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인 클래식]
[이용철의 아주 사적인 클래식] 프롤레타리아 블루스
2012-06-22
글 : 이용철 (영화평론가)
<아리엘>(Ariel) 아키 카우리스마키, 1988년
<아리엘>

새 전셋집을 구해야 했다. 전세가가 너무 올라 대출을 받는 일이 벌어졌다. 가진 게 적을수록 은행에 가면 설움이 깊어진다. 몇 군데 은행을 들러 어렵사리 돈을 구한 날, 하필 <돈의 맛>의 시사에 갔다. 돈다발의 탑이 어지러움을 유발한 첫 장면에서 나도 모르게 눈물이 흘렀다. 감상적이고 싶진 않았다. 그냥 울분이 치밀었던 것 같다. 그 돈다발 중 단 몇개만 필요한 내게, 거기 누군가는 비웃음을 날리고 있었다. 요즘 몇몇 영화제에서 관객과 만나는 중인 김곡, 김선의 <코미디: 다 웃자고 하는 얘기>에는 <돈의 맛>과 정반대의 인물이 등장한다. 그에겐 없는 것투성이다. 일하고 싶은데 한물간 개그맨이 돈 벌 곳은 없고, 니코틴을 흡입하고 싶은데 담배가 없고, 아이를 보육원에 보내야 하는데 돈이 없고, 아이를 달래야 하는데 아내가 없다. 2012년 6월. 한국에는 너무 많이 가진 자와 너무 없는 자가 산다. 이상한 사실은 다수인 후자가 목소리를 죽인 채 산다는 것. <돈의 맛>을 본다 해서 가진 자가 돈다발을 내놓을 리 없고, <코미디: 다 웃자고 하는 얘기>를 본다 해서 없는 자가 봉기할 시대도 아닌 거다. 문제는 모두가 가지기를 열망한다는 데 있다. 가진 자는 당당하고 없는 자는 가진 자를 흠모한다. 이런 상황을 정면으로 질타할 때 깨우침은 멀어 보인다. 결국 나는 두 영화의 주제가 부질없다는, 부질없는 생각을 했다.

<아리엘>

장 르누아르는 영화를 통해 ‘현실이 언제나 마법이다’라고 가르쳐주었다. 오해하지 말기를. 르누아르는 현실에서 꿈만 같은 일이 생기고 현실이 낭만적인 일들로 가득할 것이라고 말한 게 아니다. 시간에 질질 끌려 다니면서 반복되는 일상을 견디며 산다고 믿는 사람들에게, 현실을 다른 눈으로 바라볼 때 더 흥미진진하다고 알려준 것이다. 르누아르가 없는 지금, 내가 현실을 제대로 살게끔 돕는 친구는 홍상수와 아키 카우리스마키다. <다른나라에서>의 도입부에는 보증을 잘못 서는 바람에 시골로 도피한 모녀가 나온다. 딸이 쓰는 소설은 현실이 곧 마법임을 밝힌다. 어디로 갈지 결정하고 누구와 갈지 마음먹는 순간마다 예상하지 못한 소소한 놀라움들이 마법을 빚는다. 홍상수의 마법에 비해 카우리스마키가 추구하는 그것은 조금 더 가난한 곳에서, 조금 더 씁쓸하게, 조금 더 전복적으로 일어난다. 그의 1988년 작품 <아리엘>은 이후 비슷하게 변주되는 프롤레타리아 블루스의 원형이다. 비정한 세상과의 대결에서 순진한 무정부주의자는 언제나 이긴다. 그게 카우리스마키 영화다. 남자는 빼앗기고 얻어맞고 누명을 쓰고 투옥당하는 고통을 겪지만 끝내 아리따운 모자와 함께 꿈꾸던 곳으로 떠난다. 그들이 타고 갈 배는 ‘아리엘’이라는 요정의 이름을 지녔다. 예전에는 카우리스마키 영화의 결말부를 작은 기적이라고 생각했더랬다. 하지만 그것은 없는 자의 삶이 응당 누려야 할 마법의 조각이라고 보는 게 옳다. 더불어 카우리스마키는 마법이 그냥 주어지진 않는다고 말한다. 그 마법은 착하고 바르게 사는 사람을 더욱 반갑게 맞이한다. 그래서인지 홍상수의 근작들에서도 ‘감사’와 ‘바르게’란 단어가 자꾸 나온다. 네 번째 전셋집에서 쓰는 첫 글에서 나는 다짐해본다. 착하고, 바르게.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