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리다. 강제규 감독이 오다기리 조를 선택한 이유 말이다. 우리가 아는 오다기리 조는 대규모 상업영화를 요리조리 피해가며 독립영화 계열의 작가들에게 아름다운 육체와 곡예 같은 연기를 제공하는 남자다. 강제규는 “장동건과 함께 서 있는 모습이 머릿속에 그려졌기 때문”이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완벽한 해답은 아니다. 그보다 더한 미스터리가 있다. 오다기리 조가 <마이웨이>를 선택한 이유 말이다. 우리가 알던 오다기리라면 당연히 이 역할은 거절했어야 옳다.
사실 오다기리는 강제규의 제안을 거절했었다. 그는 대본을 읽자마자 “내 타입의 영화가 아니니 찍지 말아야겠다”고 결심했다고 말한다. “일본에서도 대작을 거의 안 했다. 대작은 돈이 든다. 대히트를 쳐야만 환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남녀노소를 모두 끌어와야 한다. 그러다 보면 추구하는 바도, 예술성도 희박해질 수밖에 없다.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는 영화. 그건 TV다. 영화가 아니다.” 오다기리 조는 시나리오에서 무려 10군데가 넘는 부분을 까탈스럽게 고쳐달라고 주문했다. 그건 오다기리 조 특유의 정중한 거절법이었다. 강제규도 만만한 남자는 아니었다. 그는 오다기리가 요구한 부분을 모조리 고친 시나리오를 한달 뒤에 보냈다. “이런 분이라면 아무리 상업적인 영화라도 내 의견을 존중해가면서 찍겠구나 싶었다. 그런 신뢰가 <마이웨이>를 선택하게 했다.” 물론 거기에는 한 가지 이유가 더 있다. “한국에서의 제의라는 점에서도 끌렸다. 한국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나라다. 촬영하는 9개월간 머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기뻤다. (웃음)”
오다기리 조가 맡은 역할은 김준식(장동건)과 경쟁하는 마라토너이자, 그를 철저하게 짓밟는 일본군 장교이자, 결국 역사의 구렁텅이에서 운명적인 우정을 나누는 남자, 타츠오다. 그런데 <마이웨이>는 그를 단순히 김준식 옆에 서 있는 조연으로 떨어뜨리는 일이 없다. 아니, 오히려 타츠오는 <마이웨이>의 실질적인 화자에 가깝다. 그는 영화의 시작과 끝을 맺는 동시에 영화에서 가장 거대한 신념의 변화를 겪는 캐릭터다. 오다기리 조는 “한국 관객은 영화를 볼 때 김준식에게 이입할 것”이라며 겸손하게 물러난다. “결국 타츠오는 김준식을 등에 업고 가는 캐릭터다. 오히려 타츠오의 감정 변화에 일본 관객이 충분히 동의를 하고 따라갈지는 좀 걱정이 된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미묘한 부분들을 다루는) 그런 작업은 감독님의 일이지 내 일이 아니다. 감독님은 한국인의 시각으로 본 일본 병사를 그릴 수밖에 없다. 나는 배우이기 때문에 그 일본 병사를 어떻게 하면 좀더 잔혹하고 냉정하게 보이도록 연기할지에만 신경을 썼다.”
오다기리 조는 <마이웨이>가 배우로서의 길을 바꾸어놓았다고 털어놓는다. 김기덕과 <비몽>을 찍던 시절의 오다기리와 <마이웨이>를 완성한 오다기리는 어쩌면 조금 다른 배우가 됐을지도 모른다. “김기덕 같은 감독이 내 가치관에 맞는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재능있는 사람하고만 작업하고 싶었고, 나에게 재능이란 건 무조건적으로 예술적인 재능이었다. 그런데 <마이웨이>를 찍으면서 재능에 대한 가치가 바뀌었다. 수많은 사람들을 통솔하고, 많은 의견을 조율해서 반영하고, 수천 컷을 계산해서 찍어내고, 그 모든 걸 가능하게 만드는 것도 엄청난 재능이었다. <마이웨이>를 통해 영화에 대한 시선이 많이 바뀌었다.” 변화의 지점에 서 있는 배우 오다기리 조는 이제 서른다섯이 됐다. 결혼을 했고(부인은 여배우 가시이 유우다),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됐다. 그리고 생애 첫 번째 블록버스터를 찍었다. 어제의 오다기리 조는 오늘의 오다기리 조가 아니다. 내일은 더더욱 다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