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 디스패치]
[김민성의 시네마 디스패치] 지역과 여행 섹션: 뉴요커의 서울 여행
2023-07-13
글 : 김민성 (종이잡지클럽 대표)

서울에 다시 왔을 때 모든 것이 좋았다. 트렌드의 첨단을 달린다고 자부하며 길쭉샐쭉 올라간 건물을 조금만 지나면 다큐에서나 나올 법한 고궁과 한옥이 나온다. 현재와 과거가 공존하는 환상의 도시. 그때를 다시 생각해보면 나는 금세 어디론가로 돌아갈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결국 중요한 것은 태도다. 그리고 태도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 관계도, 일도, 사랑도. 심지어 삶까지도.

잠깐 영화 이야기를 해도 괜찮을까? 우리가 아무 일도 없다는 듯 다정한 얼굴을 한 채로, 사실 울고 있지만, 할 수 있는 일은 과거로의 여행뿐이다. <헤어질 결심>의 서래와 해준처럼. 서래와 해준은 고궁에서 가장 밝게 웃고, 포옹하고, 서로의 손을 잡고, 코트 안을 뒤진다. 현실에서 비소와 냉소로 모든 것을 일관하는 현대인은 시대착오적인 공간에 도달했을 때 비로소 모든 가면을 벗고 자신을 서로에게 맡긴다. 그렇게 상대가 얼음송곳으로 자신을 찌를 것이라 두려워하지 않고 침대에 누워 잠이 든다. 상대의 숨소리를 느끼며.여행을 좋아하는 이유는 잡지나 영화를 사랑하는 이유와 비슷하다. 그것들은 내 일상을 침범하지 않을 정도로만 행동한다. 어디든 끝이 있고 돌아갈 현실이 있다. 사실 어떤 풍경이든 거기서 거기고, 무슨 장면이든 한두번 넘어가면 뻔해지기 마련이다. 그러니 삶을 특별하게 느끼게 하는 건 어떤 풍경이나 무슨 장면 따위가 아닐지도 모른다. 모든 것은 태도에 달려 있다.

*

뉴욕에 있을 때 벌어진 일이다. 한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던 중이었다. 다름은 나를 보자마자 포옹을 한 채 계속 울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계속 그의 등을 토닥이며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하며 달래는 것뿐이었다. 사실 울고 싶은 건 나였음에도. 잘 지냈어? 다름은 고개를 저었다. 5kg이나 쪘어요. 나 너무 미워 보이지 않아요? 내가 어떻게 당신을 미워할 수 있겠어. 다름의 얼굴에 흐르는 눈물을 손수건으로 닦아주며 미소 지으려 애썼다. 다름도 함께 웃었다. 오래 기다렸어요? 아니. 커피 한잔 더 마실래요? 그래. 설탕 없는 에스프레소와 아이스아메리카노와 함께 프렌치토스트가 나왔다. 수저로 에스프레소를 휘휘 저어 크레마를 없앤 후에 단숨에 들이켰다. 에스프레소(Espresso)의 영어식 표기는 ‘Express’였기 때문에. 이 커피는 아마 볼리비아에서 나온 게이샤 원두를 쓴 것 같다. 풍부한 리치 향과 달콤한 밀크 초콜릿 맛이 입안을 감돈다. 따뜻한 물 한잔을 마시고 눈을 감고 입안에 감도는 감각에 집중해본다. 뉴욕에서 제대로 된 에스프레소를 먹을 수 있는 곳은 이제 그나마 이곳이 유일하다. 그럼에도 몇번 입을 다시면 그 감각은 사라지고 만다. 아무리 방금 마신 에스프레소의 감각을 다시 붙잡고 싶어도 그 순간은 그저 찰나일 뿐이다. 다시 한잔을 시켜도 이미 마비된 미각은 그때만큼의 감동을 선사하지 않는다. 그 감정을 다시 느끼기 위해서 필요한 건 내일, 이 카페에 들러 오늘 마신 커피를 주문하는 일뿐이다. 그것조차도 그 감동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다시 한번 뜨거운 잔에 입술을 적시고 오랫동안 물을 머금은 채로 아직 입안에 남아 있는 마음을 정리했다.

웃기지 않나요? 지금 이곳은 잡지와 영화에 대해 이야기해야 하는 자리고, 아니면 적어도 카페에 앉아 다름씨와 오랜만에 만난 지금 이 순간에 대해 충실하게 서술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저는 지금 카페에 앉아 그저 에스프레소 한잔을 마셨습니다. 그리고 거기에 모든 집중을 온전히 쏟고 있습니다.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그리고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그리고 바리스타에게 손을 들어 같은 원두로 콘 주케로 한잔을 더 시켰습니다. 바리스타는 알았다는 듯이 고개를 끄덕입니다. 커피가 나올 때까지 잠시만 기다립시다. 당신들에게 내 감정이 동요하는 것을 보여주고 싶지 않거든요. 마찬가지로 이 카페에 앉아 커피를 마시고 수다 떠는 척하고 있지만 울고 짜는 동양인 둘을 힐끗힐끗 훔쳐보는 위선적인 손님들에게도 말입니다.

커피가 나오기 전까지는 조금 시간이 남아 가게 문을 열고 나와 1385 6th 애비뉴를 조금 걸었다. 다시 돌아와 담배를 한대 피우면서 이대로 사라져버릴까, 도망가버릴까 싶었지만 그것은 나의 몫이 아니라 어떤 운명적인 부분이 결정하는 것이라 어쩔 수 없이 터덜터덜 자리로 돌아와 콘 주케로를 다시 휘휘 젓고 단숨에 입에 털어 넣고는 다름을 한참 바라봤다. 그의 손을 잡고, 한번 더 껴안고, 그의 온기를 느꼈다. 당신은 모든 일이 잘될 거야. 자 이제 마음이 좀 진정된 것 같습니다.

나를 아예 잊은 줄 알았어.

어떻게 내가 당신을 잊겠어요. 당신은 활자에, 영상에, 이미지에 어디 든 있었어요.

거기에 나는 없어. 그리고 여기에서도 곧 사라질 처지인 실패한 유학 생일 뿐이야, 나는. 다시 돌아가야 하는.

당신은 내가 만난 사람 중에 가장 그런 단어에서 멀어져 있는 사람인 데요.

도대체 어떤 쓰레기들만 만나고 다닌 거야? 내 농담에 우리는 한참 웃다가 포옹했다. 다름은 더이상 울지 않았다. 그렇게 우리는 다른 사람들처럼 카페에 앉아 그저 그런 시답잖은 이야기를 했다. 신작에 조연으로 크랭크인 들어갔다는 소식부터, 익히 들어 알고 있는 더러운 할리우드 소식들. 별 궁금하지도 않고, 알아둔다고 쓸모 있는 것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무에게는 하지 못할 이야기들. 서로의 눈을 맞춘 채로. 서로의 호흡을 공유하며. 그렇게 우리는 일상의 소음 속으로 걸어 들어가 한참 동안 그 자리에 있었다. 아무도 알아듣지 못하게 모국어를 쓰면서. 파묻힌 채 밀려오는 썰물을 바라보는 사람처럼. 바다에서 일출을 바라보는 뱀파이어처럼.

우리 집에서 같이 와인 마실래요? 택시 안으로 들어가는 찰나 다름은 내 손을 놓지 않은 채 물었다. 고개를 저었다. 다름은 나를 안아주었다. 잘 지내요. 어디서든. 그에게 싱긋 웃어주었는데 너무 어두워서 우는 것처럼 보였는지도 모르겠다. “영화 나오면 챙겨 볼게.” 다름은 내 볼에 키스를 남기고 억지로 웃는 듯한 표정으로 새벽빛보다 더 컴컴한 택시 안으로 끌려 들어갔다. 마치 다 타버린 베이글에 빨려 들어간 크림치즈처럼. 그렇게 이 장면은 끝난다.

이 장면은 내가 그와 만났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몇 안되는 사람들 이 항상 놀라워하는 지점이다. 대개 이렇게들 묻는다. “네가 그런 사람을 어떻게 만나볼 수 있어?” “왜 따라가지 않았어?” “네가 그렇게 보수적인 사람인지 처음 알았어.”(저는 진보적인 사람입니다.) 하지만 나와 다름은 같은 결핍을 소유하는 존재였기 때문에. 그래서 어떤 설명이나 통역 없이도 서로의 단어와 뉘앙스만으로도 호흡과 동작을 알아채는 하나의 모국어를 공유하는 동포 청년들이었기 때문에. 서로가 매혹의 대상으로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너무 잘 알면서도. 서로의 같은 곳에 뚫려 있는 궤양 같은 구멍을 바라보며 서로에게 끌린 것이었기 때문에. 그리고 이미 같은 상처를 갖고 있는 존재는 끝내 함께할 수 없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결국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같은 구멍을 갖고 있는 존재가 아니라 이 구멍을 채워줄 존재였기 때문에.

그때 필요한 것은 추동이 아니라 침묵이었다. 그렇게 다름은 같은 언어를 쓸 때도, 다른 언어를 쓸 때도, 곁에 있을 때도, 곁에 없을 때도, 어디에도 있고, 어디에도 없다.

*

서울에서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장면을 떠올릴 때마다 감상에 젖는다. 그때가 인생에서 가장 힘들고 어두운 시간이었지만 다시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을 때마다 그 순간은 특별해진다. 더이상 서울이 특별하다고 느끼지 않는다. 그렇다고 다시 삶을 특별하게 만들기 위해 다른 여행지나 떠날 곳을 찾아 헤매지도 않는다. 아마 뉴욕이나 제주에 있어도 도시만 달라졌을 뿐 똑같은 권태를 느꼈을 것이다. 대신 마치 다시 돌아갈 어딘가가 있다는 듯이 삶을 잠깐 관조할 뿐이다. 그러면 조금은 모든 것이 괜찮아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삶을 좀 방관할 필요가 있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