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원의 밤> 감독 박훈정 / 넷플릭스
“내성적인 갱스터.”(Radio Ca’ Foscari) 제77회 베니스국제영화제에 초청된 박훈정 감독의 <낙원의 밤>을 둘러싼 여러 반응 중 유난히 눈에 띄는, 영화의 본질을 선명하게 짚어주는 평이다. 박훈정 감독의 여섯 번째 영화이자 서정적인 누아르물인 <낙원의 밤>은 어울리지 않는 것들의 조합을 통해 이색적인 감흥을 자아내고자 애쓴다. 낙원처럼 아름다운 제주도와 밤처럼 어두운 조직폭력배의 세계. 처절한 누아르의 폭력성과 아련한 멜로드라마의 조합. 의도는 이해가 간다. 보색 효과처럼 섞이지 않을 듯이 느껴지는 요소들을 대비시키는 것만으로 비장미가 농후해질 수도 있다. 박훈정 감독은 이를 위해 치밀한 음모나 복잡한 플롯 대신 상황과 장면의 정서를 표현하는 데 집중한다. 누아르 특유의 차갑고 어두운 색감과 제주도의 푸른빛이 더해져 밤바다의 심연을 그리고 싶었던 듯하다.
하지만 영화는 ‘내성적’이란 단어를 다소 오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캐릭터가 말수를 줄이고 가만히 바라본다고 깊이가 더해지는 건 아니다. <낙원의 밤>의 가장 큰 패착은 정작 캐릭터(혹은 사람)에 대한 관심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영화의 의도와 스타일, 서사가 모두 겉도는 안타까운 상황에 봉착한다. 내 가족에겐 따뜻했던 유능한 조직폭력배 태구, 시한부 선고를 받은 재연은 가족을 잃은 아픔과 외톨이라는 심경을 공유하는데 정작 교감의 과정은 겉핥기에 그친다. 농담 같은 장면들이 나열될 뿐 두 인물의 심리나 내면은 도식적이고 피상적이다.
그나마 엄태구, 전여빈, 그리고 나름 원칙이 있는 조직폭력배 마 이사 역의 차승원 배우가 캐릭터에 부피를 더하려 하지만 대부분 역할 자체보다는 배우들이 본래 가지고 있는 개성에서 비롯되는 생기에 불과하다. 폭발하는 액션, 적당한 농담과 때깔 좋은 화면까지 기계적인 조합은 무난해 볼만한 장르영화로 소비할 수도 있겠지만 인물을 바라보는 시선이 어딘가 시대착오적이란 느낌을 지우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