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내 머리 속의 지우개> 공동작업한 소설가 김영하 VS 감독 이재한 [1]
2004-11-16
글 : 이영진
사진 : 오계옥
공동작업 <내 머리 속의 지우개>를 끝낸 소설가 김영하와 감독 이재한의 대화

영화 만들기, 역시 쉽지 않군

“담배꽁초 버리는 것 봤는데. 여기가 뉴욕인 줄 알아요?” 대담을 나누기로 한 장소에 먼저 와서 기다리고 있던 소설가 김영하가 속사포를 날린다. 묵묵부답, 이재한 감독은 슬쩍 웃을 뿐이다. “이제 좀 얼굴이 사람 같아졌네.” 역시 묵묵부답. 라면집에서 준 사탕을 빨면서 수시로 질문을 던져대는 김영하에게 과묵한 이재한은 손을 내미는 것으로 답을 대신한다. 두 사람이 절친한 사이라는 건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일. 하지만 곁에서 보면 워낙 스타일이 달라 좀처럼 이해가 안 된다. 누가 보면 맞춰입고 온 것 아닌가 의심할 법한 검은색 정장을 제외하곤 별 공통점이 없어 보인다. 그런데 어찌해서 두 사람은 4년 전부터 시나리오를 함께 쓰는 각별한 사이가 됐을까. 서로의 무엇에 끌렸기에 말이다. 최근 개봉한 <내 머리 속의 지우개> 또한 이들이 시나리오를 나눠 쓴 작품. 두 사람의 공동 작업 중 영화화된 첫 번째 작품이기도 하다. 충무로의 단짝 커플에게 지난 과거를 캐물었고, 두 사람은 2시간 넘게 지워지지 않은 과거를 끄집어내서 단물나도록 곱씹었다. / 편집자

그들의 첫 만남2000년 겨울. 데뷔작 <컷 런스 딥>이 개봉한 뒤였고, 이미 써놓은 시나리오도 한짐이었지만, 유학파 감독 이재한을 버선발로 반기는 영화사는 없었다. 그는 시나리오를 들고 영화사를 찾았지만 다들 이대로는 곤란하다며 손을 저었다. 그에게 필요한 건 시나리오을 함께 고쳐 쓸 구원투수였다. 그때 떠오른 이가 소설가 김영하였다. 이재한은 그의 소설이 독특하다고 생각했고, 무엇보다 자신의 감수성과 교차점이 존재한다고 믿었으며, 결국 전화번호를 알아내 무작정 말을 건넸다. 둘은 홍익대의 한 카페에서 만났고, 김영하는 이 자리에서 자신의 팬이라는 영화감독에게 “인간이 괜찮은 것 같으니 우리 나중에 영화하게 되면 같이 해보자”는 약속을 했다. 빈말은 아니었다. 이재한은 몇달 뒤에 다시 수화기를 들었고, 이들의 만남은 해를 넘겨 늘어났고, 김영하는 그가 들고 나온 시나리오 중 <레드 스킨>(뒤에 <개와 늑대의 시간>으로 제목 바뀜)에 관심을 보였다.

김영하 l <레드 스킨>은 뉴욕에서 온 영화학도가 할 법한 주제였어요. 미국인이냐 한국인이냐 하는 민족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었는데 시나리오가 좀 거칠었어도 한국적 실정에 맞게 고치면 되겠다 싶었거든. 내가 3고까지 썼나, 아니면 4고까지 썼나. 캐스팅만 되면 들어간다는 분위기였는데 그만 튜브쪽에 대형사고가 좀 터지면서 장기 보류가 떨어졌지.

이재한 l 결국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됐죠. (웃음)

김영하 l 두 사람 다 모두 내지르고 큰 거 좋아하는 스타일이라서 시나리오 쓸 때 예산문제 차치하고 가능한 모든 것을 써보자 했었거든. 그래서 견적이 많이 나왔지. 뭐 이런 장면도 있었잖아. 헬기 3대가 남대문 시장에 떨어지고, 주인공 둘이서 비행기와 헬기 수십대가 있는 미군 비행장 격납고 앞을 걸어가고. 제리 브룩하이머나 할 수 있는 걸 우리가 하려고 했던 거지. (웃음)

이재한 l 그 이후론 처절했지요. 시련이 시작됐으니까.

김영하 l 다른 시나리오 갖고서 준비하지 않았었나?

이재한 l 2편이 엎어졌는데, 그러니까 3년이 그냥 가버리던데요.

김영하 l 맞다. 그중 하나가 <아브라다카브라>였다.

이재한 l 아니. <아브라카다브라>. 엽기적인 사랑이라고 해야 하나.

김영하 l 댐이 무너져서 홍수가 나는데 그 고립의 상황에서 피어나는 아파트 주민들의 사랑, 뭐 그런 이야기 아니었나.

이재한 l 그것도 돈이 많이 들어가는 영화죠. 언젠가 꼭 만들어야 하는데.

김영하 l 좀 매력적으로 줄거리를 설명하라고. 이번 영화 잘되면 교섭 올지도 모르는데.

한달의 합숙, 기약없는 프로젝트 <개와 늑대의 시간>

올해 동인문학상 수상작인 김영하의 장편소설 <검은 꽃>의 원안자는 이재한이다. 때는 <개와 늑대의 시간>을 들고 두 사람이 한달 동안 합숙했던 2002년으로 거슬러올라간다. 20세기 초, 영국 선박에 몸을 싣고 멕시코로 떠난 조선인들의 이야기는 이재한이 우연히 알게 된 이민사 연구자로부터 들었던 아이템이었다. “중남부 밀림에서 장렬히 전사하는 마카로니 웨스턴 영화로 만들고 싶다”는 이재한의 말에 김영하 또한 언젠가 시나리오로 쓰면 좋을 이야기라고만 생각했다. 그러나 <개와 늑대의 시간>은 기약할 수 없는 프로젝트가 됐고 이재한은 뮤직비디오를 찍으러, 김영하는 장편소설을 구상하러 떠나야 했다. 소재를 구하던 김영하에게 이민자 이야기를 써보라고 제안한 건 든든한 조언자이기도 한 김영하의 아내. “당신이 쓰면 다른 이야기가 될 것”이라고 한 말에 김영하는 넘어갔고, 2003년 8월 <검은 꽃>이 탄생했다.

김영하 l 그때 합숙하면서 우리가 이야기 한 아이템 중에 최배달도 있었고, 실미도도 있었어요. 한국에는 왜 전쟁영화가 없느냐 한참 떠들었는데 강제규 감독의 <태극기 휘날리며>가 나오더라고. (웃음)

이재한 l <카사블랑카> 같은 영화를 만들어보자는 이야기도 있었는데.

김영하 l 그건 나랑 한 이야기가 아닌 것 같은데.

이재한 l 그런가. 이민자 이야기도 그중 하나였어요.

김영하 l 그게 <검은 꽃>이 됐지.

이재한 l <아라비아의 로렌스>와 <와일드 번치>를 합한 것 같은 영화로 만들고 싶었죠.

김영하 l 소설로 쓸 생각은 안 했던 게 민족과 국가 뭐 이런 주제는 나랑 안 맞는데다 서부영화풍이라는 것도 좀 그랬거든. 그런데 아내가 당신이 쓰면 색다른 게 나올 거라고 해서 그만. (웃음)

이재한 l 그래도 그때 굉장히 생산적이었어요. 화이트칼라처럼 아침부터 저녁까지 작업하고 7시부터선 맥주 마시면서 토론하고.

김영하 l 시나리오 작업한다고 하면 보통 낮엔 놀다가 밤엔 술마시고 다음날 아침엔 숙취 해소하느라 끙끙대고 그러다 비디오 빌려보는 뭐 이런 생활이 되기 십상이지. 그래도 우린 계획대로 20일 만에 초고 탈고 하고, 3∼4일 정도 걸려 수정본 하나씩 내고 그랬으니까.

이재한 l 들어가서 고치는 게 아니라 고칠 것 짜놓고 들어갔으니까 가능했어요.

김영하 l 원래 같이 일해보면 어떤지 자세히 알게 되잖아요. 그런데 별로 내 신경을 안 긁더라고. 처음 이 감독 봤을 때는 한국적 측면에서 사회적 스킬이 부족한 것 같았는데. 엉기고 그런 게 별로 없었으니까. 그런데도 재수없어 보이진 않았거든. 질척질척 얽히지 않고 외려 깔끔한 인성이랄까, 그런 면이 같이 일하기 좋았던 것 같아.

이재한 l 영하 형의 작품들이 제가 지향하는 것과 비슷하기도 했던 것 같은데요. 거창하게 말하면 세계관일 수 있고. 동일하다는 건 아니지만 이를테면 헤밍웨이를 좋아한다거나 하는.

김영하 l 남성적이고 힘있고 간결한 문체를 나도 좋아하니까. 취향이 나랑 비슷하지.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