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
[인터뷰] 조지아 춤에 동성애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 영화를 보라
2020-12-03
글 : 조현나
'그리고 우린 춤을 추었다' 레반 아킨 감독

“그만”이란 말에도 메라비(레반 겔바키아니)의 몸짓은 이어진다. 날아오르는 새처럼 곧게 편 손끝에서, 헛디뎠던 메라비의 발끝에서 다시, 그리고 새롭게 춤이 피어난다. <그리고 우린 춤을 추었다>는 조지아 국립무용단원 메라비가 동료 이라클리(바치 발리시빌리)를 만난 뒤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전통이란 틀을 벗어나 마침내 자신의 춤을 추게 되는 과정을 담은 작품이다. 메라비는 자신의 변화와 혼란스러운 감정을 오롯이 춤으로 표현한다.

어린 시절부터 영화감독의 꿈을 키운 레반 아킨 감독은 방송국에서 <세컨드 에베뉴> 등의 시리즈물을 제작하며 영화 제작을 위한 내공을 쌓았다. 감독이 조지아의 프라이드 퍼레이드 영상을 본 뒤 연출한 두 번째 장편 <그리고 우린 춤을 추었다>는 지난해 칸국제영화제 감독주간에 초청됐으며, 올해 스웨덴 굴드바게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비롯한 4관왕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영화 속 메라비의 여정만큼이나 촬영 과정도, 상영도 녹록지 않았던 <그리고 우리는 춤을 추었다>의 안팎에 관해 레반 아킨 감독과 서면으로 나눈 대화를 전한다.

-조지아 무용수들이 전통 춤을 추는 흑백 오프닝 시퀀스가 인상적이다. 해당 장면으로 영화를 시작한 이유가 있나.

=조지아에 익숙하지 않은 관객에게 조지아의 춤을 보여주는 것이, 조지아의 전통적인 가부장적 규범을 설명하는 방법일 것 같았다. 때론 대사보다 움직임이 더 많은 것을 보여주곤 하지 않나.

-본래 전통 춤에 관심이 많았나.

=어렸을 때 춤을 배우긴 했지만 현대무용과 발레를 주로 췄고 조지아 전통 춤 댄서가 되려고 생각해본 적은 없다. 그럼에도 춤은 항상 사랑했다. 매 순간 노력하고 잘 훈련된 댄서들이 존경스러울 따름이다.

-성소수자들에 대한 차별이 만연한 조지아를 배경으로 게이 무용수의 삶을 다룬 이유는.

=나는 스웨덴 출신이지만 부모님이 조지아 분들이라 조지아가 익숙하다. 어느 날 페이스북에서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처음으로 프라이드 퍼레이드를 하려는 사람들의 영상을 봤다. 퍼레이드에는 50여명이 모였는데 정작 반대 집회에는 2만여명의 사람들이 모였더라. 정말 끔찍했다. 다른 국가의 그 어떤 차별도 내가 봤던 장면만큼 심하지 않았을 거다. 그래서 2016년 조지아에 가서 이 이슈에 대한 조사를 하기 시작했고, 그게 영화의 시작이다.

-댄서들이 춤을 추는 공간은 실제 국립무용단원들이 사용하는 공간인가.

=아니다. 내가 영화를 찍기 위해 조지아 국립무용단에 협조를 요청했을 때 그들은 “조지아 춤에는 동성애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이유로 거절했고, 무용단 단장은 조지아에 있는 다른 모든 무용단에 전화를 걸어 우리의 협조 요청을 거절하라는 경고를 했다. 그들이 계속해서 촬영을 방해했기 때문에 우리는 “조지아 문화와 사랑에 빠진 프랑스 관광객에 관한 영화”라고 거짓말을 해가며 촬영을 진행했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메라비 역의 레반 겔바키아니 배우를 섭외했다는 배경이 흥미롭다.

=레반의 경우 처음 만났을 때부터 잠재력이 보였다. 전문 배우가 아닌 댄서라서 감정을 능숙히 이끌어내는 편은 아니었지만 그 순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직관적으로 표현해내는 능력이 뛰어났다. 이라클리에게 사랑을 느끼는 순간과 같은 것들이 전부 진짜처럼 느껴질 정도였다. 다른 성소수자들이 그런 레반을 보며 공감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어서 이런 세세한 순간을 전부 잡아내고자 했다. 이라클리 역의 바치 발리시빌리는 메라비 역을 뽑는 오디션에서 만났다. 바치 역시 조지아 전통 춤을 7년이나 춘 댄서다.

-전문 배우들이 아니라 감독의 조언이 중요했을 것 같은데.

=조언보다는 도리어 내가 얻는 게 많았다. 예를 들면 런던에서 온 영국 담배에 관한 이야기나 가족들의 모습 같은 것들은 배우들이 이야기한 것에서 따온 것들이다. 그래서 영화가 현실적이라는 평을 많이 받았다. 또 서로를 좀더 잘 이해하기 위해 레반은 자신의 삶에 관한 글을 써서 나에게 읽어주곤 했고, 나는 6개월 정도 레반을 작은 카메라로 따라갔다. 그 덕분에 정식 촬영이 들어간 후엔 마치 카메라가 없는 듯 연기하는 레반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담을 수 있었다.

-메라비와 메라비의 형 데이비드에 관해서도 묻고 싶다. 두 사람 모두 무용단 소속이지만 이후의 행보는 확연히 다르다. 이처럼 두 인물을 강하게 대비시킨 이유는 뭔가.

=데이비드는 조지아의 전통적인 사회를 상징하는 캐릭터라 할 수 있다. 메라비는 사회가 요구하는 남성적인 매력이 부족하지만 국립무용단의 메인 댄서 자리를 지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반면 데이비드는 사회가 원하는 파워풀한 춤을 추는 댄서지만 춤에 대한 열정이 없다. 메라비에게서 돈을 강탈해 술을 마시고, 일도 오래 지속하지 못하며, 장남으로 가족을 제대로 부양하지도 않는다. 그런 메라비와 데이비드의 상황을 대조하면서 가부장적인 조지아의 현실을 생생히 그려내려 했다.

-조지아의 전통을 상징하는 형의 결혼식에서 이라클리가 메라비에게 이별을 고하는 장면이 의미심장하다. 모두가 즐거운 연회장에서 메라비 혼자 괴로워하며 연회장을 빠져나가는데.

=모두가 행복한 곳에서 혼자 슬픔을 느끼는 메라비의 모습은 처음 영화를 구상하면서부터 생각한 장면이었다. 메라비와 이라클리가 직접적으로 헤어지는 장면을 보여주는 건 진부하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메라비가 카메라를 떠나 자립하는 것처럼 연회장을 나서는 메라비를 멀리서 촬영했다. 그의 심정을 있는 그대로 잘 전달하기 위해선 롱테이크로 촬영하는 게 좋을 것 같았다.

-메라비가 전통의 굴레에서 벗어나 추는 마지막 춤은 레반이 전부 자유롭게 춘 것인가.

=레반이 많은 부분을 만들어낸 장면이지만 전문가의 도움도 있었다. 촬영장에는 조지아 안무가도, 현대무용가이자 안무가인 나타샤도 있었다. 하지만 조지아 전통 춤과 현대무용을 적절히 변형하고 응용한다는 게 정말로 어려운 일이더라. 그래서 그 둘을 잘 알고 있던 레반이 몇몇 부분을 직접 몸으로 만들었다.

-스웨덴 굴드바게영화제 수상을 비롯해 여러 영화제에서 좋은 성과를 얻었는데 조지아에서의 반응이 어땠는지 궁금하다.

=상영 반대 시위가 거셌다. 조지아에서 3일간 이 영화를 상영했는데, 관객 모두 상영 반대 시위자들이 던지는 돌을 맞을 각오를 해야 했다. 경찰의 보호를 받으며 상영이 진행됐는데 그 와중에도 6천명의 용감한 관객이 영화를 봤다. 현재도 조지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에서 많은 관객이 이 영화가 그들에게 얼마나 큰 의미를 지니는지 메시지를 보내온다.

-처음 어떻게 영화감독의 꿈을 꾸게 되었나.

=나는 이 질문이 너무 좋다. 7살 때 하워드 더치 감독의 <사랑시대>라는 영화를 처음 극장에서 봤고, 이 영화가 영화감독의 꿈을 꾸게 한 첫 영화다. 나는 평생을 걸쳐 영화를 만들고 싶어 했다. 나의 주된 영감의 원천은 호기심이다. 내 흥미를 자극하는 요소를 끝없이 탐구하고 그곳에서 영감을 얻는다.

사진제공 레반 아킨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