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매체와 포맷이 범람하는 시대에 과연 우리는 이미지를 감각하고 있는가. ‘박홍열의 촬영 미학: 물질로 영화 읽기’는 서사에 가려 보이지 않는 영화 속 물질들로 영화 읽기를 시도한다. 빛, 색, 질감, 렌즈 등 촬영 도구들로 영화를 감각하며, 이미지를 감각하기 위해선 응시와 관조의 시간이 필요하다. 서사와 담론을 벗어난 이미지들 사이에서 영화 속 무수한 물질들이 만들어가는 또 다른 의미들의 세계를 만나본다.
하마구치 류스케 영화에는 롱테이크가 많다.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의 롱테이크는 기존 영화와 다른 위치에 있다. 이 영화의 많은 롱테이크 화면은 이미지를 수축된 습관으로 만들고 그 습관들을 배반하기 위한 기제로서 작용한다. 카메라의 지각으로서만 포착할 수 있는 이미지들을 롱테이크로 보여주고, 한컷 안에 낯섦과 익숙해지는 낯섦을 다시 낯설게 하기 위해 렌즈의 광학적 성질을 활용한다. 컷과 컷을 광각렌즈와 망원렌즈의 물리적 성질과 컷의 길이로 충돌시킨다. 대상을 담고 있는 화면의 몽타주가 아닌 렌즈의 물리적 충돌 몽타주를 만들어낸다. 인간의 지각이 포착하는 시선이 아닌 카메라의 지각이 포착한 이미지는 습관화돼 무뎌진 우리의 감각을 깨운다.
인트로에서 인간의 이성과 감각으로 볼 수 없는 풍경을 만나게 될 것을 선언하듯 장중한 클래식 음악과 함께 직앙각 숏으로 길게 롱테이크를 보여준다. 하늘과 나무를 향한 직앙각 화면은 인간의 신체구조와 물리적 시선으로는 볼 수 없다. 카메라만이 지각할 수 있는 풍경이다. 자연 속 모든 존재들을 다 담아내려는 듯, 이 영화는 숲을 보여줄 때 깊은 심도의 와이드렌즈로 넓게 보여주고 있다. 모든 것이 선명하게 보이는 심도에 넓은 화각으로 보이는 나무숲은 더 깊고 길고 약간은 기괴하게 보인다. 2분22초 동안 보이던 나무 직앙각 숏이 멈추고 크레딧 타이틀이 10초 정도가 떴다 사라진다. 음악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진다. 그리고 다시 직앙각 트래킹숏이 1분10초 동안 이어진다. 중간에 화면은 멈췄지만 음악이 이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관객의 무의식에 자리 잡은 이미지의 리듬은 이어서 흘러가고 있다. 그러다 갑자기 음악이 멈추며 화면도 함께 전환된다. 트래킹숏이 아닌 정지된 숏이 등장한다. 우리는 선행한 이미지들의 무의식적 학습에 의해 습관적으로 화면이 이어지고 음악도 이어질 것이라 ‘자연스럽게’ 생각한다.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마음을 놓은 사이, 멈춰서는 음악과 화면의 움직임은 습관에 의해 무감해진 감각을 깨우는 ‘자연스럽지 않은’ 리듬의 전환이다. 3분32초 동안 이어지는 음악이 멈춤과 동시에 하늘을 향한 긴 트래킹숏도 멈춘다, 이어지는 컷은 앞의 이미지들을 배반하듯 카메라가 90도 정면으로 회전한다. 직앙각에서 90도 아이레벨 수평으로 내려온다. 와이드렌즈의 넓고 깊은 화각과 대상간의 간격이 벌어진 깊은 심도의 롱테이크 화면에서 망원렌즈의 좁은 화각과 대상들의 간격이 밀착된 얕은 심도의 화면으로 컷이 이어지며 두 화면이 충돌한다. 그리고 얕은 심도의 나무만 보이던 화면 하단에서 한 아이가 프레임인한다. 프레임 하단에서 아이의 프레임인은 하늘과 땅의 이미지의 충돌로 화면 밖에서 또 다른 이미지를 생성해낸다. 다음 장면은 숲으로 들어가는 아이의 뒷모습 롱숏이다. 이 컷은 다시 깊은 심도의 넓은 화각에 와이드렌즈로 앞컷의 얕은 심도의 좁은 화각의 망원숏과 충돌한다.
영화가 시작되고 4분16초 동안 대사 없는 화면에서 카메라의 레벨과 렌즈의 화각, 심도의 몽타주만 보인다. 이 영화의 인트로 풍경은 인간을 넘어선 카메라의 감각이다. 일반적인 영화에서는 카메라가 영화의 환영을 깨뜨리지 않도록 인과와 개연성으로 카메라의 존재를 지워나간다. 하지만 이 영화는 카메라의 존재를 드러낸다. 비논리적이고 개연성 없는 컷들을 통해 카메라 존재가 인지되는 숏들을 배치함으로써 인간 지각의 익숙함을 끊임없이 배반하고 경고한다.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에서 카메라가 관객의 ‘자연스러운’ 감각에 도끼를 내리꽂는 또 하나의 방식은 색이다. 이 영화의 두드러지는 색을 꼽자면 블루다. 영화에서 주인공 타쿠미의 딸 하나는 파란색 점퍼에 청바지, 블루 계열의 모자를 쓰고 있다. 포인트 색으로 노란색 장갑은 블루를 강조하기 위한 보색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인공 타쿠미도 짙고 무거운 블루 계열의 상의와 비니를 쓰고 있다. 마을 주민들도 다양한 블루 계통의 옷을 입고 있다. 여기까지는 ‘자연스러운’ 인간이 감각 가능한 색이다. 이 영화 안에는 인간에게 감각되지 않는 방식으로 더 많은 블루가 존재한다. 타쿠미의 집도, 마을회관 주변도, 숲 전체에도 블루가 자리 잡고 있다. 자연 전체에 빛 사이로 블루가 있다. 집 주변에 있는 붉은색 공구와 장비들은 자연의 그늘 속 블루를 더욱 강조한다. 존재하지만 지각되지 않은 블루는 빛이 닿아 드러나는 곳에 자신을 위치시키는 대신 빛이 가려 생긴 그림자 속에 자리를 잡는다. 영화 <문라이트> 카피, ‘어둠 속 가장 빛나는 블루’처럼 블루 색을 띠는 단파장은 밤에 더 많이 분포되어 빛을 띠지만, 낮에도 해가 닿지 않은 그늘이나 그림자에서 더 많이 분포되어 블루를 강조한다. 하지만 인간은 밤에도 낮의 그늘에서도 블루 빛을 볼 수 없다. 인간의 시지각으로는 그 미세한 블루를 지각하기 어렵다. 하지만 카메라는 미세한 블루 파장의 빛을 지각한다. 우리 옆에 항상 존재하지만 인간의 시지각으로 파악할 수 없는 색을 카메라는 지각해 스크린을 통해 그 존재들을 보여준다.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에서도 블루는 스크린 위에서 색을 띠고 있지만 우리는 습관적 지각으로 보지 못한다. 영화 전반에 깔린 블루가 영화 후반에 해가 막 진 뒤 블루 빛 안개가 짙게 깔린 숲으로 우리를 안내할 때까지.
영화 마지막 시퀀스 숲속 장면에는 블루 빛 푸른 안개가 가득하다. 낮의 그림자와 그늘 안의 블루가 해가 진 안개 속에서 온통 짙은 블루로 이어져 있다. 그 블루 속에서 타쿠미와 글램핑 직원은 하나를 찾고 있다. 그리고 파란색 옷을 입은 하나가 쓰러져 있다. 블루로 표현되는 자연과 타쿠미의 딸 하나(花)는 그 이름처럼 하나(one)인 것이다. 블루가 조화롭게 모여 살고 있는 자연 속에 형광 주황색이 들어와 색의 조화와 균형을 파괴한다. 블루인 타쿠미는 형광 주황인 글램핑장 직원을 쓰러뜨리고 블루의 조화와 색의 균형을 회복하려 한다. 그리고 하나를 안고 숲으로 사라진다. 타쿠미와 하나가 들어간 달빛이 비추는 밤의 숲을 카메라가 첫 장면처럼 길게 트래킹한다. 어둠 속 온 세상이 블루로 가득하다. 그제야 우리는 이 영화에서 카메라가 친절하게 보여주고 있는 블루를 비로소 인지한다.
선과 악을 판단하는 틀은 각자가 서 있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우리는 선과 악을 담는 이미지도 고정된 표상으로 바라본다. 인간의 시지각은 세상을 고정시켜 바라보려 한다. 하지만 카메라는 다르다. 끊임없이 변하고 운동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담아낼 수 있다.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카메라를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각을 깨우는 위치에 놓고, 관습적으로 고정되는 감각을 해체시키며 영화만의 고유한 운동성으로 선과 악에 대한 심리적인 실재를 드러낸다. 악의 존재에 대한 질문을 넘어 무엇이 악의 존재를 발생시키는지를 인간의 지각이 아닌 카메라의 지각을 통해 질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