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영화 속 그림들에 숨겨진 비밀 [1]
2006-05-13
글 : 이다혜

교과서에 등장하는 ‘명화’라는 이름의 그림들을 보기 위해 꼭 해외의 미술관에 가야 하는 건 아니다. 개봉을 앞둔 <다빈치 코드>부터 복잡한 수수께끼로 악명이 높았던 <텔 미 썸딩>에 이르기까지, 이름난 명화들을 거대한 스크린 안에서 만날 수 있다. 게다가 단순히 미적 즐거움만을 주는 것도 아니다. 그림들은 때로 영화 속 미스터리를 풀 수 있는 가장 큰 단서가 되어준다. <거울 속으로>에 등장하는 얀 반 아이크의 그림이 감춘 비밀은 무엇일까? 김기덕 감독이 몇 년의 시간 차를 두고 만든 <파란 대문>과 <나쁜 남자>에 똑같은 에곤 실레의 <흑발 소녀의 누드>가 등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림의 수수께끼는 이제 모두 풀렸다!

거울 속의 당신은 누구?! <거울 속으로>

“눈에 보이는 것이 다는 아니야” <거울 속으로>는 눈에 보이는 것을 믿을 수 있는지를 묻는다. 만일 거울 속의 당신이 당신과 다르게 움직인다면? 거울 속에 또 다른 세상이 있고 그것이 실물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어떨까. 도발적일 뿐 아니라 상상만으로도 충분히 두려운 이러한 설정은 영화의 미스터리적 완결성 문제와는 별도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거울 속으로>가 보여주는 가장 인상적인 이미지들은 바로 실상을 반영하지 않는 거울을 이용한 장면들. 최초에 <거울 속으로>에 영감을 불어넣은 것으로 알려진 르네 마그리트의 초현실적인 그림과 얀 반 아이크의 극사실주의적이되 교묘한 트릭이 숨어 있는 그림은 영화에서 반복 등장하며 신비감을 고조시킨다.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 얀 반 아이크
정밀묘사풍의 북유럽 걸작 중 하나. 그림 앞에 서면 마치 손으로 만져질 듯한 옷의 질감과 인물들의 얼굴이 강렬한 입체감을 느끼게 만든다.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은 작가가 이들의 결혼식이나 약혼식에 입회해 그린 초상화로 보이는데, 그 이유는 거울 위에 “얀 반 에이크가 여기 있었노라. 1434.”라는 문구가 적혀 있기 때문이다. 아름답기는 해도 별 신비는 없을 것 같은 이 그림이 공포영화의 한가운데로 뛰어들어온 것은 거울 속의 이미지 때문이다. 전면에는 신랑과 신부가 있고, 후면에는 볼록거울이 하나 있다. 볼록거울을 확대해보면 현장에 두 사람이 더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 중 한 사람은 그림을 그린 얀 반 아이크 자신. <거울 속으로>는 이 정적인 그림에 묘한 신비감을 부여하면서, 카메라가 렌즈의 반대편까지 보여줄 수 있을 것인지 질문을 던진다. 보이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하고.

같은 모습에서 진짜 찾기, <토마스 크라운 어페어>

007이 억만장자가 되었다면 딱 토마스 크라운 같았을 것이다. 실제로 007 시리즈에 출연하기도 했던 피어스 브로스넌은 <토마스 크라운 어페어>에서 매력적이지만 약간 괴팍한 억만장자를 연기한다. 미술품을 훔치는 억만장자와 그를 수사하는 보험수사관의 이야기를 그린 이 영화의 주요 배경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다. 토마스 크라운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훔쳤다가 되돌려놓는 그림은 클로드 모네가 1908년 베네치아를 여행할 때 그렸던 <황금빛 저녁놀에 싸인 베네치아 궁전>이다. 이 그림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다시 그 존재를 드러내는 트릭은 물감의 특성을 절묘하게 이용한 것이다.

<인간의 아들> 르네 마그리트
<토마스 크라운 어페어>의 절정 대목에 등장하는 그림. 토마스는 캐서린에게 훔쳤던 그림을 미술관에 되돌려놓기 위해 갈 것이라고 미리 얘기하고, 결국 토마스를 잡기 위해 경찰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대거 투입된다. 그런데 단 한명의 토마스를 잡는 일이 미션 임파서블이다. 토마스는 검은 코트 차림으로 미술관에 들어서자마자 중절모를 눌러 쓰는데, 정신을 차려 보니 미술관에는 똑같은 차림새의 남자들투성이다. 애드거 앨런 포의 <도둑맞은 편지>의 트릭을 연상시키는 이 대담함은 르네 마그리트의 <인간의 아들>이라는 그림으로 상징되는데(가짜 토마스의 가방 안에서 이 그림의 복사본이 쏟아져 나온다) 얼굴이 사과로 가려진다면 인간의 아들들을 서로 구별해내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일 것인가. 이 대목에서 흘러나오는 니나 시몬의 노래도 놓쳐서는 안 될 아름다운 곡이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