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다큐멘터리의 정신④] 아비 모그라비 - 거기 있는 내가 진짜가 아닐 수도 있다
2018-10-04
사진 : 최성열
글 : 김소희 (영화평론가)

DMZ국제다큐영화제 기간에 열린 그룹 인터뷰 자리에서 아비 모그라비 감독을 만났다. 그가 만든 영화 속에서 분화되고 재기발랄한 모습으로 등장하곤 했던 감독이 약간은 긴장한 채 앉아 있다는 사실이 조금은 비현실적으로 느껴졌다.

-방 안에서 카메라에 대고 끝없는 잡담을 늘어놓는 형식은 어떻게 고안하게 되었나.

=독백 스타일이 많긴 하지만, 내 모든 영화가 그렇진 않다. <Z32>는 노래를 하기도 한다. <어거스트>(2002)에서 나는 같은 프레임 내에서 몇개의 캐릭터를 연기한다. 이것이 어디에서 왔는지는 모르겠다. 알다시피 다큐멘터리는 진실과 리얼리티를 다룬다. 카메라를 쳐다보고 말하는 것은 일종의 고백이다. 그러나 그 고백은 거짓말일 수도 있다. 나는 가장 헐값에 이용 가능한 몸이자, 목소리이자, 얼굴이다. 내 몸과 목소리와 얼굴은 캐릭터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전할 수 있는 수단이다. 그러므로 영화 속에서 내가 거기 있지만, 진짜 내가 아닐 수도 있다.

-주로 모순적인 인물을 카메라에 담는다.

=내 영화는 인물에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전쟁으로 인한 상황에 더 초점을 맞춘다. 이번에 상영하는 두 작품을 예로 들면 두 작품은 마치 형제, 자매 같은 세트의 영화다. 그 이유는 단지 두 영화에서 내가 각각의 방식으로 노래를 부르기 때문만은 아니다. 말하자면 두 영화는 악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라는 질문의 영화다. <어찌하여>에서 나는 거대한 전쟁 범죄자인 아리엘 샤론과 사랑에 빠지는 역할을 한다. <Z32>에서는 그에 비하면 작은 범죄를 저지른 인물이 등장한다. 끔찍한 범죄를 저지른 인물이 가족과 공동체에 다시 돌아왔을 때, 그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에 관한 영화다.

-<Z32>의 증언자를 만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증언자의 셀프카메라 장면은 가이드가 있었나.

=퇴역 군인의 증언을 모으는 ‘브레이킹더사일런스’(침묵깨기) 조직에 소속되어 육성 증언을 많이 들어왔다. 위협을 느낀 이스라엘 정부는 우리 세력을 축소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상태다. 그들이 성공적으로 숨기려는 것을 우리가 드러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 활동을 통해 <Z32>의 주인공을 만났다. 원래는 증언자가 나의 공간을 방문해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촬영했지만 증언자가 이를 불편해하자 카메라를 주고 직접 찍어보라고 한 거다. 그가 자신의 여자친구를 캐스팅해서 촬영을 했기에 그는 어쩌면 공동 연출자인 셈이다.

-앞으로 어떤 실험을 할 예정인가.

=나는 항상 실패의 순간에서 아이디어를 얻는다. 풀어야 할 문제가 생겼다거나, 물에 빠질 것 같은 순간에서 빠져나올 때 아이디어를 얻곤 한다. 보는 분들이 이것을 실험적이라 여기는 것 같다. <Z32>에서 디지털 마스크는 오리지널 스크립트에는 없었다. ‘카메라에 대고 이야기한다’가 스크립트의 전부였다. 그런데 군인이 정체를 드러내기를 꺼렸기에 모자이크가 필요했다. 카메라에 표정을 담을 수 없다면 이 작품은 무의미했기에 실패의 위기를 겪게 되었다. 아이덴티티를 숨기는 동시에 표정을 드러내는 것으로서 디지털 마스크 아이디어는, 그러한 곤경에서 나왔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