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홍상수의 <해변의 여인> [4]
2006-09-06
글 : 정이현 (소설가)
<해변의 여인> 감상기③ 홍상수와 조우한 지 십년 만의 변화

숨 막히게, 차갑도록 명징하게, 그녀를 이해한다

사랑은 종종 오독(誤讀)에서 비롯된다. 희고 어린 진돗개의 이름은 ‘돌이’다. 강아지의 목줄을 틀어쥔 채 나긋나긋한 발걸음으로 바닷가를 산책하던 주인은, 국도변에 돌연 녀석을 버리고 사라진다. 녀석을 거둔 새 주인은 ‘바다’라는 새 이름을 붙인다. ‘돌이’를 기억하던 누군가가 ‘바다’와 재회했을 때, 그 희고 어린 강아지는 ‘돌이’인가, ‘바다’인가. 그러나 해변의 그 여인, 문숙은 반가이 외친다. “똘이야!”

‘ㄷ’과 ‘ㄸ’ 사이, 그 사소하고 위대한 착각이 아니라면 유사 이래 어떤 사랑도 성립되지 않았을 것이다. 2006년 8월. 홍상수의 일곱 번째 영화 <해변의 여인>을 보았다. 그의 첫 영화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과 조우한 지 십년 만이다. 십년 동안 나는 레티놀이 듬뿍 함유된 아이크림을 눈 밑에 바르기 시작했고, 내 이름으로 된 적금통장과 투자신탁거래통장을 가지게 되었다. 싫은 사람 앞에서도 방긋 미소 지을 줄 알게 되었고, 이런 변화를 속상해하다가 이내 위악보다 위선이 낫다며 자위할 줄도 알게 되었다.

달라지지 않은 것도 있다. 홍상수 감독의 새 영화를 본 날이면 언제나 술을 마셨다. 평소보다 서둘러 취했고 별것 아닌 이야기를 목소리 높여 뒤떠들어댔다. “아우, 사는 게 참 홍상수스러워.” 환멸도 아니고 깨달음도 아닌 한마디를 습관처럼 중얼거리면서 어느새 그의 다음 영화를 기다렸다. 그의 영화가 마치 이 헐겁고 부박한 일상을 견디게 하는 마법이라도 된다는 듯이.

에어컨이 휭휭 돌아가는 극장 밖, 종로 거리는 비현실적이리만큼 무덥고 환했다. 지하철을 타고 자리를 옮겨 맥주를 마셨다. 안주로 닭튀김을 주문했다. “어땠어?” 영화를 보지 않은 친구가 궁금해 죽겠다는 말투로 물어왔다. “재밌어. 재미는 있는데.” “근데?” 친구의 채근 앞에서 나는 왠지 망설이고 있었다. “잘 모르겠어.” 자신없이 말을 이었다. “여자에 대한 시선이 달라진 것 같긴 해. 예전엔 여자 둘이 술 마시는 장면 같은 건 없었으니까.” “부드러워진 거야?” “그런 것 같은데, 아닌 것도 같고. 아아, 모르겠어.” “결말은 어때? 고현정이랑 김승우랑 잘되는 거야?” “글쎄. 아닐걸. 아닌가. 잘 모르겠다. 어쨌든 겉으론 여자 혼자 떠나면서 끝이야. 차를 몰고 표표히. 실실 웃으면서.” “오오, 그럼 드디어 희망을 노래하는 건가?”

희망! 그 단어를 듣자 갑자기 멍해졌다. 대답 대신 닭다리를 들어 입술로 가져갔다. 퍼석한 육질이 입안 가득 느껴졌다. 설명할 수 없는 이물감이 아까부터 목구멍을 간질여대고 있었다. 몰락한 스파이의 비밀처럼 나는 죽은 닭의 고깃점을 꿀꺽 삼켰다. 희망이라니. 홍상수 영화에, 내가 단 한순간도 희망을 기대한 적 있었던가. 그럴 리는 없을 것이다. 홍상수의 인물들이 더 우스워지기만을, 홍상수의 시선이 더 지독해지기만을 지금껏 나는 간절히 바라왔다.

남성지식인 제위의 뻔하고 지질한 속내가 속수무책으로 까발려질 때 마음껏 비웃을 수 있었던 건 혹시 나 자신이 그들과 다르다고 생각한 때문은 아닐까. 모호한 표정으로 속눈썹을 깜빡이는 ‘그녀들’에게 수고로이 감정이입하지 않았던 건 혹시 그녀들이 내가 겪는 현실 너머의 인물들이라고 생각한 때문은 아닐까. 냉소하거나 연민하거나 관조하거나. 홍상수표 영화에 대해 내가 품었던 호의들은 어쩌면 모두, 인물에 대한 객관적 거리가 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니까 나는 ‘홍상수 월드’를 훔쳐보며, 현실과 끔찍하게 닮은 만화경을 들여다보는 야릇하고 안전한 기분을 만끽했는지도 모른다. 오독은 텍스트가 아니라 독자의 문제이다.

예리하고 우스꽝스러운 연애담 <해변의 여인>에 대해 자꾸 말을 아끼고 싶어지는 이유도 거기 있다. 문숙이라는 여자는 도무지 모호하지 않다. 실루엣이나 그림자만이 아니라, 형태와 색깔, 양감과 질감을 다 가진 오롯한 실재다. ‘돌이’를 ‘똘이’라고 발음할 때, 연적을 거울처럼 마주보며 “너, 정말 여자구나?”라고 아유 섞인 자조를 뱉을 때, 제일 무서운 게 사람에 대한 집착이라면서 한편으론 ‘그날 밤, 진짜 나를 넘어서 나갔느냐’를 집요하게 따지고 들 때, 숙취로 깨어난 아침 침대 밑에 쓱 손을 넣어 잃어버린(숨겨놓은) 지갑을 꺼내들 때, 그 여자를 어떻게 ‘모르는 여자’라고 주장할 수 있겠는가? 예전처럼 마음 편히 냉소할 수 있겠는가? 숨 막히게, 차갑도록 명징하게, 나는 그녀를 이해한다. 그래서 십년 만에 처음으로, 진심으로, 홍상수가 불편해졌다. 그래. 이제 더이상 숨을 데가 없는 것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