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타]
[공효진] 공효진의 화양연화
2008-10-24
글 : 박혜명
사진 : 이혜정

약간 부은 듯한 둥근 얼굴에 선머슴처럼 짧은 머리. 한손에 캠코더를 들고 교실 안을 휘젓던 <여고괴담> 속의 말괄량이 여고생. 9년 뒤 지금 그는 괴짜 같은 여자로 성장했다. 개성있는 외모와 자연스러운 연기력의 결합으로 독자적인 캐릭터를 만들어 사랑받았고, ‘패셔니스타’로 불리며 스크린과 브라운관 바깥에서 또 다른 스타성까지 증명한 배우 공효진(근데 후자의 경우, 반듯한 외모 대신 개성을 앞세우는 충무로의 젊은 연기파 배우들이 자신의 스타성을 확보할 때 일종의 필요조건처럼 챙기는 타이틀이기도 하다). 그의 최근작인 <미쓰 홍당무>는 공효진이 단지 ‘개성있는 젊은 배우 겸 패셔니스타’라는 걸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는다. 전도연, 김혜수, 문소리의 뒤를 이어 다음 세대의 30대 여배우들의 행보를 기대케 한다.


“세상이 공평할 거란 기대를 버려. 우리는 남들보다 더 열심히 살아야 돼.” 세상은 과연 공평하지 않았다. 끔찍할 정도의 안면홍조증을 가진 <미쓰 홍당무>의 양미숙 같은 여자는 원래대로라면 영화로 만들어질 수 없는 종류의 인물이다. 깊은 열등감과 그로 인한 대인기피증, 과대망상증, 편집증, 과도한 공격적 성향, 극도의 이기주의적 사고방식을 가진 못생긴 이 여자가 어떻게 관객의 사랑을 노리고 은막의 여주인공으로 세상에 태어날 수 있단 말인가.

공효진 같은 여배우에게도 세상은 한때 불공평했다. 그처럼 개성있는 이목구비, 흔하지도 무난하지도 않은 캐릭터를 가진 여배우가 스크린과 브라운관의 여주인공이 된 역사는 길지 않다. 한국영화 제작자들의 기획력이 검증되고 충무로로 돈이 몰리면서 소재 및 캐릭터의 다양화가 본격화되어가던 2000년대 초, 일군의 여배우들이 등장했다(혹은 발굴됐다). 배두나(<플란다스의 개>(2000)), 김민희(<순애보>(2000)), 강혜정(<나비>(2001)), 이나영(드라마 <네 멋대로 해라>(2002)), 임수정(<장화, 홍련>(2003)) 등등과 공효진(<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1999)). 특색있는 변두리 상업영화 혹은 장르영화의 주·조연으로 등장한 이들은 독특한 외모와 자유로운 연기 스타일로 이전까지 한국영화에 없던 여성 캐릭터들의 이미지를 다양하고 강렬하게 드러냈다. 물론 이들 중 몇몇의 이미지 지향점은 현재 많이 달라졌지만 그때의 태생은 모두 비슷했다. ‘특이한’ 소녀들. 이들은 당시 여배우 트로이카로 불렸던 고소영의 인형 같은 외모, 심은하의 단아함과 사랑스러움, 전도연의 백지에 가까운 평범함과 자연스러움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았고, 점차 변화를 추구해갈 것이라기보다 이미 그 존재 자체로 변화를 의미하게 된 또렷한 개성의 소유자들이었다.

그중 지금까지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 같은 하나의 캐릭터로 가장 대중적인 ‘흥행’을 이끌어낸 배우를 꼽으라면 공효진일 것이다. 사람들은 <여고괴담> 2편의 선머슴마냥 씩씩한 말괄량이 여고생 지원과 <킬러들의 수다>(2001)에서 사랑이라면 청부살인도 마다하지 않을 뜨악한 여고생 여일의 이미지를 좋아했다. 그것이 <화려한 시절>(2001), <네 멋대로 해라>, <품행제로>(2002) <눈사람>(2003), <상두야 학교 가자>(2003), <건빵선생과 별사탕>(2005)으로 이어져왔다. “공부 못해, 인물 안 돼, 집안 안 돼. 난 왜 태어났을까”(<눈사람>) 같은 변변찮은 조건 속에서 “재밌게 생겼잖아”, “경찰이야? 깡패야?”(<건빵선생과…>) 같은 평판을 당연하게 여기며 열심히 살고, 사랑에 빠질 때면 상대 남자에게 “으이구~ 귀여운 놈”(<화려한 시절>), “너처럼 만만한 놈이 어딨어”(<네 멋대로 해라>)라며 목에 팔을 두르는 여자. 말하자면 나와 삶의 수준이 비슷한, 옆집에 사는 좀 시끄러운 괴짜 아가씨의 이미지.

개성과 평범함을 동전의 양면처럼 품고 있는 공효진은 사실 연기 인생의 8할을 드라마를 통해 인정받았다. 드라마는 공효진 자신의 표현을 빌리면 “배우 자신이 갖고 있는 개성을 반영하기에” 영화보다 좋은 매체다. 데뷔 이래 꽤 오랫동안 저울의 정중앙 눈금 주변을 왔다갔다 하는 듯했던 그 본연의 개성이, 최근 영화 출연작들을 통해 스펙트럼의 확장을 신중히 가늠 중인 듯하다. 김태용 감독과의 두 번째 작업 <가족의 탄생>(2006)이나 우정출연한 <행복>(2007)이 이미지의 눈금을 성숙함쪽으로 넓혔다면, 그 반대쪽 눈금을 확 늘여놓은 작품이 바로 <미쓰 홍당무>다. 고등학생 시절 짝사랑 대상이었던 서 선생(이종혁)과의 사랑을 이루려고 온갖 방법으로 애쓰는 양미숙. 그 낯설디 낯선 행각들을 지켜볼수록 점점 더 예측하기 어려워지는 것은 머리 좋고 재능있는 스물아홉살의 배우 공효진의 미래다. 그는 과연 어떤 캐릭터로서 30대를 맞이하게 될까. 유사한 전례 없이 그가 개척해갈 미래가 궁금하다.

스타일리스트 박세준·어시스트 윤지빈·헤어 지나(정샘물 Inspiration)·메이크업 고연정(정샘물 Inspiration)·의상협찬 조셉, 컨플릭티드 텐던시, 빈치스 벤치, 이자벨 마랑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