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청룡영화상 시상식, 음악상을 수상한 <도가니>의 모그 음악감독은 다음과 같은 수상 소감을 남겼더랬습니다. “황동혁 감독을 스타 감독으로 만들기 위해 열심히 음악을 했습니다.” 그의 말을 살짝 뒤집어, 이런 생각을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독을 스타로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영화의 완성도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 게 최근 영화음악의 경향이라고. 한스 짐머와 대니 엘프먼, 엔니오 모리코네 등 20세기를 풍미한 영화음악감독들이 역사에 길이 남을 테마곡으로 영화의 위상을 높이고 스스로 스타가 되었다면, 21세기 영화음악가들은 영화의 호흡, 리듬, 긴장을 음악으로 시의적절하게 조절하며 작품의 명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화음악가는 또 다른 스토리텔러”라고 믿는 <업>의 마이클 지아키노가 대표적인 사례일 겁니다. 한편 다프트 펑크, 트렌트 레즈너와 같은 영향력있는 뮤지션들이 영화음악계로 속속들이 진입하고 있는 것도 최근 트렌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주목할 만한 작업을 하고 있는 여섯명의 해외 뮤지션을 엄선해 소개합니다. 더불어 음악평론가가 바라본 한국 영화음악의 뉴웨이브와 2012년 유망주로 손꼽히는 <코리아> <타워> <점쟁이들>의 김태성 음악감독 이야기도 담았습니다.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846호
21세기 영화음악의 새로운 가능성 6+1
글 장영엽 최민우(대중음악평론가) 김학선(음악웹진 보다 편집장) 이대화(음악평론가) 이민희(음악웹진 백비트 편집인) 차우진(대중음악평론가) 일러스트레이션 백두리(일러스트레이션)
2012-03-27
- 이어지는 기사
-
-
1/9
-
2/9
-
3/9
-
4/9
-
5/9
-
6/9
-
7/9
-
8/9
-
9/9
-
- 이어지는 기사
-
-
1/9
-
2/9
-
3/9
-
4/9
-
5/9
-
6/9
-
7/9
-
8/9
-
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