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고 유영길 촬영감독, 5·18 최초 보도한 기자로 밝혀져...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오월광주상 수상
2021-10-28
글 : 김성훈
사진 : 오계옥
<꽃잎> 장선우 감독 대리 수상... 정지영, 박광수, 이명세, 이창동, 허진호 감독, 배우 문성근 등 동료 영화인들이 고인의 공적을 소회하다

“첫 수상자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최초로 보도한 고 유영길 촬영감독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문재인 대통령) <개그맨>(1989) <남부군>(1990)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1995) <꽃잎>(1996) <초록물고기>(1997) <8월의 크리스마스>(1998) 등을 촬영하며 1980, 90년대 불었던 ‘코리안 뉴웨이브’의 중심에 있던 고 유영길 촬영감독이 1980년 5월 광주를 세상에 처음 알린 기자라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1회 힌츠페터 국제보도상(주최 5·18기념재단, 한국영상기자협회)은 ‘5·18 광주민주항쟁’을 보도한 고 유영길 기자를 오월광주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미국 <CBS> 서울지부 영상기자 시절, 유영길 촬영감독은 1980년 5월19일 광주 금남로에서 계엄군이 무고한 시민들에게 무자비하게 폭력을 휘두르고, 계엄군의 곤봉에 맞은 시민들이 피를 흘리며 쓰러지고, 장갑차와 전투기를 앞세워 위협했던 현장을 유일하게 카메라에 담았다. 그가 묵묵이 기록한 광주의 참상은 1980년 5월19일 미국 <CBS>에서 처음으로 공개되면서 세상에 알려졌고, 이후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작업에도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10월27일 서울시 목동 방송회관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영화 <꽃잎>에 출연했던 배우 이정현의 사회로 열린 시상식에서 유영길 촬영감독의 아내인 김명자 여사와 <꽃잎>을 연출한 장선우 감독이 고인을 대신해 상을 받았다. 김명자 여사는 “장기근속 휴가를 얻어 일본에 쉬러 갔던 남편이 어느 날 전화가 왔는데, ‘나 광주요, 여기 위험하고 무섭습니다’라고 얘기하셨어요. 얼마나 무서웠으면 전화까지 했을까 눈물이 났는데 오늘 남편이 찍은 영상을 보니 어떻게 광주까지 갔을까 싶었다”며 “내가 살아있을 때 남편의 보도를 조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장선우 감독은 “한국영화 뉴웨이브의 아버지, 영화인 모두가 빚졌던 유영길 촬영감독이 오늘 기자로서 진정한 역사가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며 “<꽃잎>을 찍을 때 유영길 감독은 유독 표정이 어두웠고, 말씀이 많지 않았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저렇게 큰 보도를 했음에도 큰 자책감과 트라우마 속에서 살았을 것 같다. 특히 계엄군이 시민을 향해 발포하는 장면을 촬영할 때 유 감독님께서 유독 얼굴이 어두웠던 기억이 난다. 뒤늦게나마 최초 보도자로 인정해주셔서 유영길 촬영감독님께서 비로소 자유로워졌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고 유영길 촬영감독은 1980년대 말 혜성처럼 등장했던 ‘코리안 뉴웨이브’(Korean New Wave)의 든든한 지원자이자 그 중심에 섰던 촬영감독이다. 정지영(<추억의 빛>(1984) <남부군> <하얀전쟁>(1992)), 박광수(<칠수와 만수>(1988) <그들도 우리처럼>(1990) <그 섬에 가고 싶다>(1993)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이명세(<개그맨> <나의 사랑 나의 신부>(1990) <첫사랑>(1993) <남자는 괴로워>(1994)), 장선우(<성공시대>(1988) <우묵배미의 사랑>(1990) <경마장 가는 길>(1991) <화엄경>(1993) <너에게 나를 보낸다>(1994) <꽃잎>(1996)), 이창동(<초록 물고기>(1997))등 새로운 형식과 스타일을 도전하는 걸 두려워하지 않던 젊은 감독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고, 감독의 머릿속에 있던 그림을 스크린에 펼쳐냈었다. 유영길 촬영감독은 허진호 감독의 데뷔작인 <8월의 크리스마스>(1998)를 촬영하고, 개봉을 보지 못한 채 1998년 1월16일 세상을 떠났다.

남부군 스틸

이날 시상식에는 시상자인 장선우 감독을 비롯해 정지영, 박광수, 이명세, 허진호 감독, 유영길 촬영감독과 <그 섬에 가고 싶다> <그들도 우리처럼> <101번째 프로포즈> <너에게 나를 보낸다>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꽃잎> <초록물고기> 등을 작업했던 배우 문성근, 유영길 촬영감독의 조수였던 김형구 촬영감독, 제자였던 김영래, 김병서 촬영감독 등 많은 동료들이 참석해 그의 보도를 기렸다. 생전 그와 함께 작업했던 동료 영화인들은 “유영길 촬영감독이 기자 시절 광주에 갔었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그 영상들을 최초로 찍은 줄 몰랐다”는 반응이다. 정지영 감독은 “유영길 촬영감독이 미국 <CBS> 기자였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남부군>을 촬영할 때 그가 지나가는 말로 80년 5월 광주 현장에 있었다는 말을 한 적 있지만 무엇을 찍었는지 세세하게 말씀하신 적은 없다. 그 영상들을 찍은 사람이라는 사실은 오늘 처음 알았다”며 “<남부군>은 1년 동안 촬영했는데 당시 충무로의 모든 영화인들이 <남부군>이 도중에 엎어질 거라고 장담했었지만, 유영길 촬영감독이 모든 배우, 스탭을 독려한 덕분에 다행스럽게도 무사히 촬영을 마칠 수 있었다. 현장에서 그 분은 대단했다”고 떠올렸다.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스틸

박광수 감독은 “그는 늘 새로운 시도를 꺼리지 않았다. 이야기와 인물에 적합한 구도와 앵글을 찾기 위해 항상 고민했고, 쉽게 만족하지 않으셨다”고 전했다. 배우 문성근은 “광주 영상을 수없이 봤었지만 유영길 촬영감독이 찍은 줄 몰랐다. 과거 그가 군인과 시민 사이에 들어가 촬영하다가 돌에 맞은 적이 있었다는 얘기를 해준 기억은 나는데 광주에서 무엇을 했는지 세세하게 얘기해준 적은 없었다”고 말하자 이명세 감독은 “광주에서 무엇을 보았는지 세세하게 다 얘기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 참혹한 현장을 보면서 트라우마가 생겼을 것”이라고 말했다.

초록물고기 스틸

“좋은 구도는 없다. 하지만 나쁜 구도는 있다. 작위적인 것은 나쁜 구도다.” 생전에 했던 말처럼 그는 언제나 새로운 도전과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았고, 젊은 감독들의 대담한 시도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은 촬영감독이었다. 유영길 촬영감독이 찍은 <그 섬에 가고 싶다>(1993, 감독 박광수)의 연출부로 참여했고, 데뷔작 <초록 물고기>로 유영길 촬영감독과 함께 작업했던 이창동 감독은 “첫 영화 <초록 물고기>를 작업할 때 이야기와 인물의 감정을 화면에 어떻게 담아야 할지 유영길 촬영감독과 함께 고민하고 솔직한 대화를 많이 나눴던 기억이 난다. 장르영화지만 장르의 익숙한 구도로 담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나도 내 얘기를 그에게 많이 했고, 그도 기자로서 영화 바깥의 시선으로 <초록 물고기>를 들여다보며 자신의 고민을 많이 들려주었다. 서로 영향을 많이 주고 받았다”고 전했다. 이창동 감독은 “그가 <8월의 크리스마스> 후반작업 때 세상을 떠났는데 그때 상실감이 컸다. 영화 <박하사탕> 또한 80년 5월 광주에 관한 이야기인데 그와 함께 <박하사탕> 얘기를 나누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다.

꽃잎 스틸

허진호 감독은 “유 감독님께서 찍은 광주 영상을 보니 디테일이 살아있고, 매우 생생해서 강렬했다. 다큐멘터리 같은 현장성이 강한 영상을 촬영한 경험이 이후 영화를 촬영하는데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형구 촬영감독은 “유영길 촬영감독의 조수로서 박광수(<칠수와 만수>), 장선우(<성공시대>), 이명세(<개그맨>) 세 감독의 데뷔작을 작업했었다. 유 감독님께서 기자 생활을 하셨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80년 5월 광주에 가신 건 전혀 몰랐고, 저 뉴스 영상들을 직접 찍었을 줄은…그때 광주에 기자들이 아무도 없었을 때인데 혼자서 카메라를 들고 찍었다고 생각하니 정말 놀랍다”고 전했다.

8월의 크리스마스 스틸

영화 <세상 밖으로>(1994, 감독 여균동)부터 <8월의 크리스마스>까지 유영길 촬영감독의 조수로 활동했던 김영래 촬영감독은 “리얼리즘의 대가 답게 화면 구도 하나를 정할 때도 매우 많은 고민을 하셨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건 진실을 탐구하는 기자 시절의 자세가 촬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것 같다. 매 작품 연기자의 감정을 오롯이 담아내기 위한 구도를 찾으려고 하셨다”고 전했다. 유영길 촬영감독이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로 재직하던 시절 제자였던 김병서 촬영감독은 “유영길 촬영감독님께서 5월 광주 현장에서 기록하신 영상을 접하니 결국 좋은 구도란 진실해야 된다는 말씀이 아니셨나 하는 생각이 든다”며 “애써 꾸며서 진실을 왜곡하기 보다는 솔직하게 들여다 보는 것. 때로는 고통스럽지만 피하지 않고 담담히 오랫동안 응시하는 것. 그것이 좋은 구도를 찾아 가는 길이라는 말씀을 하셨던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