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일본 인디영화 <카모메 식당>의 촬영지를 찾아 핀란드로 가다 [2]
2007-11-06
글·사진 : 백은하 ( <매거진t> 편집장)

80년 역사의 아르데코풍 수영장, 이르욘카투

이 영화에서 몇번이나 시도되는 가장 기이한 인서트는 바로 사치에의 수영장신이다. 수영장이라고 하기엔 너무나도 장엄한, 아르데코풍으로 꾸며진 이 독특한 곳은 바로 헬싱키의 명소 ‘이르욘카투’ (Yrjonkatu). 1928년에 오픈한 이래 8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곳은 특이하게도 여자와 남자가 수영할 수 있는 요일이 분리되어 있다. 그래서 일주일의 며칠은 마치 카모메 식당이 그랬던 것처럼 온전히 여자들만의 공간이 된다. 영화 초반에는 사람들로 가득하던 그 수영장은 후반부로 가면서 점점 빈 공간으로 변한다. 비어 있던 식당이 점점 사람들로 넘쳐나는 풍경과는 정반대인 셈이다. 어쩌면 그 뜬금없는 수영장이라는 공간은 씩씩함과 친절함 속에 고이 숨겨둔 사치에의 외로움이 모여 유영하던 곳인지도 모르겠다.

공항에서 거짓말처럼 사라져버린 마사코의 짐은 몇주가 흘러도 도착하지 않고 그 유예된 시간은 마사코의 인생 그리고 혹은 또 다른 여자들의 인생까지 바꾸어놓는다. 결국 오랜 기다림 끝에 받아든 그녀의 가방 한가득 담겨 있던 것은 엉뚱하게도 버섯이었다. 그것은 어쩌면 마사코가 그동안 감당해온 삶의 무게와 맞바꾼, 버섯 모양을 한 휴식, 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무언가는 채워지고, 무언가는 비워지며, 또 무언가는 치환되는 가운데 카모메 식당은 점점 이 세상에는 존재하지 않을 것 같은 꿈의 공간으로 바뀌어져 간다.

발틱해의 노을에 영혼을 비추다, 카페 우르술라

카모메 식당은 사실 ‘사치에의 부엌’으로 불러도 다름없는 곳이다. 돈을 받고 서비스를 하는 영업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이 다정하고 정중한 주인의 식당은 사실 가정집 부엌의 연장이다. 부엌의 열린 문을 열고 들어오는 배고픈 이들에게 맛있는 음식을 차려주고 그들이 배불리 먹는 것을 보면서 행복감에 빠지는 소박한 주부의 로망. 올라가는 가겟세와 비싼 재료값을 걱정하지 않는 식당. 그것은 세계의 끝에 있는 원더랜드에서나 만날 법한 판타지의 식당이다. 북극요정과 오로라, 산타와 순록, 백야와 호수의 나라. 어쩌면 동양 작은 섬나라에 살고 있는 한 감독에게 이 핀란드라는 곳은 ‘세계의 끝’처럼 느껴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한때 지니었지만 이제는 잃어버린 무언가들이 여전히 부글부글 끓고 있는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항상 친절하고 언제나 여유롭게만 보이던 것이 제가 알고 있던 핀란드인의 이미지였어요. 하지만 슬픈 사람은 어느 나라에서도 존재하는군요.”
“물론이죠. 세상 어딜 가도 슬픈 것은 슬픈 것이고, 외로운 사람은 외로운 법이잖아요.”

선글라스를 끼고 나란히 누워 있던 여자들. 훌쩍 집을 나가버린 남편을 저주하며 상처입었던 여자도, 20년간 병든 부모를 간호하며 청춘을 저당잡혔던 여자도, 그 순간만큼은 모두들 바쁘게 움직였던 젖은 손을 멈추고 스칸디나비아의 여름 해를 향해 몸을 누인다. 아름다운 언덕이 있는 카이보푸이스토(Kaivopuisto) 공원의 끝에 놓인 ‘카페 우르술라’는 발틱해의 노을과 만나는 가장 완벽한 장소다. 간단한 청어 샌드위치와 커피 한잔, 신문 읽기로 저녁맞이를 하는 백발의 노인들 틈에 끼어 나 역시 <카모메 식당>의 그녀들처럼 바다를 본다. 스톡홀름으로 탈린으로 사람들을 태우고 떠나는 대형 페리들이 석양 속으로 여유롭게 사라진다. 그나저나 왜 하필 핀란드였을까. 사실 꼭 핀란드일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벨기에의 어떤 남자가 홍대 앞에 백반집을 낸들(사실 정말 그런 식당이 있긴 하다) 별로 달라질 것 없는 이야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왜, 라는 질문은 필요없다. 흘러간 삶의 선택들에는 사실 거창한 이유가 없을지도 모른다. 희망은 늘 미래형이고, 이유는 늘 과거형이다. 그날은 내 여행의 마지막 날이기도 했다.

“만약에 내일 세상이 끝난다면 당신은 뭘 하겠어요?”
“글쎄, 제일 먼저 아주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어요.”

글쎄, 나는 뭘 할 수 있을까? 나 역시 사치에처럼 아주 맛있는 걸 먹고 싶을 것 같다. 좋은 재료를 사다가 열심히 요리를 하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불러놓고 배불리 먹인 뒤, 세상에서 가장 썰렁한 농담을 하고, 내일 다시 만날 것처럼 마지막 인사를 나눌 것이다. 그렇게 세계의 끝에서의 최후의 만찬을 마치면 나의 아름다운 부엌에 서서 세계지도를 펴겠다. 그리고 조용히 눈을 감을 것이다. 쭉 뻗은 손가락 끝이 가리키는 곳. 이제 그곳으로 간다. 휘바 휘바! 다음 여행을 떠날 시간이다.

#순록고기

“요즘 일본 젊은이들은 주먹밥에 이색적인 재료를 넣은 걸 아주 좋아하거든요…. 이곳 현지의 재료들을 이용해서 제공하는 거예요.”
“가재… 청어… 그리고 순록고기.”

미도리의 창의적인 제안에도 불구하고 이런 핀란드산 재료들은 주먹밥의 적절한 친구가 되지는 못한다. 그나저나 어떻게 산타 할아버지의 영원한 동반자인 착한 순록을 먹냐고? 한번 맛을 보면 생각이 달라질 것이다. 촘촘한 육질에 깊은 맛이 나는, 핀란드의 특산물이기도 한 순록고기는 따뜻한 스튜로, 스테이크로, 소시지로 혹은 피자토핑으로도 쓰인다. 가장 전통적인 방법은 구운 고기에 붉은색 나는 시큼달달한 링건베리(lingonberry)소스를 끼얹어서 먹는 것.

#버섯

“내 짐이 사라졌어요.”
“그래도 아주 잃어버린 것은 아닐 거예요. 어딘가 분명히 있을 겁니다.”

어렵게 찾은 마사코의 슈트케이스. 그 안에서 흡사 금괴와도 같이 빛나던 이 샛노란 버섯의 정체는 ‘살구버섯’(Chanterelle)이다. 핀란드의 울창한 여름 숲은 버섯 따는 사람들로 붐빈다. 식용버섯의 종류만 해도 100여 가지가 넘는다고 하니 그 자체로 버섯 전시장인 셈. 어찌나 버섯이 흔한지 시내 공원을 걷다보면 버섯들이 돌멩이처럼 발에 툭툭 차일 정도다. 허리를 숙여 그 버섯을 따보자. 이미 당신은 잃어버린 무언가를 찾은 채 허리를 펴고 있을 것이다.

사진제공 스폰지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