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장재현 감독의 장편영화 데뷔작 <검은 사제들>(2015)을 흥미롭게 본 나는 차기작 <사바하>를 보면서 적잖이 실망했다. 전작이 영화의 결말까지 긴장감을 유지했던 데 비해 <사바하>는 반전이 힘을 발휘하지 못한 아쉬움이 컸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바하>는 왜 <검은 사제들>에 비해 영화가 가진 다층적인 스토리 구조와 긴장감을 끌어낼 수 있는 여러 요소가 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 긴장감을 영화의 결말까지 끌어가지 못한 것일까? 또한 감독은 영화에서 기독교와 불교의 세계관을 관객이 이해하기 쉽도록 친절하게 설명해줬음에도 불구하고 감독이 전제한 흥미로운 설정인 김제석(유지태)과 ‘그것’(이재인)이 서로 연결되어있다는 불교의 ‘연기설’(이것이 존재하면 저것이 존재하고, 이것이 멸하면 저것이 멸한다)이 빛을 발하지 못한 것일까?
먼저 영화 <사바하>에는 의문의 등장인물이 두명(김제석과 ‘그것’) 있다. 김제석은 박 목사(이정재)를 통해 정체가 조금씩 드러나지만, 그것의 존재는 영화 초반 불길하고 악의 기운을 가진 존재로 보여준다. 이 영화에서 가장 공감되지 않는 장면은 영화 후반 나한(박정민)이 그것의 실체와 대면하는 장면이다. 나한은 그것을 죽이기 위해 그것이 갇혀 있는 창고 문을 부수고 들어간다. 이때 그것은 가부좌하고 앉아서 그를 기다리고 있다. 그것의 말(“왜 이제야 온 것이냐? 너를 기다리고 있었다”)이 이 사실을 입증한다. 이 장면은 너무 뜬금없어서 당황스럽다. 이 장면이 반전인가? 더 가보자. 나한이 창고를 발견하고 안을 들여다본 장면을 떠올려보자. 나한은 그것과 눈이 마주쳤다. 이때 우리도 처음으로 그것의 눈을 보게 된다. 그것은 영화 중반까지 울음소리로 존재를 알렸을 뿐이다. 나한이 그것의 존재를 묻자 “네가 피 흘릴 때 울고 있는 자”라고 답하는 것에서 알 수 있다. 하지만 나한이 그것의 존재를 믿지 못하자, 그것은 육손을 보여주며 나한을 설득하고 그는 그것을 죽이려는 행위를 포기하고 돌아간다. 그렇다면 그것은 이곳에 갇혀 있으면서도 나한의 모든 행동을 꿰뚫어보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어떻게 그것이 가능했을까? 감독은 이 장면 이전에 우리를 더 이해시켰어야 했다. 물론 감독은 그것의 존재를 몇몇 장면에서 보여줬다. 그런데 왜 우리는 이 장면에서 아무런 감흥도 느끼지 못한 것일까? 이는 감독이 영화 도입부에서 금화(이재인)의 내레이션(“그것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다. 그것이 태어나고 모든 사건이 시작되었다”)과 이미지(그것의 형체, 어머니의 죽음, 아버지의 자살, 소들의 죽음, 뱀)를 통해 그것의 존재를 지나치게 불길한 것(악한 존재)으로 보여주었기 때문이 아닐까. 더군다나 그것은 어머니의 배 속에서 쌍둥이 여동생 금화의 다리를 갉아먹은 짐승으로 태어났다. 하지만 영화 중반 이후 감독은 나한이 동생 금화를 죽이러 찾아왔을 때, 처음으로 창고의 문틈으로 경문을 읊는 그것의 존재(검은 머리가 흘러내려 얼굴은 보이지 않는다)를 여러 번 짧게 교차해서 보여줬다. 또한 그것은 새떼를 보내 나한을 집 밖으로 쫓아내고 금화를 구해줬다. 하지만 이것이 다였다. 감독이 그것을 반전 효과로 설정했기 때문에 영화 중반까지 철저하게 불길한 존재로 보여주어야 했던 것은 아닐까. 만약 그것의 존재를 박 목사가 발견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그것이 진짜(신/부처)임을 박 목사가 알았더라면 그리고 우리도 그 사실을 좀더 일찍 알았다면 그것을 죽이러 온 나한의 등장에 더 긴장감이 생기지 않았을까.
다음으로 김제석의 실체가 드러나는 장면을 보자. 영화 중반 나한이 김제석을 만나러 녹야원을 찾아갔을 때 유지태가 처음 등장한다. 영화가 개봉할 때까지 유지태의 배역은 비밀이었다. 미스터리영화이기 때문에 유지태가 김제석이란 사실이 사전에 알려지면 영화를 보는 관객의 흥미가 반감될 수 있을 것이다. 유지태가 병상에 누운 김제석(우리는 정동환을 김제석으로 알고 있다)의 얼굴에서 산소마스크를 떼자, 정동환이 유지태에게 “스승님”이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는 바로 유지태의 정체를 의심하게 된다. 유지태가 김제석이라고 본격적으로 드러나는 장면을 보자. 나한은 그것을 만나고 스승님(정동환)의 정체를 확인하기 위해 다시 녹야원을 방문하고 그의 손이 육손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한다. 이때 유지태는 나한을 코끼리가 있는 창고로 데려간다. 그는 나한이 자신의 정체를 의심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코끼리의 눈이 어떻게 보이냐고 묻는다. 나한이 “그냥 추워 보여”라고 말하자 유지태는 “나는 두려워 보이는데”라면서 코끼리와 나한을 엽총으로 쏜다. 이 장면에서 감독은 유지태의 검은 장갑 낀 손을 보여준다. 그때부터 우리의 관심은 유지태의 손에 쏠릴 것이다. 그렇다고 이후 장면에서 긴장감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나한이 유지태를 만나러 오기 전에 우리는 이미 김제석이 티베트 승려의 예언을 믿고 ‘사슴동산’이란 법당을 차리고 사천왕을 시켜 99년생 여자아이들을 살인하게 했다는 사실을 경찰서 게시판에 붙은 실종된 아이를 찾는 내용의 수많은 전단지를 보며 직접 눈으로 확인했기 때문이다. 만약 이 장면이 영화의 엔딩 장면으로 사용됐다면 어땠을까? 안타깝게도 감독은 너무 일찍 사건의 전모를 알려주고 말았다.
마지막으로 영화의 클라이맥스인 유지태와 나한의 차 안 대결 장면을 보자. 긴장감이 고조되어야 할 이 장면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나한과 유지태의 대화를 통해 다시 확인하는 차원에 그치고 만다. 감독은 나한이 유지태가 맨 안전벨트를 당겨서 목을 조르는 장면과 창고에서 죽어가며 경문(하늘과 땅이 바뀐다)을 읊는 그것의 모습을 빠르게 교차해서 보여준다. 그것의 말대로 유지태의 차는 뒤집히고 차 안에 갇힌 유지태의 육손이 보인다. 그리고 창고에 쓰러져 있는 그것의 육손도 보인다. 감독은 반복적으로 유지태의 육손과 그것의 육손을 번갈아 보여준다. 나한은 그것이 준 라이터로 땅에 쏟아진 기름에 불을 붙인다. 이후에 굳이 죽은 유지태의 육손과 그것의 육손을 다시 보여줄 필요가 있었을까.
이처럼 감독은 우리가 보고 들은 것을 영화에서 반복해서 설명하고 보여준다. 이는 복잡한 불교의 세계관(절대 악이 존재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선과 악은 변한다)을 알려주려는 감독의 의도일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세계관의 변화를 보여주기 위해 영화의 초반 선을 대변하는 김제석과 악으로 보이는 그것이 후반으로 가면서 자리를 이동해 선은 악으로 악은 선으로 바뀌고, 김제석과 그것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육손’을 통해 보여주려는 감독의 시도는 높이 살 만하다. 하지만 영화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긴장감을 극대화한 영화는 박 목사의 등장(그의 진지하지 못한 캐릭터와 유머)으로 긴장감이 반감된 이후, 영화가 전개될수록 초반의 긴장감을 되찾지 못하고 기독교와 불교의 방대한 교리 설명(반복적인 이미지와 대화)에 치중한 나머지 이것이 오히려 영화의 흐름에 걸림돌로 작용한 점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