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신성일의 행방불명> 제작기 [2]
2006-02-22
글 : 신재인 (영화감독)

싸게 찍을수록 걸작 나온다는 원리

그: <신성일…> 찍는 데 얼마 들었어요?
나: 6500만원 들었습니다.

이 말을 하면서 고단했던 나의 제작자 생활이 떠오른다. 수치심을 느끼면서까지 값을 깎아야 했을 때 날 노려보던 사람들의 얼굴… 가슴속에 하나 둘 새겨지는 얼굴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얼굴 하나에 추억과 얼굴 하나에 쓸쓸함과….

그: 헤? 독립영환데 그렇게 많이 들었어요?
<마이제너레이션>은 3천만원, <용서받지 못한 자>는 2천만원 들었다든데….
나: 아, 네 그 영화에 비하면 제 영화는 블록버스터예요. 고아원 오픈 세트도 지었고요 애들도 떼로 나오고요….
나: (보이스오버) 짜증나네. 난 정말 무리해서 싸게 찍은 건데… 왜 변명을 해야 되지?
그: 역시 돈없이 찍어야 잘 나와, 그죠?

돈을 덜 들일수록 좋은 물건 나오는 곳이 있다니 이 얼마나 희소식인가? 독립영화계로 오라. 여기선 분명히 그렇다. 그런데 이 반갑고 소중한, 기적 같은 경제원리를 내가 안 배워도 되는 것 중 하나로 꼽은 이유는 단지 나는 돈을 덜 들일 수가 없기 때문이다.

독립영화가 상업영화보다 완성도 높은 물건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이 있다. 그중 첫째가 시간. 함께 작업해온 영화동지들과 몇달에 걸쳐 주말에 촬영하고 평일에 편집하며 다음 주말에 촬영을 한다면… 그것은 과정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결과도 아름다운 최고의 작업방식이 될 것이다. 편집해 가며 다음번 촬영분을 확정할 수 있다는 것, 연출해본 분들은 알겠지만 이것은 최선의 예측 가능성을 지닌 연출을 가능케 한다. 상업영화에서도 할 수 있겠으나 거기서는 돈이 꽤 들 테고 이틀 촬영에 5일간 편집과 숙고를 할 수 있으려면 특히 많은 돈과 기타 조건이 갖춰져야 할 것이다(안 해 봤으니 잘은 모른다). 그리고 동지도 없고 돈도 없는 독립영화라면….

또한 영화적으로 우수한 선후배들, 돈 안 주고 작업에 끌어들일 수 있는 선후배들이 있다면, 이 역시 작업에 판타스틱한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함께 작업하는 영화동지들이나 선후배라는 인프라를 갖추고 있지 못한 경우 어쩔 수 없이 독립영화도 상업영화의 제작방식을 취하게 된다. 즉 남들과 작업해야 한다. 그러려면 보통 돈을 주어야 한다. 돈을 주지 않는 경우에도 주는 것이 당연하므로 찜찜하거나 문제가 되거나 적어도 미안함에 시달리게 된다. 그리고 프리, 촬영, 포스트기간 등등이 모두 돈으로 환산된다. 그러므로 작업시간은 짧아야 한다. 생각을 길게 혹은 여러 가지로 해보는 데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

그리고 그 남들이 프로 혹은 준프로일 경우 당연히 돈은 더 든다. 그러면 영화 경험이 없는, 초면의 사람들과 팀을 꾸리고 그들에게 일정기간 감독으로 보여야 하는 것을 선택하기도 한다. 처음 만난 사람에게 돈 한푼 안 주거나 한푼만 주면서 매서운 추위 속에 밤을 새게 하고 삐친 배우 달래게 하고 한 일 다시 하게 한다. 그러다보면 감독도 백프로 감독이 될 수 없고 스탭도 스탭이 될 수 없는 때가 온다. 스탭은 받은 돈이 없다는 사실과 며칠째 김밥과 컵라면만 먹었다는 사실이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또 프로듀서가 돼서 감독도 눈이 휘둥그레질 정도의 열의를 가지고 일을 했는데 스탭들이 모두 자기가 무능하다고 수군거리고 어느 날 감독이 소리를 지른다. “돌리가 안 오고 배우가 연락이 안 되고 통장이 비었다고요?” 영화 스탭을 해본 적도 없는데 연출부하겠다고 왔더니 유능해 보인다고 프로듀서를 시켜놓고 이 무슨…. 프로듀서가 그만둔다고 하자 감독, 손을 꼭 잡으며 당신만을 믿는다고 말한다.

그리고 일도 못하고 열의도 없으며 곤조(성깔?)까지 심한 한 스탭이 있어 감독의 마음에 자꾸 밟히는데 그것은 그의 일 못함과 성깔 때문이 아니라 그런 인간일지언정 혹시 쟤가 그만두면 어떡하나 하는 전전긍긍 때문이다. 눈치도 보고 맥주도 사고 한 테이크 더 가야 할 거 같은데 오케이를 외친다. 그런데 그 스탭, 촬영장에서 내가 어쩌다 이런 작업에 엮였을까 하는 방백을 하곤 한다. 감독은 못 들은 걸로 약속된 배우 역할을 하지만 가슴에 뼈가 있어 그게 뚝 부러진 거 같으다. 영화 엎어도 좋으니까 저 자식 좀 집에 보내고 싶다. 콘티 아 뭐였지? 기억에 없다. 이런, 내가 영화에 집중하지 못한 거야, 자책하며 머리를 얼음물에 담가도 보고 흡연량을 늘려도 본다. 담배는 제5의 수족이 되어 입에 항상 물려 있다. 그러다 담배없이 작업이 진행되기라도 하면 다리가 잘린 사람처럼 입술에 환상지의 감각을 느끼고 유령담배를 피우는 것이다.

아, 이렇게 어려운 일인 줄 알았으면 시나리오 좀 잘 쓸걸 뒤늦게 후회한다. 이런 고통은 걸작을 낳을 때나 느껴야 하는 게 아닌가, 그런데 베르테르가 편지쓰듯 너무나 절박하게 고로 고민없이 프로덕션을 시작했다. 그전에는 영화가 왜 걸작이어야 하는지 잘 몰랐다. 내 영화가 또 남의 영화가 걸작이 아니었을 때도 별로 실망 안 했다. 나도 만들 때 재밌고 저들도 그랬을 것이다. 그동안과 지금의 차이는 길이다. 돈도 없고 성격이 후져도 한번 열심히 해보자고 처음 보는 사람들을 끌어들일 때 그들의 열의는 단편 때도 일주일, 장편 때도 일주일 갔다. 그렇다. 일주일, 단편은 끝나지만…(참고로 영화의 끝까지 심지어 후반작업 때도 열의를 갖고 있는 사람 같지 않은 스탭들도 있었다. 경외한다).

이제는 영화가 걸작이어야 하는 이유가 생길 것 같다. 산고 때문이다. 내 아이이기 때문도 아니고 아프게 낳았는데 너무 사람 같이 안 생겼으면 충격일 거 같다.

자, 하지만 이미 눈코입이 다 생겨버렸어. 어려움이 지독함을 향해 끝없이 에스컬레이팅할 것만 같을 때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한두명을 빼고는 모두 감독 겸 제작자에 대한 마음을 푸는 것이다. 같이 웃고 껴안고 다음 작품을 논의하기도 한다. 영화가 끝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독 겸 제작자에겐 더욱 지독한 작업이 기다리고 있다. 후반작업이라는, 촬영만큼 돈이 들거나 심지어 더 들기도 하는, 돈 좀 아껴보려고 미인계 같은 거 쓰다가 난치의 상처를 입기도 하는… 마의 과정. 이때쯤 되면 돈은 바닥나 있다. 그리고 자신이 유일한 스탭이다. 위에 괄호친 인간 같지 않은 스탭들, 그들에 대한 존경심과 미안함은 감독으로 하여금 그들을 자꾸 부를 수 없도록 한다. 이제 감독은 자기가 할 수 있는 건 자기가 한다. 몰랐던 건 배운다. 없는 돈을 꾸느니 영겁을 들여 완성하겠다는 자세다. 시간이 하루, 이틀, 사흘 흐른다. 이렇게 인생을 바칠 만한 작품인지 들던 의문이 이제 감독을 통제하기 시작한다. 걸작도 아니잖아? 아니면 또 어때? 대충 끝내고 싶은 생각이 굴뚝 같다. 나가서 놀고 싶다.

자, 모든 작업이 끝났다. 나온 아이는 다행히 사람은 맞는 것 같지만 예쁘다는 소리는 자주 못 들을 것 같다. 그러거나 말거나 이상의 모든 과정을 감독은 엄청난 희열이었다고 표현한다. 반어일까, 거짓말일까? 위선? 전략? 인품? 그것은 그대로 사실이다. 감독에게 그 전 과정은, 가슴에서 뼈가 부러질 때조차도 이것이 희열이 아니라면 그 어떤 것도 희열이 아닐 그러한 희열이었다. 만드는 데 얼마 들었어요? 라고 사람들이 묻기 전까지는.

싸게 만들었다는 것을 너무 높게 평가하지 말기를 바란다. 싸게 찍었다면 그 자체로 이미 충분한 보상이 아닌가. 싸게 찍을수록 걸작 나온다는 원리를 들어 독립영화에 지원되는 돈이 더 적어질까 걱정이다. 학연, 친구연, 나아가 개인적인 매력 등 충분치는 않지만 그럭저럭 돈을 대체할 수 있는 인센티브와 충분한 시간을 마련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고 대충 찍고 싶은 마음을 이겨낼 때 독립영화의 걸작은 앞으로도 계속 탄생할 것이다. 하지만 그런 인프라가 없는 사람들도 독립영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 않는가? 동의하길 바란다. 그리고 돈 좀 대길 바란다.

일러스트레이션 김주임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