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영화평론가 정성일, 귀여니를 만나다
2004-08-03
정리 : 김혜리
영화평론가 정성일, 귀여니 소설과 영화의 간극을 보다

두둥! 여름방학이다. <그놈은 멋있었다>와 <늑대의 유혹>이 같은 날 개봉했다. ‘귀여니 월드’는 드디어 아니 기어코, 스크린으로 열려버리고 말았다. 독자들의 욕구와 소녀 작가의 환상 사이로, 깜박이는 커서를 앞으로 앞으로 외롭게 밀어갔던 인터넷 연재물은, 종이책에 활자로 또박또박 박히더니, 이제 영화가 되어버렸다. 쿠궁! 영화는 리플도 달 수 없고, 여백에 낙서를 할 수도 없다. 영화는 ‘귀여니 월드’를 확장하는 척하면서 실은 닫아버린다. 그들은 당연히 두 시간짜리 필름으로서 예정된 오독을 원작 옆에 놓는다. 판본이 늘수록 궁금해지는 것은 진본이다. 귀여니 팬클럽의 멤버로서 귀여니(본명 이윤세)를 만나기를 소원했지만, 귀여니 영화를 보기는 두려워했던 정성일 영화평론가는 망설임을 떨치고 두편의 영화를 (귀여니와 송승헌과 강동원과 조한선의) 10대팬들과 함께 보았다. 애장한 귀여니 책들을 밤새워 재독했다. 그리고 귀여니를 만나 오래오래 대화했다. 우리는 그 결과물로 여기 실린 글과 인터뷰의 기록이, 귀여니가 만들고 무수한 10대가 동참한 세계의 처음과 (영화로 만들어진 이본(異本)을 포함한) 현재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다소 수줍게 고백하자면) 나는 귀여니 팬클럽이다. *^^* 그러니까 이 글은 그걸 염두에 두고 읽어야 한다. 나는 귀여니의 소설을 모두 읽었(거나 다운로드받았)고(<그놈은 멋있었다> <늑대의 유혹> <도레미파솔라시도> <내 남자친구에게>), 그걸 읽는 동안 행복했다. 뭐랄까, 거기에는 내가 살고 있는 세계와 서로 다르지만 언제나-이미 공존하는 세계, 그러니까 각각의 세계가 제 방식으로 존재하는 그 세계들 사이를 가로지르며 함께 존재하고 싶어하는 그 어떤 공존의 감각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는 기호가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그 독후감의 전편을 이미 썼으며(<씨네21> 436호, 2004_0113_0121, “그 영화(들)의 관객 ‘연넘’들은 멋있었다”), 이 글은 ‘實戰’편이다. 나는 귀여니를 간절하게 만나고 싶었으며, 하지만 할 수만 있다면 영화는 보고 싶지 않았다. 이 이상한 모순의 난처한 지경. 그런데 두편이 동시에 만들어졌다(허걱!). 여기서 (영화로 만들어진) <그놈은 멋있었다>과 <늑대의 유혹> 중에서 누가 더 나으냐는 질문은 바보 같은 궁금증이다. 그 대신 이렇게 물어볼 수는 있다. 누가 더 복종하였는가?(귀여니를 만나서 질문을 하는데 귀여니는 갑자기 내게 덧붙였다. “이렇게 제 소설을 진짜 읽고 와서 질문하는 사람은 처음이에요”). 어른들은 귀여니의 세계에 공감하기 때문에 영화를 만든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공감이 없다. 오직 이해(를 가장한 오해)만이 있다. 문제는 억지로 이해하기 위해서, 귀여니의 세계 안으로 ‘하여튼’ 들어가기 위해서, 할 수 없이 부리는 상상(의 모습을 빌린 억지)의 일관성이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여기에 칸트의 “계몽이란 무엇인가”(에서 인용한 푸코와 지젝)의 경구 “네가 원하는 만큼 네가 원하는 모든 것을 추론하라, 하지만 (그러고 나면) 복종하라”는 명령은 더없이 적절하다. 이 명령은 귀여니의 세계 안에서 하고 싶은 모든 것을 할 수 있지만, 그 다음에는 네가 귀여니라고 상상하는 세계에 복종하라는 역설로 돌아온다.

편견에 저항하는 귀여니, 복종하는 영화

이를테면 이 두편의 영화는 모두 이상하게도 그 마지막 장면이 원작과 전혀 다르다. 두편 모두 (신기하게도) 원작 각색을 감독 자신이 직접 하였으며, 귀여니 자신은 시나리오에 두편 모두 관여하지 않았다고 대답했다. 나는 소설을 읽으면서 그 마지막 대목의 순간에 아연실색했다. 영화 <그놈은 멋있었다>는 한예원과 지은성이 일년 뒤 눈 오는 수능시험날 약속한 대로 (유치찬란한 CG가 돋보이는) 빨간 공중전화박스 앞에서 만나면서 끝난다. 그러나 열일곱살 소녀가 쓴 소설 <그놈은 멋있었다>의 마지막에 그런 ‘시시한’ 엔딩 따위는 없다. 그 대신 ‘느닷없이’ 5년 뒤 한예원과 지은성의 동거로 끝(장을)낸다. 이환경(감독)은 도무지 이해가 안 되는 것이다. 마땅히 귀여니의 세계는 착한 해피엔딩으로 끝나야 한다고 생각한(것 같)다. 그러나 귀여니 자신은 여기에 심술궂게 연적(戀敵) 김한성까지 더해서 끝나지 않은 삼각관계의 음란한 난교의 상상으로 끝을 맺는다. 그건 <늑대의 유혹>도 마찬가지이다. 영화는 이복동생 정태성의 불치의 병을 알려서 정한경(과 그의 라이벌 반해원)을 있는 대로 울린다. 그러나 귀여니는 그냥 정태성을 외롭게 확 죽여버린다!(이 중요한 대목을 기습적으로, 갑자기, 마지막에 마치 후기처럼 쓴다) 김태균(감독)은 귀여니의 그 잔인함이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쁘게 엔딩을 끝내는 것이 귀여니의 세계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그건 그들이 오해한 것이다. 귀여니는 자기 소설의 마지막에 이르러 그 반대로 중얼거린다. 충분해, 충분해, 그러니 이제 그런 엔딩 따위는 지긋지긋해. 귀여니가 저항하는 장소에서 영화는 복종한다.

그러므로 나는 여전히 귀여니의 소설이 영화로 만들어지는 것은 어른들을 매우 비참하게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불가능한 소통을 억지로 통해보겠다는 것이(그 말 그대로의 “통하였으냐?”) 아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그건 사실상 어떤 노력을 기울여도 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이건 귀여니가 그녀의 온라인상의 친구들과 함께 만들어내는 가능세계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소녀들 앞에 던져진 세계 앞에서 현실을 넘어가기 위해서, 막다른 길이라고 생각한 자기의 자리에서, 있는 힘을 다해 달려가, 저 무시무시한 실재의 심연을 단숨에 점프하여, 어른의 자리에 안전하게 착륙하기 위하여, 그녀 자신들을 보호하는 기호들의 사다리로 넘어가는 그 점프 컷으로서의 글쓰기이다.

순진한 <그놈은 멋있었다>, 징그러운 <늑대의 유혹>

물론 불편할 것이다. 사방에 늘어서서 넘쳐나는 이모티콘(의 얼굴 이미지들)과 종종 화자를 알 수 없는 대화체의 연속된 문장들(도대체 이 말은 누가 하는 거야?), 매우 빠르게 전개될 듯하면서도 거의 만연체로 늘어지는 이야기의 흐름 안에서 내가 보는 것은 한 소녀의 변화무쌍한 심리적 굴곡과 그 변덕스러움이다. 그렇다. 그건 비밀과 고백으로 뒤범벅이 된, 긍정과 부정이 내기를 하는, 혹은 진실을 말하기 위해 거짓말로 넘쳐나는 기호들의 왕국이다. 바로 거기서 이모티콘들이 예외없이 표정이라는 것을 기억하라. 그것은 우리를 바라보는 클로즈업이며, 소년소녀들의 공동체로서의 약속이며, 낯선 자들을 타인으로 만들어버리는 기호이다. 그러므로 귀여니의 세계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서 그 기호는 배움의 장이며, 그 기호가 만들어내는 정서의 초상화를 익혀야 하는 언어이다. 그 기호는 그러므로 글쓰기가 숨을 쉬는 얼굴이며, 말을 하는 표정이다. 그것은 무의미하지만, 그것이 우리를 무의미하게 만든다. 물론 귀여니는 루이스 캐럴이 아니다. 그건 나도 알고 있다. 하지만 귀여니는 앨리스와 똑같은 말투로 몇번이고 묻는다. 어느 쪽으로 가야 하나요?(가본 적이 없는 외국으로의 끊임없는 떠남) 거기에는 잃어버린 방향에 대한 간절한 탐색이 있다. 그걸 이해한다고 말할 때 우스꽝스럽게도 아버지들은 도착증 환자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아버지의 자리를 포기하고 딸의 흉내를 내면서 던져진 그 착란적 은유로서의 쾌락을 즐겨야 한다. 물론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그때 그 즐거움은 세상이 무너져가고 있다는 불안으로서의 즐거움이다. 그래서 어떻게 해서든지 버티기 위해서 제발 나를 귀여니의 도구로 써달라는 자포자기가 될 것이다. 그때 어른들은 자기 자신이 발딛고 서 있는 성인들의 세계라는 허구를 깨달을 것이다. 그러나 미안하지만 영화 <그놈은 멋있었다>와 <늑대의 유혹>은 그럴 용기가 없다. (내 생각에) 소설에 비해서 영화 <그놈은 멋있었다>는 순진하고, 그만큼 <늑대의 유혹>은 징그럽다. 그 둘은 다만 서로 반대의 방향에서 어른들이 생각하는 소녀들의 세상일 뿐이다. 귀여니는 그 사이 어딘가에서 학교와 집 사이를 오가면서 연애하고, 또 연애한다. 그리고 깔깔대고 웃을 것이다. 그 세계에서 문을 열고 들어갈 수 있는 대안은 있을 수 없다. 그건 서로의 각각의 세계인 것이다. 그건 마치 소녀들이 테헤란로의 비즈니스맨들의 기호들의 세계를 이해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니 우리를 제발 있는 그대로 있게 해달라고 이모티콘들은 우리를 방해하고, 또 방해한다.

귀여니 소설 - 소녀들 세계의 외로운 복사본

그러므로 이건 소녀들만의 모험담이다. 자기 자신들은 모르지만, 시간 속에서 마모되어가면서, 일순간 붙잡았다고 생각하는 그 소망의 성취를 기뻐하면서, 그 자신들은 매우 지루하게 생각하는 그 느린 속도의 삶의 슬로모션을 체험하면서, 거기서 자신들의 존재를 상상해보는 것이다. 너무 자연스러워서 마치 숨을 쉬고 있는 것처럼 귀여니가 가볍게 점핑해서 무사히 착륙하고 있는 그 지점, 그렇게 수없이 뒤얽힌 세계 속에 가끔씩 마주칠 수밖에 없는 21세기 대한민국 소녀들의 세계 속의 사건. 그래서 귀여니의 세계를, 한예원의 연애담을, 정한경의 삼각관계를 긍정하는 것은 소녀들이 잃어버리고 있는 시간의 펼침을 빌려 우리의 잃어버린 시간을 다시 한번 감싸안으며 되찾는 시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그때 우리는 서로의 세계의 공존을 가까스로, 아주 희미하게, 하지만 분명히 깨달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 모험은 이미 우리가 한 것의 반복이기 때문이다. 그때 우리의 시행착오가 지닌 필연성, 그 안에서의 의미와 추억의 변증법을 볼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래도 반박하고 싶을 것이다. 너도 언젠가는 어른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당장 유치한 연애를 그만두라고 명령하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던져진 세계들의 다양성을 부정하면 안 된다. 그 세계에서 은지성의 한예원을 향한 순정, 정태성의 정한경을 향한 순정, 그 순정은 목숨을 걸고 하는 것이다. 학교가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의 외로움을 당신은 벌써 잊었는가? 텅 빈 집에 돌아와 자기 방문을 걸어 잠그고 부팅을 한 다음 거기서 변신을 꿈꾸는 그 외로움이 어떻게 죽을 만큼 슬픈 것이 아니라고 단언할 수 있는가? 그렇게 각각의 세계들, 그 세계들의 모두의 공통으로서의 세상, 그 세상이 만들어내는 기호들의 속삭임, 그것이 일깨우는 서로의 고유한 세계의 지도, 바로 여기 귀여니의 세계가 지금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 소녀들의 세계의 외로운 복사본이라는 사실까지 부정해서는 안 된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