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장이독자에게]
[주성철 편집장] 결국 영화를 지킨다는 것
2017-08-18
글 : 주성철

한편의 영화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수많은 일들, 결과적으로 영화는 돈이 너무 많이 들어가는 예술이라는 데서 발생하는 것 같다. 촬영에 들어가면 최소 3, 4개월 이상, 후반작업까지 감안하면 거의 1년 가까이 절대적 작업 기간 또한 필요로 한다. 문학이나 음악처럼 순간의 영감으로 하룻밤에 완성하는 일은 일어날 수 없고, 혼자 고독과 싸워가며 만들어내는 개인적인 작업도 아니다. 배우의 스케줄을 조정해야 하고, 이런저런 장비를 대여해야 하며, 교통과 날씨 등 고려해야 할 변수도 너무 많다. 또한 그것은 ‘촬영현장’을 통해 스탭 모두에게 오픈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노트북이나 작업실을 공개하지 않으면 전혀 노출되지 않는 여타 예술의 작업과정과 달리 영화는 그 제작과정을 감독 외의 많은 이들이 아낌없이 공유한다. 그러니 영화가 완성되기도 전에 스탭들이 그 제작과정의 기록을 무턱대고 SNS에 올려버리기도 한다. 스탭의 별것 아닌 SNS 불평도 ‘모 영화현장의 불합리한 처우’로 둔갑해버리는 세상이다.

수개월의 촬영기간 동안, 혹은 촬영이 끝난 다음 홍보 기간에도 한편의 영화는 살얼음판을 걷게 된다. 그러니까 감독에게 요구되는 가장 절실한 덕목은 예술적 비전의 추구와 버금가게 불확실성과의 싸움, 그리고 예측하지 못한 위기에 대처하는 태도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번 <군함도>를 둘러싸고 벌어진 일들을 보고 있으면, 그것이 순전히 개인적인 태도의 문제가 아님을 새삼 깨닫게 된다. 나 또한 이번 일을 겪으면서 박찬욱 감독의 얘기처럼(이번호 기획, ‘지금, <군함도> 논란을 다시 돌아봐야 하는 이유’ 참조), 영화를 보고 난 다음 자유롭게 영화에 대한 얘기를 주고받기도 전에, 어떤 ‘선동’의 조짐이 있었다고 느꼈다. 이번호 <택시운전사> 영화비평에서 김영진 평론가가 지적한 것처럼, 어떤 영화의 역사적 허구는 동조되는 반면, 왜 또 다른 영화의 역사적 허구는 동조되지 않는 것일까. 그렇게 “영화를 보려고 했던 사람까지 보지 못하게 하고, 보지 않고도 욕하게 만들면서” 한 영화를 몰락시킨 것이다. 같은 기사에 함께 첨부된 한국영화감독조합의 불공정 상영 반대 성명서의 내용도 더해, 문제의 핵심은 몰상식한 여론몰이와 불합리한 한국 영화산업 구조에 있음을 역시 새삼 깨닫게 된다.

몇년 전, 천만 관객을 돌파한 <광해, 왕이 된 남자>(2012)의 최초 감독으로 내정된 이는 바로 강우석이었다. 하지만 이견 조율에 실패했고, 당시 언론들은 ‘강우석, CJ에게 졌다’라는 단정적인 제목의 기사까지 내보냈다. 사실 크랭크인 전에 감독이 교체되는 일이야 흔하고 흔하지만 한때 시네마서비스의 수장으로서 <씨네21>의 ‘한국영화 파워맨’ 순위에서 거의 독보적인 1위를 차지했던 그였기에, 그것은 마치 ‘인스턴트 감독’ 시대의 ‘개인’과 ‘회사’의 대결에서 개인의 패배라는 상징적 사건처럼 여겨졌다. 더 큰 문제는 이번 일도 그렇고 그 패배의 기억이 창작자의 의욕을 갉아먹는 일일 것이다. 지난해 겨울, <Z>(1969)와 <의문의 실종>(1982) 등 대표작들이 복원되며 여러 인터뷰를 가졌던, ‘감독의 고뇌와 고초’라는 점에서 세상 그 누구보다 험한 길을 걸었던 거장 코스타 가브라스는 “이런저런 어려움을 겪으며 어떤 식으로든 창작자의 재능과 의지가 꺾이는 순간이 찾아오겠지만, 그럴 때 가장 위험한 것은 자기검열”이라고 했다. 하나의 사건이 어떻게든 창작자에게 생채기를 내겠지만, 결국 자신의 길을 벗어나지 않고 가는 게 중요하다는 얘기일 것이다. 영화로 저항한다는 것, 영화를 지킨다는 것, 결국 다 같은 말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