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타]
[인터뷰] 내 안의 나를 꺼내어, 가장 나다운 모습으로, ‘마스크걸’ 나나
2023-08-29
글 : 임수연
사진 : 백종헌

나나는 드라마 <굿와이프>, 영화 <자백>에 이어 또 한번 원작이 있는 작품을 만났다. 하지만 자신도 모르게 원작에 갇히는 느낌이 들어서 웬만하면 원작을 보지 않으려고 했다. 나나가 연기한 ‘김모미B’는 동명의 원작 웹툰 연재 당시에도 가장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파트다. 외모 콤플렉스 때문에 마스크를 쓰고 인터넷 방송 BJ로 활약했던 김모미는 살인을 저지른 후 성형수술을 받고 전혀 다른 얼굴로 다시 나타난다. 평범한 직장인이 잔혹한 범죄를 저지른 후 전혀 다른 인물이 되어 살아간다는 극단적인 상황을 자기답게, 설득력 있게 연기한 나나의 신중한 태도는 단기간에 완성된 행운이 아니다. 원작의 모사가 아닌 넷플릭스 시리즈 <마스크걸>만의 ‘김모미B’를 연기하기까지, 나나가 배우로서 부단히 훈련해온 과정을 함께 들었다.

- 3인1역이기 때문에 오히려 고현정, 이한별 배우와 마주칠 일이 거의 없었을 것 같다.

= 대본 리딩 때 한번 뵀고, 촬영장에서 서로 짧게 마주친 적은 있다. 가장 길게 얼굴을 본 날은 오늘(제작발표회 당일)이다. (웃음) 고현정 선배님과는 간간이 시간 맞을 때 밥 먹자고 연락을 했다. 작품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사적인 대화를 많이 나눴다.

- 고현정의 젊은 시절을 연기한다는 것 자체가 젊은 배우에게 남다른 경험이었겠다.

= 그 또한 내가 <마스크걸>을 선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함께 연기하는 신은 없지만 동일 캐릭터를 선배님과 같이 연기한다는 경험 자체가 내 필모그래피에서 중요한 의미로 남을 거라 생각했다. 굉장히 영광스러운 한편 내가 모미 캐릭터의 중간 감정을 잘 쌓아두지 않으면 안됐기 때문에 부담감도 따라왔다. 그런데 그 부담감이 작품을 준비할 때도 촬영할 때도 좋은 에너지로 작용했다.

- 나나가 연기한 ‘김모미B’는 원작 연재 당시에도 김모미의 인생 중 가장 화려하고 자극적인 파트로 회자됐다. 시리즈 전체에서 배우가 해줘야 하는 역할이 분명한 캐릭터였다.

= 인물을 쭉 이끌고 가는 게 아니라 중간에 갑자기 등장해 감정 표현을 해야 하는 캐릭터도, 3인1역을 연기한 것도 모두 처음이었다. 시간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점프되는 구간이 많다 보니 신 바이 신으로 중요한 감정이 무엇이고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지 공부했다. 순간적인 집중력을 많이 요하는 작업이었기 때문에 해당 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표현하면 애매한 연기가 나올 것 같았다.

- <마스크걸> 같은 작품을 볼 때 맞닥뜨리는 딜레마가 있다. 루키즘(외모 지상주의·외모 차별주의)을 꼬집는 콘텐츠를 보면서 정작 보는 이는 나나라는 배우의 아름다움에 감탄하게 된다는 것이다. 연기하는 입장에서도 ‘김모미B’ 파트가 자칫 외적으로만 소비되지 않도록 의식할 수밖에 없었겠다.

= 내가 연기한 신들이 비주얼로만 소비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라 그런 생각은 하지 못했다. 화려하게 보여야 하는 신보다는 그동안 보여주지 못했던 어둡고 딥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분장을 하는 분량이 더 많았다. 그래서 ‘김모미B’는 아름다움과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다. 다만 ‘김모미A’에서 ‘김모미B’로 처음 변화했을 때는 더 예쁘게 보이도록, 변화가 두드러지게 표현하려고 신경을 많이 썼다.

- 특히 외모 평가를 숨 쉬듯 받는 여성들은 <마스크걸>을 보며 복잡한 마음을 가질 수밖에 없다. 엄격한 잣대로 평가받는 연예계에 있는 당사자로서 <마스크걸>에 대한 감상은 어땠나.

= 사실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현실 직시를 매우 잘하고 있다. 어쩔 수 없이 인정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 존재한다. 그래서 안타깝고 슬프지만 오히려 좀 내려놓고 공감하고 이해하며 접근하려고 했다. 그보다도 앞으로 인생의 선택에 대해서, 그 중요성에 대해 많이 생각하게 됐다.

- 원작과 가장 달라진 것은 김춘애(한재이)와의 관계다. 웹툰에서 춘애와 모미는 서로를 속이고 경계심을 놓지 않았지만, 드라마에서는 여성 연대의 의미가 강해졌다.

= 대본을 읽으면서 춘애는 또 다른 모미 같다고 생각했다. 외적으로나 성격적인 부분이나 모미가 상처받았던 부분을 공감해줄 수 있는 유일한 친구였다. 춘애는 외롭게 은둔 생활을 하던 모미에게 평생 지키고 싶고 함께 가고 싶은 희망의 끈 같은 존재다. 이는 가족과는 좀 다르다. 춘애 캐릭터에 애틋한 감정을 갖고 연기한 데다 실제 춘애를 연기한 한재이 배우와 동갑이고 이미지나 분위기도 비슷해서 금방 친해졌다. 사실 <마스크걸>을 촬영하는 동안에도 춘애를 더 만나고 싶었다. 그 친구가 너무 좋기도 했고 춘애를 볼 때마다 울컥울컥했다. 정말 자연스럽게 모미가 놓인 상황에 감정을 집중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도 재이를 사적으로 만난다.

- <굿와이프>의 전도연, <글리치>의 전여빈과의 케미스트리도 화제가 된 바 있다. 연출자들이 여성과 여성이 함께 서 있는 그림을 상상할 때 나나를 많이 떠올리는 이유가 무엇인 것 같나.

= 그러게, 이유가 뭘까. (웃음) 내가 여성적이거나 남성적이거나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이미지를 갖고 있어서가 아닐까. 사실 예전부터 예쁘다는 말보다는 잘생겼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 남자든 여자든 내 얼굴을 보고 잘생겼다고들 표현했다.

- <굿와이프> 때부터 도구적으로 소비되지 않고 자기 서사가 확실한 캐릭터들과 인연을 잘 맺어온 것 같다. 경력 초반부터 이런 운이 따랐던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 <굿와이프>의 김단이라는 첫 단추가 잘 끼워진 덕분에 지금까지 올 수 있었다. 사실 데뷔 때부터 꾸준히 연기 공부를 하고 오디션도 많이 봤지만 전부 떨어졌다. 그땐 예능에서 내가 보여줬던 이미지, 약간 엉뚱한 모습을 눈여겨보셨는지 부잣집 철부지 막내딸 캐릭터가 많이 들어왔다. 그러다 원래 내 털털한 성격과 잘 맞는 캐릭터를 <굿와이프>로 처음 만난 것이다. 스스로도 편하게 연기할 수 있는 역할이라 오디션 준비를 단단히 했다. 그리고 김단 캐릭터의 털털하고 속을 잘 내비치지 않는 면이 내게 편하게 다가온 것은 맞지만, 내 안에는 또 다른 여러 가지 모습이 있다. <마스크걸>처럼 어둡고 딥한 감정도 내 안에 있고, 내가 가진 밝은 면도 보여주고 싶다. 내가 가진 다양한 모습을 각기 다른 캐릭터로 연기해보고 싶다.

- 애프터스쿨로 데뷔했을 때부터 연기 연습을 꾸준히 했다면, 그땐 어떤 트레이닝을 받았나.

= 처음에는 대본 리딩 위주로, 발성과 발음부터 연습했다. 그다음에는 오디션처럼 대본의 감정을 디테일하게 분석하며 공부했다. 나의 진짜 목소리를 찾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나중에 깨달았다. <굿와이프> 대본 리딩할 때 상대방 대사까지 암기할 만큼 준비를 많이 했는데, 도연 언니가 연기하는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내가 상상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톤이 나왔다. 그래서 대본 리딩을 따로 함께해주시면 안되겠냐고 부탁드렸다. 그때 녹음기를 켜놓고 이게 너의 진짜 목소리가 맞는지, 너에겐 어떤 말투가 편한지 직접 들어보라고 하시는 거다. 그때 내 목소리를 처음으로 듣게 됐다.

- 무대에 설 때도 모니터링이 필수였겠지만 연기를 위해 스스로를 관찰하는 것은 또 다른 경험이었겠다.

= 춤과 노래, 표정과 제스처를 통해 내 감정을 전달하는 것과는 많이 다르더라. 처음에는 많이 쑥스럽고 어색했는데 그렇게 내가 가진 소리, 버릇, 말의 속도 등을 처음으로 알게 됐다. 그때부터 연기할 땐 가장 나다운 모습을, 진실되게 표현할 수 있는 진짜를 보여줘야 한다고 인식이 바뀌었다. 억지로 무언가를 만들어내기보다는 내 안의 가장 편한 것을 꺼내려고 한다. 가령 기분이 좋을 때 목소리 톤이 높아지는 것도 그대로 보여주려고 한다. 그 이후로도 연기하는 친구들을 만날 땐 “우리가 어떻게 얘기하는지 보자”며 핸드폰으로 영상을 찍으면서 놀기도 한다.

- 자신의 모습을 모두 받아들인 쪽인가, 혹은 어색하게 다가오는 습관을 고쳐나갔나.

= 내가 듣기에 불편하거나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을 인정하는 편이긴 하다. 감정에 따라 말의 속도도 톤도 달라지는데, 이를 디테일하게 듣다 보면 어떤 캐릭터를 연기할 때 어떤 말투가 어울리는지 상상할 수 있다.

- 그런데 <마스크걸>의 김모미는 평생 경험할 일 없는 사건을 겪는 캐릭터 아닌가. 이런 작품에 접근할 땐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하는 연기법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나.

= 직접적인 경험이 아니라 내 말투와 감정에서 시작한다. 그래서 경험에 빗대 생각하기보다는 상상을 많이 한다. <마스크걸> 현장에서도 이게 비현실적인 상황이라고 여기진 않았다. 오히려 너무 현실적이라 감정적으로 힘들 때도 많았다. 어렸을 때부터 듣거나 보거나 했던 간접적인 경험을 기반으로 상상하다 보면 여러 가지 감정을 느끼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다. 지금까지 연기하면서 내가 이해하지 못했던 감정은 없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