무용단에 협조를 요청했지만 거절당했으며, 이후 다른 무용단의 참여까지 방해받아 결국 촬영은 경호팀의 보호 아래 진행되었다.

지난해 11월, 트빌리시 첫 상영에서도 시위가 있었다. 종교단체와 극우정당의 물리적 방해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영화 상영은 이루어졌다. 감독은 아마도 구소련의 영역이었던 아버지의 나라를, 누군가가 나서서 증언해야 한다고 믿었던 것 같다. 2019년 칸국제영화제 감독주간에서 영화가 소개되었을 때, 그의 심리적 목표는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고 보아도 될 것이다.

그럼에도 <그리고 우린 춤을 추었다>의 가장 큰 장점은 민족주의적이거나 정치적인 목소리에 있지 않다. 굳이 사회적인 맥락을 설명하지 않아도, 작품은 충분히 감각적이고 매력적이다. 영화는 억압과 표출의 리듬 사이에서 일어나는 인간 내면의 응집력 있는 투쟁을 섬세하게 묘사한다. 평범한 리얼리즘 드라마가 나아갈 수 있는 최상의 ‘위반’에 다가선다. 마지막 장면, 끔찍하도록 단호한 전통의 수호자들 앞에 선 주인공의 모습을 생각한다. 아마도 당시 영화의 주인공은 자신이 실패할 것임을 알고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후회하지 않기 위해 마음을 다잡고 꼿꼿하게 선다. 그 모습은 정말이지 우아하다. 평생 기억할 실패의 순간을 그는 춤으로 표현한다. 그런 메라비의 얼굴을 보고 있자면, 다소 피상적으로 표현된 이 인물의 결심에 동조할 수밖에 없다. 성장 드라마와 정치 우화의 꽤나 유기적인 결합이다.

CHECK POINT

언어의 한계를 넘어서

레반 아킨 감독은 어린 시절 여름철마다 조지아에 들러 휴가를 보냈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조지아어에 능숙하지는 않고, 때문에 촬영 기간 내내 언어적인 곤란을 겪었다고 한다.

SNS 캐스팅

주인공 레반 겔바키아니는 이 영화가 첫 출연작인 댄서 출신의 배우이다. 독특하게도 그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발탁되었다. 바치 발리시빌리도 마찬가지로 신인이다. 그는 7년 정도 조지아 민속춤을 춘 경험이 있고, 오디션을 통해 이라클리 역을 맡았다.

자칭 ‘유럽의 춤의 요람’ 조지아

조지아가 아직 구소련에 속했던 1920년대, 트빌리시에는 고전무용과 현대무용, 전통무용을 모두 아우르는 ‘안무학교’가 설립됐다. 안무학교의 설립은 이후 조지아 민속춤이 뿌리 내려 민족 정체성의 상징으로 자리 잡는 데 도움을 줬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