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우블’과 ‘해방’에선 음악도 주연이였어
2022-06-20
글 : 한겨레제휴기사 (한겨레 신문 제휴기사 등록)

[한겨레]

[이재익의 노래로 보는 세상] ‘위스키 온 더 블록’ ‘네버마인드’

<나의 해방일지> 조태훈-염기정 매개체된 너바나 음반. 화면 갈무리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티브이엔)와 <나의 해방일지>(제이티비시)는 시청자의 감성을 건드리는 섬세함이 뛰어났다. 맛보기로 두 드라마의 후일담 기사에서 나오지 않은 내용 몇가지를 적어본다.

<나의 해방일지>를 통해 일약 스타덤에 오른 ‘구씨’는 엄청난 규모의 술집을 운영하는데 그 사무실에 특별한 그림 하나가 걸려 있다. 눈여겨본 독자들이 있을까? 물감을 흩뿌리듯 과감한 기법으로 그린 추상화인데, 화가 잭슨 폴록의 작품이다. 그림 한점당 수백억원 이상을 호가하므로 원화는 아니고 디지털 프린트를 액자로 걸어놓은 인테리어일 테다. 필자는 드라마에서 그 그림을 보고 작품의 세심함에 감탄을 넘어 탄식했다. 그림을 그린 잭슨 폴록 역시 드라마 속 구씨처럼 심각한 알코올중독에 시달리다가 결국 스스로를 비참한 죽음에 몰아넣은 인물이기 때문이다. 세상의 무수한 그림 중에서 구씨의 사무실에 가장 잘 어울리는 그림이다. 소품 하나까지도 캐릭터와 결을 맞춘 정성을 혼자만 알기 아까워 널리 알리고 싶어 이렇게 소개한다.

<우리들의 블루스>와 <나의 해방일지>에는 유독 도드라지는 음악이 있다. <나의 해방일지>에서는 너바나의 2집 음반 <네버마인드>가 영화 <기생충>의 수석처럼 떡하니 등장한다. 이 음반은 조태훈(이기우)의 영혼 안식처인 셈인데, 염기정(이엘)과 로맨스를 맺어주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두 사람이 음악을 듣고 감상을 나누는 장면도 나온다. 너바나라는 밴드가 청춘의 우울과 분노를 대변했다는 점을 상기하면, 드라마와 잘 어울리는 선택이다. 너바나가 생소한 독자라면, 필자가 <한겨레> 2017년 7월2일치 칼럼(아재들의 음울한 신(神)? 너바나, 그리고 커트 코베인)에서 상세하게 다뤘으니 읽어보길 권한다.

<우리들의 블루스>에서 ‘위스키 온 더 록’은 은희가 자주 불렀다. 화면 갈무리

<우리들의 블루스>는 ‘위스키 온 더 록’이 등장인물 대부분이 40대 후반으로 설정된 드라마 감성에 딱이다. 새로 만든 곡인지, 기존 곡인지 궁금해하는 이들이 많았다. 혹시 떠오르는가? 최성수가 부른 ‘위스키 온 더 록’이다. 이 곡은 ‘동행’ ‘해후’ ‘풀잎사랑’ ‘남남’ 등의 히트곡과 달리 발표 뒤 여태껏 별 인기를 얻지 못하다가 이번에 널리 알려졌다. 이 노래가 처음 나온 건 20년 전인 2002년. 음반 <뉴 앤드 베스트> 타이틀곡이었는데, 필자가 연출했던 프로그램에 최성수가 출연해 라이브로 열창했던 기억도 생생하다. 당시 20대였던 필자는 이 노래에 담긴 정서를 이해하지 못했다. 그 이유는 이 노래가 <우리들의 블루스> 주제곡이 된 이유와 같다. 이 노래는 철저하게 중년의 감성에 호소하는 노래였으니까.

악기 편성도 연주도 세련된 게 지금 들어도 20년 전 노래 같지 않다. 가요도 트로트도 록 음반도 아닌, 특정 장르에 넣기 어려울 만큼 독창적이다. 재킷도 꼭 감상해주기 바란다. 가사도 당시에는 파격적이었다. 가요계에서 느끼하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운 최성수가 누아르 영화 주인공처럼 분장하고 처연하게 카메라를 바라보고 있는데, 이렇게 물어보는 것 같다. “내 노래와 내 눈빛 중에 어느 쪽이 더 느끼하니? 말해봐….”

정작 ‘위스키 온 더 록’이 주제가처럼 되풀이되는 <우리들의 블루스>에서는 위스키가 아닌 소주나 맥주만 마셔댄다. 오히려 <나의 해방일지>에서 구씨가 모닝커피처럼 마시는 술이 위스키다. 술집을 운영할 때는 위스키, 산포시에 숨어 지낼 때는 소주로 주종이 바뀌는 점도 재미있다. 두 드라마 모두 등장인물들이 어지간히 술을 마셔대는데 참다못해 필자도 종종 술 마시며 시청하곤 했다. 아직 드라마를 안 봤다면 한번 시도해볼 만한 감상법이다. 마치 드라마 속 술자리에 슬쩍 껴서 등장인물들과 술 마시는 기분이 든다. 꿀맛이다.

<우리들의 블루스> <나의 해방일지> 등장인물 중 누군가가 꼭 나 같아서 위안을 받았다는 감상평이 많다. 누구와도 공통점이 없던 필자조차도 묘한 위안을 받았다. 이 감정의 정체가 뭘까 생각해봤더니 감사함이었다. 그때 내 곁에 있어준, 그리고 지금 함께해주는 사람들에 대한 감사.

에스비에스 피디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