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장이독자에게]
[주성철 편집장] <기생충>의 황금종려상 수상을 축하하며
2019-05-31
글 : 주성철

“참으로 시의적절하다.” 예고편에도 등장하는 <기생충> 속 아버지 기택(송강호)의 대사는 영화 그 자체에도 적용된다. 마치 한국영화 100주년을 기념하듯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올해 72회 칸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것 역시 참으로 시의적절하다. 이번호 칸국제영화제 결산 기사 중 <기생충> 칸 현지 기자회견에서도 봉준호 감독이 “마침 올해가 한국영화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다. 칸국제영화제가 한국영화계에 의미가 큰 선물을 준 것이 아닌가 싶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괴물>로 59회 감독주간에 초청된 이후, 미셸 공드리, 레오스 카락스 감독과 함께한 옴니버스영화 <도쿄!>가 61회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마더>가 62회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넷플릭스 영화 <옥자>가 70회 경쟁부문에 진출한 뒤, 네 번째 칸 방문에 최고 영예인 황금종려상을 거머쥔 봉준호 감독에게 진심으로 축하 인사를 건넨다. 그리고 이번호 표지가 바로 봉준호 감독의 수상 사진이다. 최대한 잘 나온 사진으로 고심해서 골랐다.

시상식 무대에 올라 자신을 “12살에 영화감독이 되기로 마음먹었던 소심하고 어리숙한 영화광”이라고 소개한 수상소감 중 일부가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개인적으로는 그와 한국영화감독조합에서 만들고 출판사 푸른숲이 펴낸, 여러 한국 감독들의 데뷔작 이야기를 담아낸 <데뷔의 순간>을 작업하며 인터뷰할 때 “중학교 3학년 때 영화감독이 되기로 결심했다”는 얘기를 들은 적 있다. 사실 그는 어느 인터뷰에서나 그렇게 ‘중3’이라고 얘기해왔는데, 그럴 때마다 그는 “물어보는 사람들이 하도 많으니까 대답용으로 만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는 이번 수상소감을 통해 사실 그보다 더 오래전부터 감독의 꿈을 꾸어왔음을 고백했다. 사실 그처럼 어린 나이에, 그리고 다른 꿈으로 눈 돌리지 않고 ‘영화감독’이 되려 한 사람은 보지 못한 것 같다. 왜냐하면 어렸을 적 영화를 좋아해서 배우나 연기자는 알아도 구체적으로 ‘영화감독’이나 ‘연출자’라는 존재를 떠올리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이다.

기자회견에서는 “항상 커피숍 구석 테이블에 앉아 시나리오를 쓴다”는 얘기도 화제가 됐다. 그와 관련된 내용은 정하림·이지연·박건식 감독의 <봉준호를 찾아서>(2015)라는 단편영화에 실려 있기도 하다. 어쩌다보니 그 작품에도 출연 아닌 출연을 하게 됐는데, 봉준호 감독을 만나기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 <씨네21> 사무실로 찾아왔던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그들에게, 무심코 앞서 얘기한 책 인터뷰를 ‘감독님의 집 근처인 모 지하철역 모 커피체인점에서 한 적 있다’고 얘기했고, 그들은 실제로 하염없이 그 커피체인점에서 죽치고 있다가 실제 봉준호 감독을 마주한 것이다. 지난해 <버닝>에 이어 칸국제영화제 경쟁부문 2회 진출에 빛나는 홍경표 촬영감독도 출연한 그 단편은 제작 과정 자체가 놀랍기도 하고 꽤나 뭉클한데, 이후 정하림 감독은 영화과에 진학해 열심히 공부 중이며 몇해 전 <씨네21>의 #영화계_내_성폭력 대담에 나와주기도 했다.

봉준호 감독에게 슬쩍 얹어가는 하나 마나 한 얘기를 한참이나 썼는데, 물론 영화도 좋았다. 역시 기자회견에서 그가 얘기한 것처럼, 김기영 감독의 향기가 은근히 배어 있어 감격적이기까지 했다. 이번호 영화제 기사에 이어 다음호와 그다음 호까지 <기생충> 기사가 예약돼 있다. 기대해주시라!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