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인터뷰] 무표정이 말하는 것들, ‘희망의 요소’ 박서은
2023-12-21
글 : 최현수 (객원기자)
사진 : 오계옥

<아워 미드나잇>의 은영(박서은)은 어둠 속에서 수면제를 한 움큼 집어삼킨다. <희망의 요소> 속 아내(박서은)의 발은 남편의 조심스러운 손길마저 신경질적으로 거부한다. 두 작품에서 처음으로 마주하는 배우 박서은의 모습은 얼굴도 목소리도 아닌 실루엣과 이불 밖으로 삐져나온 발이다. 감정은 단지 얼굴에만 머물지 않는다. 측면과 후면, 손과 발, 윤곽과 미세한 몸의 떨림에도 감정은 흐르고 있다. 끝없이 흐르는 물이 이따금 정적인 상태로 오인되듯 박서은은 표정만으로 포착할 수 없는 미묘한 감정의 변화를 연기한다. 그 변화가 너무 미세하여 자칫 공백이나 행간을 연기한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박서은은 드러나지 않은 이면을 유영하며 작은 떨림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아워 미드나잇>과 <희망의 요소>가 권태와 절망에서 한줌의 희망을 건져 올리듯, 박서은은 캐릭터의 표면에 숨어 있는 정서를 발굴해낸다.

- <희망의 요소>의 이원영 감독과 <아워 미드나잇>의 임정은 감독 모두가 입을 모아 “박서은의 연기에는 감정이 읽히지 않는 무표정의 얼굴이 있다”고 평한다. 배우에게 무표정이라는 수사는 낯설게 들린다.

= 인물마다 각자의 고유한 표정이 있다. <아워 미드나잇>과 <희망의 요소>의 인물들은 표정이 많이 드러나지 않는다. 격동의 감정이 지나간 뒤 체념의 상태에 도달했기 때문에 표정이 중요하지 않았다. 연기를 위해 특정한 표정을 짓기보다는 인물의 정서에 집중하다 보니 저절로 무표정이 나온 것 같다.

- <아워 미드나잇>의 은영과 <희망의 요소>의 아내 모두 인물을 둘러싼 정보가 적다 보니 연기자 나름의 해석이 필요했을 것 같다.

= 오히려 인물의 이야기가 자세하지 않았기 때문에 마음대로 상상해볼 여지가 있었다. 이미 대본에서 인물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었던 만큼 갈피를 잡을 만한 큰 축을 유지한 채 나만의 해석을 더할 수 있었다. 나도 나만의 시각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는 편이다. 이 캐릭터가 타인과 세상에 마주할 때 어떤 태도를 지니고 반응할지 상상하며 인물을 구축해나갔다.

- 이승훈 배우에게 “언제나 예상을 벗어나는 연기를 보여준다”는 찬사를 받았다. 이승훈 배우와 연습실 생활을 오래 같이했다고 들었다. 오래 알아온 동료에게 예상을 벗어난다는 평가를 받은 점이 신기하다.

= 사람들이 특이한 행동을 할 때마다 그 이유나 동기를 유추하는 일을 흥미롭게 여긴다. 그래서 예상을 벗어난다는 코멘트가 마음에 든다. 특이점을 발견하고 호기심을 지니는 습관이 자연히 연기에도 반영된 것 같다. 평소 평범하지 않은 인물들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주로 즐겨 본다. 모르는 사람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습관이 평범한 사람들에게 의외의 면모를 탐구하려는 방향으로 뻗어나간 것 같다.

- 위 두 작품을 포함해 근작인 단편영화 <늦은 산책>에서도 공백이 많은 인물을 연기했다. 전사뿐만 아니라 말과 감정도 군데군데 비어 있다.

= 숨겨야 할 것들, 인물이 참고 견뎌야 할 것들에 대해 오랫동안 생각했다. 인물이 겉으로 드러내지 않으려는 것들을 품으면, 무표정 속 작은 균열이 발생할 때 그 파장이 더 크게 느껴진다. 밖에 나가 무작정 사람들을 구경하면서 혼자 흥미로운 가설을 펼쳐보기도 했다. 단순히 그들의 행동을 묘사하기보다는 왜 그 행위를 선택했는지 추측하면서 원인을 좇았다.

- 반대로 말과 감정, 관계와 전사로 가득 찬 밀도 높은 인물을 연기하는 박서은이 궁금하다. 새롭게 도전하고 싶은 분야의 연기가 있을까.

= 역사극에 도전해보고 싶다. 이준익 감독의 <동주> 같은 일제강점기 시대가 흥미롭게 다가온다. 실존 인물을 연기하는 데 관심이 있다. 유명하거나 위대한 인물이 아니어도 좋다. 모두가 아는 사실이 아닌 다른 요소를 실존 인물에 투영해보고 싶다. 실존 인물에 대한 여러 평가가 있겠지만 이 사람을 둘러싼 새로운 이면을 파헤치는 일이 재밌을 것 같다.

- 끊임없이 연기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 같다. 어떻게 배우의 길로 향하게 되었나.

= 어릴 때는 그림을 그리고 싶었다. 중학교 3학년 때 친구를 따라 연극반에 들어갔고 예고에 진학했다. 친구들과 공연을 준비하는 과정이 흥분되고 재밌었다. 그때부터 배우를 해야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성인이 되고 배우는 단순히 패기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 고유한 매력과 방향성이 필요함을 깨달았다. 연습실 생활 덕분에 방향성 을 잡을 수 있었다.

- SNS를 살펴보면 해외 배우들의 사진이 많다. 실제로도 해외 배우로부터 영감을 많이 얻는 편인가. 최근에는 어떤 배우에게 매료되었나.

= 올해 최고의 영화는 <이니셰린의 밴시>다. 과거 <더 랍스터>도 본 적 있는데 두 영화에 모두 출연한 콜린 패럴을 못 알아봤다. 그 뒤로 콜린 패럴의 필모그래피를 전부 찾아보았다. 작품마다 전혀 다른 사람처럼 느껴진다는 점이 충격적이었다.

- 지난해 한 인터뷰에서 “자신의 색깔을 찾기 위해 채워가는 시간을 가지려 한다”고 말했다. 어느 정도 답을 찾았나.

= 연기는 계속 어렵다. 그런데 잘 풀리지 않아서 재밌다. 풀리지 않는 답을 향해 끊임없이 질문하는 일도 즐겁다. 여전히 어렵지만 지난해에 비해 올해 조금 더 답을 찾아가는 중이다. 최근에도 독립장편영화에 작은 역할로 출연했다. 내가 발견한 답을 조금씩 적용하면서 나름의 시도를 해보았다. 내년에는 연기를 제대로 잘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긴다.

내 인생의 명장면 - <아워 미드나잇>에서 은영이 다리 밑에서 지훈에게 처음으로 속내를 고백하는 장면

“촬영 당시 연기에 어려움을 느꼈다. 그 순간 현장에서 함께 일하고 있는 스탭들이 시야에 들어오기 시작했고 그때 배우로서 품어야 할 책임감의 크기를 실감했다. 함께하는 동료들에게 고마움을 잃지 말아야겠다는 다짐과 유연한 배우가 되자는 깨달음을 얻었다. 극장에서 큰 스크린으로 그 장면을 다시 보니 촬영했던 현장의 기억이 교차되더라. 당시 느꼈던 괴로움과 그럴 때마다 도움의 손길을 건넨 스탭들을 떠올리며 완성된 장면을 보니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필모그래피 2023 <늦은 산책> 2022 <주연> 2021 <희망의 요소> 2020 <아워 미드나잇> 2018 <백일>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