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타]
[인터뷰] 간과할 수 없는 이야기, ‘라방’ 박성웅
2023-06-27
글 : 이자연
사진 : 오계옥

진한 겨자색의 터틀넥 니트와 비비드한 청록색 재킷, 얼굴이 보일 듯 말 듯한 가면까지 젠틀맨은 독특한 캐릭터성을 앞세워 구축됐다. 사이버 성범죄를 죄책감 없이 라이브 방송으로 송출하며 사람들의 돈을 얻어내는 그의 악랄함과 능글맞음은 박성웅의 표정과 말투를 만나 생동감을 얻는다. “나도 내가 이렇게 겨자색이 잘 어울리는지 몰랐다”는 그의 농담 섞인 자찬은 스튜디오를 금세 활기 넘치게 했지만, 영화의 주요 메시지를 이야기할 때만큼은 양보 없는 진중한 자세를 보였다. 배우 박성웅이 담은 <라방>의 진의를 함께 나눴다.

- 사이버 성범죄를 라이브로 중계하는 젠틀맨 역을 맡았다. <라방>과는 어떻게 인연이 닿았나.

= <오케이 마담> 이후 영화사 올의 김윤미 대표 이사와 인연이 닿았다. 이후에 최주연 감독의 작품을 소개받았는데 사실 내가 여성감독과 제대로 작업한 경험이 많지 않다. 민감한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만큼 여성감독으로서 더 디테일하고 감수성 있게 연출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함께하게 됐다.

감독님과 미팅을 마치고 의견을 나누는데 마침 동주 역으로 박선호 배우가 합류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드라마 <루갈>에서 만난 적이 있어 대뜸 “형이 젠틀맨이다”라고 연락했더니 처음엔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듣더라. (웃음) 나중에 알고 함께 기뻐했다.

- 시나리오를 처음 받았을 때 어땠나.

= 일단 대사가 너무 많았다. (웃음) 게다가 실제로 접촉하는 사람 없이 원맨쇼처럼 연기해야 해서 새로운 도전이 될 거라 예상했다. 하지만 그 도전을 받아들이는 과정이 좋았다. 오히려 재밌을 것 같다는 느낌이 강했다. 머릿속으로 정확한 그림을 그리며 연기해야 하기 때문에 시나리오도 더 꼼꼼히 읽었다.

- 자신에게 도움을 청한 여자에게 사이버 성범죄를 저지르는 젠틀맨은 영화 초반에 관객의 공분을 일으켜야 한다는 중요한 미션을 지녔다.

= 우선 얄미워 보이고 싶었다. 젠틀맨은 모든 걸 쉽게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이를테면 ‘내가 왕인데 뭘 두려워하겠어?’ 하는 마음인 거다. 온라인상에서 강력한 권력을 가진 인물이기에 그의 위치와 헛된 권력을 드러내려 했고, 동시에 상대방의 마음을 최대한 긁을 수 있도록 얄밉게 행동하려 했다. 그래야 동주에게 이입한 관객이 더 화가 날 테니까. 사실 개인적으로 라이브 방송이나 유튜브 채널 등과 가깝지 않다. 그런 문화에 대한 경험이 없다 보니 더 신나고 자유롭게 임할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 라이브 방송을 자주 보지 않는다면 이번 영화를 위해 다른 영상을 참고한 건가.

= 전혀 아니다. 연기는 창작 활동이고, 나를 통해 특정 경험이 재현되게 하는 과정에 가깝다. 라이브 방송 같은 소재가 아니라 원작이 있는 작품이더라도 크게 참고하지 않는다. 그것이 작품에 그대로 반영하거나 쫓아가야 할 목표가 있는 게 아니라면 크게 도움되지 않는다고 여긴다.

- 극 중 젠틀맨은 갑자기 노래를 부르거나 소리를 빽 지르곤 한다. 이처럼 능청스러우면서도 야만적인 듯한 행동의 강약 조절을 어떻게 해나갔나.

= 젠틀맨은 감정 기복이 무척 심하다. 갑자기 소리를 지르다가 혼자 막 웃다가, 상대를 설득하고 협박도 한다. 조커처럼 이상한 사람으로 보이고자 목소리에 높낮이를 달리했다. 캐릭터를 연구하고 분석한 뒤 감독님과 의논하는데, 하루는 감독님이 가이드 영상을 촬영했으면 좋겠다고 하시더라. 젠틀맨이 워낙 시시각각 변하기도 하고, 촬영 구조상 서로 중계 화면을 볼 수 없기 때문에 박선호 배우가 참고할 수 있도록 젠틀맨의 분량 일부를 먼저 찍은 것이다. 나는 가이드 영상을 따로 받진 않았지만, 서로 만나지 않는 만큼 필요한 조율 과정이었다고 본다.

- 피해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장면은 어떤 논의를 거쳤나. 재현 윤리의 관점에서 수위를 조절하는 게 필요했을 텐데.

= 감독님도 나도 피해자 역할인 김희정 배우와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모두가 동의하고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되, 피해 사실을 자극적으로 보여주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그림자를 겹쳐 보이는 방식으로 해당 장면을 가늠만 할 수 있게끔 했는데 그게 참 좋은 연출이었다고 생각한다. 누구도 불편하지 않게 하면서 영화의 맥락은 계속 견지하는 방식이었다.

- 90% 이상의 신에서 모놀로그처럼 혼자 연기하고 혼자 반응해야 했다. 액션과 리액션을 주고받는 보편적인 촬영 현장과는 쏟아내는 에너지가 많이 달랐을 것 같다.

= 힘들었겠다고들 하지만 사실 재미있었다. 나만 잘하면 되는 거니까. 대부분의 촬영은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 이어졌는데, 어느 날에는 말도 안되게 밤 11시에 끝나기도 했다. 그런 날은 너무 기뻐서 다 함께 회식을 했다. (웃음) 결국 온전히 나만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이러한 시간 차가 발생할 수 있는 거다. 내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더 빨리 퇴근할 수도 있으니까. 사실 앞에 사람이 없으면 그만큼 연기하기 어려울 거라 생각하지만 전화 통화를 하는 신도 상대방 없이 찍었다. 피드백을 주고받는 사람 없이도 감정을 내비추기 때문에 크게 낯설거나 어렵게 느껴지진 않았다.

- 영화는 특정 사건과 관련해 몰랐던 사실을 알려주거나 혹은 잊힌 일을 상기시키는 사회적 기능을 한다. 사이버 성범죄라는 굵직한 소재를 두고 <라방>은 어떤 기능을 하는 작품이라 생각하나.

= 일상에서 쉽게 간과하고 넘어간 부분을 바로잡는 역할을 한다. 산업에서 변하지 않는 진실은 수요가 있어야 공급도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이버 성범죄 영상을 보는 사람이 없다면 누가 계속 만들겠는가. 직접적으로 가해하지 않았더라도 그것을 지켜본 모든 사람들이 공범이다. 소비자 스스로 자신이 무엇을 소비하고 있고 무엇을 방관하고 있는지 면밀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라방>의 본질적인 메시지는 여기에 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