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진의 점프 컷]
[김영진의 점프 컷] 선한 의지의 강박 아닐까
2009-07-10
글 : 김영진 (영화평론가)
<처음 만난 사람들> <반두비> 속 다인종 등장인물들이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는 까닭
<처음 만난 사람들>

몇년 전에 재일동포 최양일 감독과 이야기를 나누다 그가 “서울도 이제 다인종이 모여 사는 메트로폴리스가 아닌가. 다른 인종끼리의 러브스토리도 나오지 말라는 법이 있는가”라고 물었던 적이 있다. 최양일의 대표작 가운데 한편인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에 관해 대화하다가 나온 말이었다.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는 택시기사로 일하는 주인공과 접대부로 일하는 필리핀 여성 사이의 연애담을 축으로 택시회사에서 일하는 각양각색의 일본인들과 비일본인들의 캐리커처를 역동적으로 이어가는 영화였다. 자신의 출세작이 된 이 영화를 거론하며 최양일은 폭발적인 소재가 될 수 있는 다인종 사회의 면면이 왜 스크린에 옮겨지지 않는지를 의아하게 여겼다. 그 당시에는 과연 그럴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대다수가 관심없는 소재를 상업영화권에서 영화화할 리가 만무했다.

몇년이 흐른 뒤 요즘 독립영화권에서 이런 소재로 영화를 만드는 것이 어떤 흐름을 띠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최근 개봉작들만 해도 김동현의 <처음 만난 사람들>, 신동일의 <반두비>, 아직 보지 못했지만 심상국의 <로니를 찾아서>란 영화가 있었다. 단발적인 상황일 수도 있으나 그만큼 한국의 영화인들이 우리 곁에 이미 더불어 살고 있는 외국인들에 대해 관찰한다는 증거일 것이다. 물론 선한 의도가 좋은 작품으로 꼭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내가 본 <처음 만난 사람들>과 <반두비>는 좋은 영화였다. 동시에 이 영화들은 타자에 대해 수줍게 손을 내미는 느낌이랄까, 경직된 창작자의 초자아를 완전히 벗어나진 못한 듯이 보였다. 타자를 다룰 때 그 안에 들어가서 헤집고 묘사할 수 없을 때의 조심스러운 신중함이 보였다는 말이다.

너무 우울하거나 마냥 착하기만 한 그들

이렇게 해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것은 인물의 스테레오타입화 문제일 것이다. 탈북자가 베트남 노동자를 우연히 만나 벌어지는 상황을 다룬 <처음 만난 사람들>은 시나리오가 무척 매력적인 작품이었다. 말이 통하지 않는 상황에서 전라도 농촌 마을에 시집가버린 옛 애인을 찾아 무작정 한국에 온 베트남 청년을 온정적으로 탈북자 남자가 돕게 되는 스토리인데 천애고아인 것 같은 상태인 것은 이 탈북자 남자도 똑같다. 진욱이라는 이 남자는 하나원에서 나온 첫날 잠시 이불 사러 마트에 갔다가 자기 아파트를 찾지 못해 밤새 헤맨 처지였다. 그가 참다 못해 탄 택시의 여자 기사는 자신도 탈북자 출신이라는 것을 숨긴 채 교대시간까지 그를 태우고 돌아다닌다. 혜정이라는 그 여자도 아직 한국에 적응하지 못한 채 고아처럼 살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그녀의 삶은 진욱의 미래 모습일지 모른다.

이런 등장인물의 비관적인 삶의 전망에 활기를 주는 것은 낯선 접촉의 활기다. 진욱은 혜정이 탈북자라는 걸 알았을 때 잠시 인간적인 활기를 보여주고 베트남 청년 팅윤은 진욱이 자신을 도와주는 존재라는 걸 알았을 때 마음을 잠시 풀어헤친다. 그때까지 그들은 모두 어수룩하고 우울하고 도무지 인간적인 매력이 없는 사람들로 보인다. 그렇지 않은가. 우중충하게 인상을 구기고 피해자의 서명을 몸에 각인한 사람들이 무슨 매력이 있겠는가. 김동현 감독은 성찰적인 사람이지만 전작 <상어>에서와 같은 과묵한 알레고리의 시적 전개에 비하면 드라마의 잔손질이 필요한 <처음 만난 사람들>을 맛깔나게 만들지는 못했다. 그건 그가 이 소재에 신중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너무 신중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 영화는 코미디 멜로드라마가 될 수도 있었다.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처럼 말이다. 그러나 그렇게 되기에는 창작자의 태도가 너무 조심스럽다. 시나리오에서 웃을 수도 울 수도 없는 상황묘사로 처리된, 말이 통하지 않는 탈북자와 베트남 청년의 여정은 그냥 진지하기만 하다.

신동일의 <반두비>도 그런 점에서는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 이 영화에서 여고생 민서가 만나게 되는 이주 노동자 카림은 마냥 착한 인물이다. 그가 아주 착해서 민서와의 인연이 맺어지는 것은 맞다. 카림은 버스 좌석에 흘린 자기 지갑을 주운 민서가 시치미를 떼자 시비가 붙은 끝에 인연을 맺게 된다. 상대적으로 종잡을 수 없이 매력적으로 그려진 민서 캐릭터와 비교하면 카림이 다소 일면적인 캐릭터라는 게 더 잘 드러난다. 민서는 고액 학원비를 마련하기 위해 안마시술소 아르바이트도 마다지 않는 무모한 소녀다. 돈을 벌기 위한 명분이 고작 학원비를 벌기 위해서라는 것이 충격이지만 누구보다 현실적으로 행동하는 척하는 것이 이 소녀의 매력이다. 그녀의 어머니는 자식 보살피는 것보다 자기 연애하는 데 몰두하는 철없는 아줌마이고 그녀의 애인이라고 하는 남자도 철없기로는 한술 더 뜬다. 심지어 민서는 엄마를 자기가 보살피는 것처럼 굴기도 하는데 무모하게 번 돈으로 엄마한테 쇼핑하라고 잔돈 몇푼을 던지는 영화 속의 한 대목에 이르면 기가 막힌다.

조심성이 오히려 그들을 더 타자화할 수도

그에 비하면 카림은 어떤 상황에서도 화를 잘 내지 않고 마냥 착하기만 한 인물이다. 이런 것도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나름의 강박이 아닐까. 피해자를 피해자답게 그려야 한다는 강박감은 인간적인 접근이 아닐 수도 있다. 사람이 짓눌리기만 하면 소심함이나 광기의 극단적인 양면으로 그려져야 한다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 그 사람들에게도 나름의 욕망과 인간적인 결함이 있을 것이다. 그런 걸 끄집어내기 어렵다는 것은 아무래도 선한 의지의 강박 때문이 아니었을까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들 영화에서 형사한테 잡혀가는 장면이 등장하는 것도 마찬가지 맥락으로 읽힌다. <처음 만난 사람들>에서의 팅윤이나 <반두비>에서의 카림은 모두 자기들이 일한 회사에서 월급을 받지 못한다. 둘 다 강인하게 사장에게 월급을 받기 위해 나름의 투쟁을 한다. 그러나 돈은 받지 못한다. 여기서 더 나아갈 수는 없었을까. 물론 조금 더 나아간다. 그렇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인물의 스테레오타입화라는 한계에서는 벗어나지 못하는 것 같다.

물론 이 영화들에서 기억나는 순간들이 있다. <반두비>에서는 그걸 먹는 것에 대한 감각으로 푼다. 좋은 영화가 곧잘 그렇듯이 이 영화도 보고 나면 영화 속 요리를 먹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등장인물이 먹고 있는 것을 우리가 먹고 싶어 한다는 것은 우리가 아주 조금 그들에게 다가갔다는 뜻이다. <반두비>의 엔딩도 그런 정서를 남기며 끝난다. <처음 만난 사람들>에서 개인적으로 느낀 강세는 두 남자주인공이 아니라 택시를 모는 여성 탈북자 혜정이었다. 꾹꾹 감정을 묻고 오랜 시간을 보냈을 그 여자의 마음으로 조금 들어간 느낌을 받는다. 자신도 일상적인 소외경험에서 자유롭지 않으면서 자신과 다르지 않은 사람들을 보게 될 때의 그 절실한 고독의 외연이 그 인물에 배어 있었다. 다른 두 남자의 여정에서 풍경은 완벽하게 인물과 유리되지만 이 택시기사가 택시를 몰며 혹은 택시를 세우고 보는 풍경은 인물의 심상과 일치한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겠지만 다른 인종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이들 영화에서 등장인물들에게 조금 더 들어가도 좋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빚을 갚아야 할 대상으로서 그들을 여기는 조심성이 오히려 그들을 더 타자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지식인의 책무와 예술가의 분방함이 충돌하는 지점이 생긴다. 영화 속 등장인물의 복합적인 매력은 그것들이 충돌하지 않는 지점에서 발생할 것이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